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JOB 속보 >>>

실시간 기사

  • [한진해운 파산선고 눈앞] 3900명 ‘대량실직사태’ 공은 누구에게
    ▲ 법원이 한진해운에 대한 회생절차 폐지를 결정하면서 40년 역사의 한진해운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한진해운 여의도 사옥. 빌딩위 간판은 이미 다른 회사 이름으로 교체됐다. ⓒ뉴스투데이 법원 회생절차 폐지 결정 17일 파산선고 예정수천 명 직원들 일자리 터전 잃고 실직 위기(뉴스투데이=이진설 경제전문기자) 40년 역사의 한진해운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한진해운의 회생절차 폐지를 2일 결정했다. 2주간의 항고기간 중 이의신청이 없다면 법원은 파산을 선고할 수 있게 된다. 파산선고가 내려지면 한진해운에 직, 간접적으로 몸담고 있는 직원 3900명은 일자리를 잃을 수 밖에 없다. 대량실직사태의 책임은 누가 질 것인지가 또 다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3900명 직원들 실직위기=3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한진해운의 직원 수는 육상직원 671명, 해상직원 685명 등 총 1356명이다. 여기에 해외법인 현지 직원과 외국인 선원까지 포함하면 총직원 수는 39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지난해 법정관리 신청 후 이미 상당수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지만 여전히 많은 직원들이 한진해운 소속으로 일을 하고 있다. 파산선고가 내려지게 되면 이들은 일자리를 잃게 된다.현재 청산 작업을 맡는 한진해운 존속법인에는 직원 50여명만이 남아있고 일부 육상직원들은 SK해운, 고려해운, 현대상선 등 다른 해운사로 이직했다.나머지 직원 300여명은 정식 파산 선고가 날 때까지 회사에 남겠다며 무급휴가를 신청했거나 퇴사 후 다른 일자리를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 파산선고가 내려지면 이들은 모두 실직상태가 된다.해운산업이 노동집약형 산업인 관계로 파산선고가 내려지면 그 여파는 2차, 3차 피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해운 전문연구기관들에 따르면 한진해운의 파산에 따른 실직자가 부산에서만 3000여명, 전국적으로 최대 1만명을 넘을 것이란 추산도 나오고 있다.특히 한진해운이 모항으로 삼았던 부산신항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신항 한진터미널내에서 하역업체 근로자와 수리업체 및 터미널 운영사 직원들은 이미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었다. ▲ 지난해 한진해운살리기 부산시민비상대책위 회원들이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뉴시스 ◇ 한진그룹 백기사로 나설 수 있나=지난해 10월 한진해운 사태가 벌어졌을 때 한진해운 노조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직접 나서 정리해고 위기에 놓인 직원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당시 노조 측은 한진그룹 차원의 고용승계를 촉구하며 최은영 전 한진해운 회장도 직원들의 생계를 책임질 것을 요구했다. 노조 측은 사측 경영진을 만나 인력 구조조정 방안을 포함해 다각적인 내용을 논의했지만 뚜렷한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다.한진그룹 측은 공식적인 반응을 내지 않고 있다. 한진해운 사태책임의 한 축을 맡고 있는 정부 또한 대량실직사태에 대해서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한진그룹 입장에서는 지난해 법정관리 신청과 함께 사실상 대주주 지위를 잃어버려 직접적인 책임을 질 이유가 없다. 하지만 한진해운이 한진그룹 창업주 고 조중훈 회장의 땀과 노력이 배어 있는 회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마냥 외면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한진그룹 관계자는 “한진해운 사태로 수천 명이 일자리를 잃는 것은 매우 안타깝지만 이들에 대한 고용승계 주장은 별개의 문제”라면서 “현재 한진그룹의 입장에서는 별로 내놓을 카드가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지난해 청문회때 눈물로 사죄의 뜻을 밝혔던 최은영 전 대주주 역시 그 이후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정부 역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지난해 원칙과 법에 따라 한진해운을 처리하겠다며 법정관리 신청을 유도했지만 정작 파산선고가 불러올 대량실직 사태에 대해서는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진해운 투자한 개미투자자들도 큰 피해=개인투자자들의 피해도 불가피하다. 