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아시아 첫 ‘버퍼형 ETF’ 상장…캡 16.4% 결정

황수분 기자 입력 : 2025.03.25 09:03 ㅣ 수정 : 2025.03.25 09:03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신규 상장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25일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신규 상장한다.

 

이는 하락장에서는 손실을 10%까지 완충하면서 상승장에서는 16%가량 수익을 추구(미국 달러 기준)할 수 있는 버퍼형 ETF다. 즉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투자하면서 옵션을 활용해 아웃컴기간 종료일 기준 약 10% 수준의 하락을 완충(달러 기준)을 목표로 한다.

 

S&P다우존스가 지난해 9월 발표한 ‘S&P500 10% 버퍼 인덱스 시리즈’를 비교 지수로 활용한다. S&P500지수가 하락할 경우 손실을 완충할 수 있는 ‘버퍼(buffer)’를 1년 만기 옵션으로 구축한다.

 

매년 3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1년 만기 옵션을 매매해 약 -10%까지 하락을 완충(달러 기준)시키는 버퍼(buffer)를 만든 게 특징이다. 버퍼를 설정하는 데 드는 비용을 콜옵션을 매도해 충당하기 때문에 캡(cap∙최대 상승폭)은 제한된다.

 

삼성자산운용은 이 캡이 16.4%(달러 기준)로 결정됐다. 매년 옵션이 롤오버(청산 후 재투자)되기 때문에 캡 수준은 그 비용에 따라 매년 3월 변동된다.

 

지난 21일(미국 동부시간) 오후 2시경 S&P500지수의 시장평균가격인 5650을 기준으로 풋옵션을 매수하고, 여기에 -10.2% 수준인 5075로 버퍼 하단이 설정됐다. 풋옵션 매수 비용을 커버하기 위한 콜옵션 프리미엄 행사가는 6575(캡 16.4% 해당)로 결정됐다.

 

특히 버퍼형 ETF가 추구하는 수익 구조가 1년 단위로 설정됐지만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 특성상 언제든 매매할 수 있다.

 

다만 옵션의 만기가 1년인 만큼 옵션의 가치가 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매수, 매도 시점에 따라 수익 구조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삼성자산운용은 KODEX 홈페이지에서 버퍼형 ETF의 누적 수익 추이, 종료일까지 보유 시 추구 가능한 ETF 잔여 캡, ETF 잔여 버퍼 등의 중요한 지표들을 매일 안내할 예정이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삼성자산운용은 미국에서 약 90조원까지 성장한 버퍼 ETF를 아시아 최초로 한국 투자자에게 선보인다”며 “미국 투자에 진심인 한국 투자자의 투자성향과 운용 목적을 고려한 다양한 미국투자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공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투자의 대표적인 상품인 S&P500을 비롯해 △원달러 환율 하락에 대비할 수 있는 S&P500 환헷지형 △대표적인 산업군에 투자하는 S&P500 섹터시리즈 △시장 상승에 참여하면서 정기적인 인컴을 추구할 수 있는 S&P500 OTM 데일리커버드콜 등 S&P500 관련 ETF를 국내에서 가장 많은 15개 보유하고 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