[현장] 삼성전자 '2025년 비스포크 AI' 행사에서 안전하고 쉬운 AI 신제품 쏟아내

전소영 기자 입력 : 2025.03.30 11:00 ㅣ 수정 : 2025.03.30 11:00

가전 접근성 높인 'AI 홈으로 일상의 혁신'이라는 삼성전자 비전 실천
편의성 극대화·사용자 돌봄·시간과 에너지 절약하는 '3가지 기술' 강화
'녹스 매트릭스'를 와이파이 탑재한 가전기기에 도입해 개인정보 보호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 오는 2032년 1763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문종승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장이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열린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에 참석해 일상을 혁신하는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 = 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전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최고 성능에 AI(인공지능)를 결합해 집안일 불편을 덜어주는 ‘비스포크 AI 신제품 라인업(제품군)’으로 글로벌 가전 시장 공략에 나선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를 열어 일상을 혁신하는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날 행사는 ‘안전하고 쉬운 AI 홈의 완성’을 주제로 개최했으며 제품 사용자가 AI 가전 솔루션을 쉽게 활용하는 'AI 홈으로 일상의 혁신'이라는 삼성전자 비전을 실천하는 데 한 발 더 다가갔다. 

 

이번 신제품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Easy to Use)  △사용자를 돌보며(Care)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Saving)이라는 핵심 가치를 담은 다양한 솔루션을 탑재했다.

 

문종승 삼성전자 DA(생활가전)사업부 개발팀장은 “과거 가전 기기는 모터 등 아날로그 기술이 중요했지만 최근 디지털 AI로 바뀌어 편리함을 제공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가족은 물론 집까지 지켜주는 ‘지능형 AI’가 더욱 중요해졌다”라며 “올해 삼성전자는 고객이 AI를 제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3가지 기반 기술을 강화했다”라고 밝혔다.

 

image
삼성전자가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를 열어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한 가운데 방문객들이 행사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 뉴스투데이]

 

우선 ‘AI 홈 터치스크린 솔루션’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스마트싱스(SmartThings)'에 연결된 모든 가전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솔루션은 2016년 스크린을 갖춘 패밀리허브 냉장고에 탑재됐으며 이후 세탁건조기와 슬라이드인 레인지에도 스크린을 넣어 편의성을 높였다.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AI 홈 터치스크린 솔루션을 일반 냉장고와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오븐까지 거의 대다수 제품군에도 적용할 방침이다.

 

이 솔루션은 특히 △와이파이 △직비(Zigbee) 매터 스레드(Matter Thread)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허브가 없어도 조명과 스위치 등 다양한 IoT 기기까지 연결해 제어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삼성전자는 가전이 스마트해지는 만큼 우려가 커지는 보안도 철저히 강화했다. 

 

더 안전하고 오래 쓰는 비스포크 AI 가전을 지향하는 삼성전자는 자체 보안 솔루션 '녹스(Knox)'를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image
삼성전자는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를 열고 일상을 혁신하는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했다. [사진 = 뉴스투데이]

 

또한 올해는 그동안 패밀리허브에만 지원해온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를 와이파이가 적용된 모든 가전기기에도 도입한다. 

 

녹스 매트릭스는 블록 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 상태를 상호 점검하고 외부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 연결을 끊고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알리는 솔루션이다. 

 

또한 비밀번호와 인증 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하드웨어 보안 칩에 별도 보관하는 '녹스 볼트(Knox Vault)'를 스크린과 접목해 가전, 로봇청소기 등 가전기기에 처음 적용해 보호 기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양자컴퓨팅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기술도 도입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삼성전자의 원조 AI ‘빅스비’도 업그레이드한 모습으로 등장했다.

 

빅스비는 사용자 목소리를 구분해 인식하는 '보이스ID' 기능을 신제품에 녹여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빅스비, 내 일정 알려줘", "내 사진 보여줘"라고 말하면 사용자 목소리를 인식해 일정과 갤러리 속 사진을 불러와 화면에 나타낸다. 

 

또한 "빅스비, 내 폰 찾아줘"라고 말하면 사용자 폰 벨소리를 울려 위치를 알려주는 '내 폰 찾기', 폰에 설정한 접근성 기능이 가전에도 적용되는 '접근성 설정 동기화' 등 여러 가지 개인 맞춤형 서비스도 눈길을 끈다.

 

문종승 팀장은 “기존 빅스비는 기기 제어에 집중했다면 대화형 LLM(거대언어모델)이 적용된 새로운 빅스비는  앞뒤 문맥과 뉘앙스를 파악하고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 여러 기능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극대화됐다”라고 설명했다. 

 

image
삼성전자는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를 열고 일상을 혁신하는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했다. [사진 = 뉴스투데이]

 

삼성전자가 이처럼 생활가전 기능 첨단화에 주력하는 데에는 향후 성장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츠(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은 2025년 약 7830억4000만달러(약  1147조원)에서 연평균 6.33% 성장해 2032년 1조2031억1000만달러(약 1763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가운데 ​프리미엄 가전, 특히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홈 기기 수요가 생활가전 성장을 이끌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발(發) 관세 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과 경제 어려움 등 부정적 변수가 생활가전 시장 성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생활가전 사업 총괄인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타계해 경영 공백이 발생한 상황에 놓였다. 

 

문 팀장은 “삼성전자는 그동안 구체적으로 추진해온 방향과 계획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가전사업부 모든 임직원이 혁신에 매진하고 있고 이러한 노력이 사업 성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가 추구하는 가전은 고객이 귀찮고, 어렵고, 힘들어 하는 일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해 스스로 해결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라며 “더 다양한 시나리오를 발굴하고 고도화된 솔루션과 접목해 이러한 지향점이 완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