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읽는 경제] 국채금리에 발목 잡힌 트럼프 관세정책, 연준 구원투수 나설까
관세정책 발표후에 미 국채금리 뛰자, 도널드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해 90일간 관세유예 발표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강대강 전면전 예고한 중국과의 협상도 험난 예고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취임후 독불장군식으로 관세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미 국채 금리에 발목이 잡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무차별적으로 가했던 관세폭탄을 중국을 제외하고, 90일간 유예한 배경에는 미 국채금리 상승(국채가격 하락)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미국 채권시장은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4월 초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며 4.5%에 육박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통상적으로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미 국채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국 자산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채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는 오르는 역설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장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의 막가파식 관세정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최근 미 행정부가 90일간의 관세 유예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 훼손과 이에 따른 국채시장 불안이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적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채권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금리는 하락하는 흐름이 나타나지만, 이번에는 그 반대의 양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미중 무역갈등이 단순한 경제 이슈를 넘어 자산 신뢰도 자체에 타격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특히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의 규모가 커서, 시장의 불안정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미 국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국채를 무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MIT 명예교수인 올리비에 블랑샤르는 “중국은 자본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국채를 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금리 상승을 유도하는 데 필요한 물량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중국은 미국보다 장기적으로 악재를 감내할 수 있는 정치체제를 갖고 있어, 강 대 강 대치 전략은 미국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의 스티븐 미런 위원장은 미 국채 보유에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만기 도래 국채를 100년 만기 채권으로 전환하는 방안 등을 언급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미국 국채는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자산이 아닐 수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고, 이에 따른 금리 상승 압력은 더욱 커졌다는 지적이다.
다만, 미국이 지난 11일 스마트폰, 반도체 장비, 컴퓨터 등 주요 전자제품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며 시장 안정화에 일정 부분 기여한 것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정책을 밀어붙이는 와중에도, 금융시장 안정을 포기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국채금리의 급등과 시장 불안이 지속될 경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구원투수’로 나설지가 관건이다. 연준이 금리를 낮추거나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시장 신뢰를 회복하려는 조치를 취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과거 금융위기 시기에도 연준은 적극적으로 국채 매입(양적완화)과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시장 불안을 완화한 바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뉴욕대학교 누리엘 루비니 교수는 “국채금리의 상승이 과도하게 진행될 경우, 연준이 채권시장 안정화에 개입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며 “이는 단기적으론 트럼프 행정부에 유리한 조치가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통화정책의 독립성 훼손이라는 부작용도 수반한다”고 경고했다.
누구보다 경제를 잘 알고,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겠다는 공약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선 최근의 경제혼란은 경제전문가로서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는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미국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일부 철회하거나, 그의 정책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신뢰한다는 응답을 상회하고 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