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한국은 지금 “K-콘텐츠, K-뷰티, K-방산, K-바이오” 이렇게나 성장했다. 하지만 K-주식은 없다. 되려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란 물음표만 둥둥 떠다닌다.
지난해 코스피가 새해 첫 거래일에 2,988.77로 마쳤고, 그 해 마지막 거래일인 12월 29일엔 2,236.40으로 장이 닫혔다. 그냥 봐도 폭락장이다.
한국 증시가 활황이었던 2021년 1월4일 코스피는 2,944.45로 마감해 한해를 열었고, 같은 해 증권시장 결산일인 12월30일에 2,977.75로 끝냈던 때와는 대조적이다.
올해 첫 거래일 코스피지수는 2,225.67로 문을 열었다. 연말, 과연 어느 선에서 마무리될지 궁금하다. 정부와 투자업계 간 자본시장 안정화를 위한 노력이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주식시장의 열기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로 꼽히는 것 중,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떼야 한다.
취재 중 만난 한 전문가는 “투자 환경을 바꾸려면 정부와 업계가 다투지 말고, 저평가된 시장에서 당장 할 수 있는 일부터 해소해나가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쉽게 말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증권업 성장도 막는 건 분명해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선진화 초안으로 배당제도 개선 등을 발표했다. 지난해부터 배당 투명성과 배당 정책 개선은 논의되고 있었다.
그동안 조용했던 주주환원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및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선진국 편입, 물적분할에 따른 소액주주 피해 확대 등 다수의 과제가 쌓인다.
결국 국내 기업지배구조 이슈가 금융위 핵심 안건 중 하나로 떠오른 것이다. 그중 배당 투명성 확대, 배당 활성화에 대한 내용도 포함됐다.
이외에도 외국인투자자 등록제도 폐지, 주식매수청구권 도입 등을 통해 저평가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에 힘을 합해야 한다. 다행히 외국인투자자 등록제도는 폐지로 가닥을 잡았다.
외국인투자자 등록제도 폐지는 많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바꿀 시작일 수 있다. 지난해 증시 침체 계기로 우리 증시의 고질병인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논의의 장이 마련된 건 긍정적이다.
주식시장이 안 좋을 때마다, 제도에 부딪힐 때마다 늘 나오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해 정부와 당국·투자업계가 고민할 때다. 모두가 한국 증시 저평가의 해결사가 돼야 한다. 저평가 된 우리의 증시 더 이상 두고만 볼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