한국거래소는 2일 한진해운에 ‘파산절차 진행설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하며 오전 11시24분부터 주식 거래를 정지시켰다. 한진해운 주식은 바로 전날까지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정지 직전까지 2억주가 넘는 대량거래를 기록했다.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가 오는 17일 파산 선고를 내리면 파산재단이 설립되고 파산관재인(변호사)이 잔여자산을 매각하게 된다. 한진해운 자산은 이미 90%가량이 매각됐거나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다.현재 남아 있는 자산은 일본 도쿄·오사카, 대만 가오슝의 터미널 관리 자회사 한진퍼시픽 지분(60%)과 벨기에 안트베르펜 터미널을 관리하는 자회사 AIT의 소수 지분 정도로 알려졌다.파산관재인은 법률이 정한 순위에 따라 채권자들에게 배당하는데, 공액채권자에게 배당하고 나면, 개인투자자들에게 돌아갈 재산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한진해운 주식의 거래재개는 법원의 파산 선고 후 3거래일의 예고 기간 이후 시작된다. 이후 7거래일간 정리매매 기간을 거쳐 상장폐지 절차를 밟게 된다. 개인투자자들은 정리매매 기간 중 한 푼이라도 건져야 할 절박한 처지에 놓여 있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2-03
  • 직장인 역차별하는 '배당소득 증대 세제', 주식부자들 최대 900억원 절세
    ▲ 2014년 배당소득 증대세제를 입안한 최경환 국회의원(당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뉴스투데이DB 2014년 최경환 부총리 시절 배당소득세율 최대 38%서 25%로 인하하는 세법 개정근로소득세 최고세율은 최대 38%서 40%로 인상...직장인들 상대적 박탈감은 불가피(뉴스투데이=김경민 기자) 대기업 오너 일가들이 거액의 주식 배당금을 받으면서 오히려 세금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4년 당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대주주들의 배당소득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관련 세법을 개정한데 따른 결과인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근로소득세 최고세율은 40%인데 비해 주식부자들에게 적용되는 배당세 최고세율은 25%에 그침으로써 기업의 대주주에 비해 직장인들이 역차별을 받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가 '부자감세-서민증세' 정책을 펴왔다는 비판론이 다시 거세지고 있다. 2일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지난 해 결산 배당소득을 확정했다. 삼성전자 배당금의 경우, 이건희 회장은 1천374억원,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은 297억8천448만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31억여원이다.삼성전자는 지난해 결산배당금을 보통주 한 주당 2만7500원으로 확정한데 따른 것이다. 이러한 배당규모는 삼성이 지난 달 24일 발표한 주주 환원 정책으로 인해 2015년보다 늘어난 금액인 것으로 평가된다.삼성 계열사들의 배당액도 늘어난다. 이건희 회장은 삼성생명에서 498억원, 삼성물산에선 30억원을 각각 배당금으로 받는다.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물산 180억원, 삼성SDS 53억원, 삼성화재 3억원, 삼성생명 1억원 등 삼성전자 외의 계열사에서 237억원의 배당을 받게 된다.삼성뿐만 아니라 다른 대기업의 오너 경영인들도 거액의 배당금을 수익을 얻게 된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현대차 342억원, 현대제철 118억원을 각각 받는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현대차 151억원, 기아차 78억원, 현대위아 6억원, 이노션 4억원 등 239억원의 배당금을 수령할 예정이다. SK그룹 최태원 회장도 450억원 정도를 배당금으로 받는다. 하지만 이들 대주주들이 벌어들이는 배당소득에 비해 실질적으로 내는 세금은 정부의 세금 감면 정책 등의 영향으로 오히려 감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식 부자들의 지난 해 배당소득에 대한 감세 규모는 최대 903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으로 집계됐다. 100억원이 넘는 배당소득을 올린 국내 대주주 13명이 받은 감세 혜택은 평균 21억원으로 총액은 278억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금이 10억~100억원 사이인 대주주도 1인당 평균 2억9천만원에서 3억1천만원 정도의 감세 혜택을 받았다.