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 국회의원 돋보기⑧]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 진보단체 활동가에서 ‘친윤·총선음모론자’로 급변
국회에서 백골단 기자회견 주선으로 뭇매
21대 총선부터 조작됐다며 의혹 제기
백골단 김정현 대표 역시 총선음모론 주장
“총선음모 파헤치기 위해 대통령직 건 바보 윤석열”
대부분의 정치인은 정당의 공천 과정을 거친 뒤 국회의원 후보가 돼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된다. 문제는 정당의 공천이 항상 선(善)이 아니라는 점이다. 도덕성 검증과 공천 과정을 거쳐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불법적 금융투자나 부동산 투기, 직권 남용 등의 행위를 저지르기도 한다. 직업인으로서 직업 윤리가 정치인이라고 다를 순 없다. 또 국민의 선택을 받지 않은 비례대표의 경우 상식 밖의 행동이나 과거 전력들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기도 한다. 또 정치판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존재감이 미미한 국회의원들도 있다. 정치판은 늘 사분오열(四分五裂) 상태다. 그 속에서 바른 정치를 할 수 있는 국회의원의 출현을 국민들은 바라고 있다. 국민이 아는 만큼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다. 이에 <뉴스투데이>는 참정권을 갖는 국민이 정치에 관심을 갖는데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치인 분석 기사를 연재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뉴스투데이=최정호 기자] 김민전 국민의힘(비례대표) 의원은 총선 음모론자 중 한 명이다. 21대 총선부터 과학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개표됐으며 선거관리위원회 서버는 해킹이 가능해 투표율을 조작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결국 김 의원이 주장하는 것은 지금의 거대 야당 구도가 개표 조작으로 만들어졌다는 얘기다. 김 의원이 이렇게 주장하는 데에는 지난 2012년 중안선거관리위원회 자문위원을 했던 이력도 한몫을 했다.
지난 9일 김 의원은 국회에서 백골단에게 기자회견 기회를 줘 논란이 일었다. 백골단은 1980~1990년대 민주화 운동 당시 흰 헬멧을 쓴 사복경찰로,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해 악명이 높았다. 백골단의 수장인 김정현 백서스미디어 대표는 “백골단은 방공청년단 예하에서 활동하는 조직”이라고 소개했다.
김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한남동 집회에서 만난 청년들(백골단)의 열정에 감동해 이들을 돕고자 기자회견을 주선했다”면서 “반공청년단과 백골단이라는 명칭은 좌파에 명분을 줄 수 있는 표현이라 사용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백골단 김 대표 역시 총선 음모론자 중 하나로 투표 집계가 과학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대표는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백서스미디어 온라인 채널을 통해 “선관위 서버를 압수수색(포렌식) 해야 된다”는 주장을 펼치는 장재언 전 기무사 전산과장의 인터뷰 영상을 게재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 내에서 “제2의 내란 아니냐”라는 날 선 비판을 하는 것이다.
■ 참여연대 소속에서 극우 성향을 보이기까지
김 의원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정치통으로 국민의힘 내에서 브레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참여연대와 같은 진보색이 짙은 시민단체에서 활동했던 이력이 있다. 지난 2009년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여러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안티 이명박’의 대명사로 불렸다.
지난 2012년부터 정치권에 이름을 올렸는데, 안철수 대선 캠프에서 정치혁신 포럼 소속으로 활동하다 2017년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이후 안철수 의원과 함께 국민의힘에 합류했다. 이때부터 극단적 발언으로 극우 성향의 정치인으로 변모했다. 김 의원은 21대 국회의원 총선도 부정 선거였다며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22대 총선에서는 비례 9번으로 당선됐다. 곽규택 의원과 함께 국민의힘 수석 대변인으로 내정됐으며 지난해 7월 전당대회에서 여성할당제가 적용돼 최고위원이 됐다.
김 의원은 12·3 비상계엄을 기점으로 적극적으로 친윤계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 같은 당 윤상현 의원과 함께 전광훈 목사가 여는 집회에서 극우적 성향을 드러냈다.
■ “총선음모론 파헤치기 위해 대통령직 건 바보”...윤석열 대통령 찬양
총선 음모론자로서 김 의원의 모습은 SNS를 통해 잘 드러난다. 김 의원은 지난 15일 중앙일보 김방현 대전총국장이 2020년 4·15 총선을 취재했을 때 부실하게 개표돼 부정 선거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내용의 칼럼에 장문의 댓글을 달았다.
김 의원은 “윤 대통령이 국민께 드리는 글을 읽는 순간 참 바보(순수하다) 윤석열이라는 생각이 먼저 떠올랐다”면서 “윤 대통령이 다시 출마할 일도 없는데 엄청난 침묵의 카르텔(부정선거)을 깨기 위해 대통령 직을 걸었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지난 2020년 총선 개표 당시 충남 부여에서 개표기 고장으로 당락이 바뀌는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또 “일부 개인 방송을 통해 선거인보다 투표용지가 더 많이 있는 게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전국적으로 재검표 운동이 일어났고 120여 곳에서 선거무효 소송이 있었다”며 “당연히 선거 결과는 무효가 돼야 하고, 다양한 투표용지가 발견된 곳에 대해 수사가 이뤄져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라고 언급했다.
또 “국정원이 지난 2023년 10월 선거관리위원회 서버는 해킹이 가능하며, 투표한 사람을 안 한 사람으로 만들 수 있으며, 후보의 득표율도 조작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윤 대통령이 부정 선거 증거가 많다며, 증거를 내놓으라는 일부 언론의 지적에 억장이 무너진다”면서 “이상 투표용지가 쏟아질 때 국정원이 시스템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할 때 진상규명과 제도 개선을 하지 않고 이제 와서 얼마나 새로운 증거를 내놓으라는 거냐”라고 주장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