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코노미' 리스크, 글로벌 증시 폭락 원인"<iM證>

김태규 기자 입력 : 2024.08.08 09:53 ㅣ 수정 : 2024.08.08 09:53

폴리코노미 현상 강화 전망…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위험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사진=픽사베이]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iM증권은 8일 최근 글로벌 증시 폭락과 변동성 확대 원인 중 하나로 '폴리코노미(Policonomy) 리스크'를 지목했다. 폴리코노미란 정치(Politics)와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정치가 경제에 휘둘리는 현상이 강화됐다는 것을 뜻한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글로벌 증시 폭락과 반등, 그리고 급격한 변동성 장세의 원인을 두고 갑론을박을 하고 있지만 우려했던 폴리코노미 리스크가 현실화된 것이 아닌가 싶다"면서 "폴리코노미 현상이 더욱더 강해지면서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트럼프 미국 대선 후보 피격 이후 증시 등 금융시장에 '트럼프트레이드' 현상이 발생한 것도 일종의 폴리코노미 현상으로 해석된다. 박 연구원은 "결과론적인 이야기이나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부상하면서 약화된 트럼프트레이드는 증시와 채권시장에 혼란만을 준 것"이라며 "문제는 미 대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트럼프트레이드 혹은 해리스트레이드가 빈발할 여지가 크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또 일본 증시 대폭락 등 글로벌 증시 폭락 사태에는 엔화 초강세가 유동성에 큰 충격을 주며 벌어졌다. 박 연구원은 "이번 엔화 초강세를 촉발한 배경에도 폴리코노미가 있다"며 "일본은행(BOJ)이 조기 금리인상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배경은 일본 정부의 압박을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BOJ 통화정책회의가 열리기 이전부터 엔화 강세를 위해 BOJ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박 연구원은 "9월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현 기시다 총리 연임을 위해 슈퍼 엔저 후유증으로 초래된 낮은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해 엔화 강세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었다"고 풀이했다.

 

BOJ는 전세계 중앙은행 중 유일하게 유동성을 대규모로 풀고 있다. 박 연구원은 "이처럼 글로벌 유동성의 주된 공급원인 일본이 정치에 의해 좌우된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얼마전까지 '피크 차이나' 혹은 '차이나 런'으로 불리는 중국 리스크로 글로벌 자금의 대이동이 있었다"면서 "중국 리스크 역시 중국 경제의 펀더멘탈 취약성이 원인이지만 더 큰 이유는 시진핑 체제 리스크, 즉 정치 리스크였다"고 풀이했다.

 

폴리코노미 현상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경기 사이클상 불확실성 확대와 저성장 그리고 각종 갈등 리스크가 폴리코노미 현상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후보의 대선 공약에서 확인되듯이 주요국의 자국우선주의 혹은 보호주의 색채 강화 등은 폴리코노미 현상을 확산시키는 토양이 될 공산이 크다"면서 "폴리코노미 현상 강화 속에 경기마저 침체 리스크에 직면하는 경우에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금융시장 변동성을 경험할 여지도 배제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