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어떤 정권도 시도하지 않았던 부자감세의 끝판왕" 비판재정기획부 관계자 "대주주 편중현상 인정하지만 고배당 정책 유도는 필요"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기획재정위원회)은 2일 국세청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고배당기업 배당소득 현황’을 공개했다. 김종민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당초 배당소득을 포함해 연간 금융소득의 합이 2000만원 이하일 때만 세율 14%로 분리과세하고, 2000만원을 넘으면 금액에 따라 누진해서 최고 38%까지 종합과세했다.그러나 2014년 당시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2000만원 이하 금융소득은 9% 분리 과세, 이상일 경우에는 배당소득세를 따로 분리해서 25%로 단일 과세를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세제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배당소득 증대세제'는 2015년부터 시행됐다.이러한 '부자 감세정책'의 문제점을 인지한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세법 개정 과정에서 감세 규모를 줄이는 쪽으로 배당소득 증대세제를 바꿨다. 배당소득도 예전처럼 일반 소득과 함께 최대 38% 종합과세를 하는 대신에 배당소득의 5%만큼 세액을 공제해주는 방식이다. 공제한도도 2000만원으로 상한선을 뒀다. 이렇게 되면 고액 소득을 올린 대주주들이 앞으로 지난해처럼 대규모의 세금감면 혜택을 받기 어려워질 전망이다.따라서 김 의원이 주장한 900억원 대의 부자감세는 2014년 세법개정안과 2015년의 세법 재개정안이 조합된 결과이다. 즉 2026년 1~3분기는 2014년 세법의 적용을 받아 25%의 세율을 적용받았고, 4분기는 2015년 세법에 의해 배당소득의 5%만 세액공제를 한 것이다.따라서 지난해 처음 시행된 ‘배당소득 증대세제’에 따라 1~3분기 분리과세(세율 25%)를 신청한 인원은 5223명이고, 이들의 배당소득 총액은 6948억원으로 집계됐다. 또 이들 중 배당소득 규모가 10억원이 넘은 사람은 126명으로 이들의 배당금 총액은 4874억원이었다. 전체 배당금의 70.1%에 이른다.김종민 의원은 “역대 어느 정권도 이처럼 노골적인 부자감세를 실시하지는 않았다"면서 "그야말로 부자감세의 끝판왕”이라고 비판했다.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2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세제개혁을 도입하기 전에 정부가 '배당소득 증대 세제'의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했냐"는 질문에 “개편안이 통과될 당시 고액자산가에게 세금감면이 집중되리라는 것을 정부와 국회는 인식하고 있었지만 고배당을 유도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라면서 “어차피 배당이라는 성격 자체가 고액 자산가들이 주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편중현상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과세 혜택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배당소득 증대세제를 바꿔서 감세규모를 줄였다"면서도 “하지만 아직까지도 정부는 고배당 유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2-02
  • 스태그플레이션 시대의 직장인들 대응법, 실속쇼핑 늘었다
    ▲다이소 플래그쉽 스토어 코엑스점 ⓒ뉴스투데이(뉴스투데이=이안나 기자)저가 쇼핑 채널로 발걸음 돌리는 직장인들#1. 혼자 사는 직장인 A씨는 이틀에 한 번 꼴로 ‘다이소’에 들른다. 이곳에서 각종 생활용품을 사고 장도 본다. 필기구부터 화장품, 식기, 간편 조리식품까지 ‘다 있다.’고 여겨져 필요한 물품이 있으면 항상 이곳으로 향한다.종류만 많은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제품이 가격이 저렴한 반면 성능이 괜찮아 자꾸 찾게 된다. 특별한 목적 없이도 퇴근 후에 들러 살만한 물건이 없는지 살펴보기도 한다. 대부분의 제품들이 3000원 이하이기 때문에 ‘필요할 것 같은’ 물건을 사는 데도 부담이 없다.#2. 워킹맘 B씨는 핸드폰에 ‘노브랜드 추천 리스트’가 저장돼 있다. 이마트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이 좋아 사람들의 입소문을 탄 제품들의 리스트로 SNS에서 공유되고 있다. 초코칩 쿠키, 감자칩, 티라미스 케이크 등 주로 간식 위주다.