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냐, 부산이냐...총선 이후 ‘산업은행 이전’ 결론 날까
여당 총선 정국에 ‘산업은행 유치’로 PK 민심 잡기
부산 금융 중심지 만들고 일자리 창출 확대 기대감
산업은행 노조는 반발...피로감에 인력 이탈 가속화
22대 국회 개원 후 ‘산업은행법 개정’ 처리 분수령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4·10 국회의원 총선거(총선)를 준비 중인 정치권이 ‘KDB산업은행 이전’ 카드를 다시 꺼내들었다. 특히 이전 대상지인 부산 지역 후보들은 성공적 유치를 앞세워 표심 잡기에 분주하다. 금융권에선 국책은행 본점 이전에 대한 경제적 효과 등 구체적 로드맵 제시가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3일 금융·정치권에 따르면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최근 부산·경남(PK) 지역 유세에서 총선 이후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통령 선거 당시 공약 중 하나다.
부산 지역 출마 후보들 역시 지역민에게 산업은행 이전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산업은행 이전 부지인 문현금융단지가 있는 부산 남구의 총선 출마자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박수영 국민의힘 후보는 물론 야당인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산업은행 이전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산업은행 이전의 가장 큰 명분은 지역 균형 발전이다. 현재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옮겨 금융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되면 지역기업 금융 지원과 청년 일자리, 세금수입 등이 확대될 것이라는 게 주된 기대효과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추진과 제동을 반복한 끝에 현재는 행정적 절차까지만 마무리된 상태다. 다만 ‘본점을 서울특별시에 둔다’는 산업은행법 개정이 21대 국회서 사실상 무산된 까닭에 실행까지 이어지진 않았다.
산업은행 노동조합(노조)은 본점 이전 시 국책은행으로서의 기능이 약화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당초 노조원들이 본점 로비에서 진행하던 투쟁도 대외로 범위를 확대했다. 특히 최근 총선 정국에 관련 이슈가 재점화하면서 본점 이전 저지를 위한 배수진을 친 상태다.
산업은행 노조는 최근 성명서에서 “금융 정책은 국가 금융 경쟁력과 서민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부·여당에게 금융 정책은 단지 정치적 수단이고 선거용 도구일 뿐이다. 금융 정책을 총선용 표팔이에 악용하지 말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금융권에서도 산업은행 이전에 대한 우려 섞인 시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국책은행 전체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지역 금융·경제 활성화라는 기대효과가 실제 나타날지도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리테일(소매금융)이 발달돼 있기 보다는 직원 대부분이 본점에 근무하고 있는 본점 중심 기능”이라며 “그 조직을 통째로 옮기면 파장이 클 거고, 아직까진 (정부·여당이 제시한) 기대효과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다른 금융권의 관계자는 “서울과 부산은 물리적인 거리 자체가 워낙 멀다보니 본점을 옮겼을 때 업무적 득실은 분명히 존재할 것”이라며 “이걸 어떻게 상호보완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데, 산업은행 조직을 설득할 만한 로드맵이 제시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본점 이전에 대한 피로감이 장기화하면서 산업은행 내부에선 인력 이탈도 나타나고 있다. 산업은행 노조에 따르면 1~5년차인 5급 퇴사자는 2021년 12명에서 본점 이전 이슈가 본격화한 2022년 34명 늘어난 뒤 지난해에는 40명을 기록했다. 6~10년차로 허리급에 해당하는 4급도 지난에만 18명이 회사를 떠났다.
산업은행 본점 이전 동력은 총선 결과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22대 국회 개원 후 ‘본점을 부산광역시에 둔다’는 내용의 산업은행법 개정안이 발의와 논의, 처리까지 이어지기 위해선 여·야의 합의가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다.
산업은행 노조는 야당과 접촉해 본점 이전 저지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태세다. 정부를 향해선 산업은행 부산 이전의 타당성을 두고 토론회를 진행하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성사되진 않았다. 총선 이후 산업은행법 개정 움직임이 나타날 경우 노조가 총파업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