하지만 이 리스트를 시작으로 브랜드 신뢰가 생겨 치킨너겟, 계란, 휴지, 아기 기저귀도 이곳에서 구입한다. 저렴하면서 양이 많단 이유다. 최근엔 자발적으로 블로그에 노브랜드 각 제품에 대한 품평을 하며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불황 속 고물가' 시대에 높은 ‘가성비’ 앞세운 유통업체들의 전성기스태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유통업계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제활동이 침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저성장·고물가 상태를 의미한다.가격 거품이 빠진 제품들이 직장인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다이소와 이마트 자체 브랜드 노브랜드의 제품들이 대표적이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 전통 유통채널은 경기 불황과 소비 위축으로 매출 증감률이 매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저가 쇼핑 채널은 해마다 두 자릿수 이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대표적 저가 유통업체인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은 1조5천6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15년(1조2천억 원)보다 30% 늘어난 것이다. 실적 호황과 함께 점포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2년 850개 정도였던 다이소 점포 수는 올해 1월 말 기준으로 1천150개에 이르렀다. 최근 몇 년 간 4-5층의 규모의 대형 점포도 생겨나 랜드마크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연이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000원 이하의 제품이 전체 제품의 80%를 차지하고, ‘균일가’ 제도를 유지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발길을 끄는 요인이다.이마트 ‘노브랜드’의 매출 역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브랜드(상표)가 없다’란 뜻으로 제품의 브랜드·포장·광고 비용 등을 줄여 가격을 동종의 제품에 비해 크게 낮췄다. 노브랜드는 2015년 처음 등장하면서부터 매출 234억 원을 도달했으며, 지난해엔 그 8배가 넘는 1천 900억 원을 기록했다.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은 감자칩으로 지난해 상반기까지 누적판매량이 400만 개였다.이마트 최훈학 마케팅팀장은 "노브랜드는 소비자 입장의 가치에 집중해 꼭 필요한 기능만 남기고 가격 거품을 뺀 상품"이라고 말했다. ▲ 자료출처: (좌)다이소/(우)이마트 직장인들의 얇아진 지갑 사정에 맞춘 저가 유통업체들의 전략직장인들이 전통 유통업체가 아닌 신 유통채널로 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가 쇼핑채널이 취급하는 품목은 대개 많은 고민을 하지 않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것들이다. 감자칩, 물티슈를 구매할 때와 노트북, 자동차를 살 때 소비자의 태도는 다를 수밖에 없다. 즉, 구매할 품목이 있으면 짧은 시간 안에 적당히 한 제품을 결정하도록 유도한다.경기불황의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저렴한 가격에 눈이 갈 수밖에 없다. 구매가 먼저 이뤄지고 제품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는 것이다. 맛과 품질이 좋을 경우 SNS를 활발히 하는 직장인들끼리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입소문을 통해 다시 그 제품을 찾게 되는 선순환 효과가 이뤄지는 것이다.또한 저가 유통채널의 공통점은 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종류가 다양하다는 데 있다. 이들은 싸구려 상품을 판다는 개념이 아니라 다양하고 싼 제품을 둘러볼 수 있는 쇼핑의 즐거움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장인들이 특별한 구매 목적 없이도 살만한 물건이 없는지 살펴보는 트랜드도 있다. 현재 다이소 제품은 약 2만 5천개, 노브랜드 제품은 약 500여 개로 2020년까지 1000종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직장인들이 따지는 ‘가성비’엔 제품의 성능뿐 아니라 다양한 상품들을 구경할 수 있는 재미까지 포함돼 있는 것이다. ▲다이소·노브랜드 판매제품 예시 [자료출처: 다이소 페이스북(좌)/뉴시스(우)]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2-02
  • 은행원 없는 은행?…‘케이뱅크銀’ 영업지점 없이 200명이 운영
    ▲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은행'이 지난 1일 은행연합회 정사원으로 가입했다. ⓒ뉴스투데이DB 70명이 일하는 고객금융센터 통해 24시간 금융서비스 제공 대면 필요한 금융업무는 담당 센터 신설 예정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수십년간 은행의 얼굴인 ‘은행원’이 사라진다. 최근 은행권에는 비대면 거래가 늘면서 인력을 줄이고 몸집을 줄이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 모든 거래, 상담, 가입, 해지 등이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이 제도권 은행 궤도에 안착했다. 바로 ‘케이뱅크은행’이다. 지난 1일 케이뱅크은행은 은행연합회 정사원으로 가입했다. 케이뱅크은행은 100% 비대면은행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기존 오랜 역사를 지켜온 은행의 상품, 입출금, 영업 시스템 모든 것이 비대면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에 초대은행장인 심성훈 행장은 지난해 12월 14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은행업 본인가 인증을 받은 직후 “100% 비대면은행이라고 말했듯이 지점에 따른 임대료와 인건비 등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존은행과는 비용구조가 다르다. 그런 부분에서 줄어든 부분을 국민들에게 돌려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첫 시도인만큼 우려도 컸었다. 우선 ‘인력’ 문제였다. 은행 영업점이 없으니 그간 창구에서 보던 모든 금융업무를 유선으로 고객이 오랜 기다림 없이 바로 해결한다는 것은 수많은 인력적 부분이 뒷받침되어야 할 부분이었다. 케이뱅크은행 관계자는 2일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케이뱅크은행은 크게 본사와 그에 속한 고객금융센터로 나뉜다. 고객금융센터는 비대면 은행인만큼 시중은행과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혜택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금융센터 직원은 전화업무를 모는 직원들이 상주해 있다. 전체 임직원수는 약 200명으로 그 중 고객금융센터에 70명이 차지해 영업이 시작되면 업무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비대면 서비스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수 인력만이 필요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대신 이들은 모두 경력자로 모집해 지난해 하반기에 접어들 때 쯤부터 연수를 통해 교육을 시켜왔다. 이제 막 시작한 시점이라 시중은행만큼의 인원을 채울 수 없어 향후 계속 키워나갈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객금융센터는 서울 중구 충정로에 위치해 있다. 금융센터는 24시간 운영하며 모든 시간에 상품 서비스 가입 및 해지가 가능하고 상품 상담 가입 등이 이뤄진다. 현재 총 70여명 인력은 정직원, 외부기업 직원과 KT 인력들로 구성돼 있다. 이 관계자는 “상속문제와 같이 대면이 꼭 필요한 업무는 ‘고객업무지원센터’를 통해 처리될 수 있도록 만들 예정이다. 업무지원센터는 아직 오픈되지 않았지만 준비단계며 영업점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2-02
  • NH농협은행, 상반기 신규 채용 실시
    ▲ NH농협은행이 2일부터 오는 10일까지 6급 신규직원 200명 채용을 실시한다. ⓒNH농협 10일까지 지원받아 200명 규모 6급 신규직원 채용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NH농협은행이 금융전문가 양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6급 신규직원 채용을 실시한다. NH농협은행(은행장 이경섭)은 200명 규모의 6급 신규직원 채용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신규채용은 학력, 연령, 전공, 자격 등의 제한을 두지 않는 열린(Open) 채용으로 2일부터 10일까지 농협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할 수 있으며 서류심사, 온라인 인·적성, 필기시험, 면접을 거쳐 3월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농협은 우수한 지역인재를 선발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역할 강화를 위해 시·도 단위로 권역을 구분해 출신학교(고교 또는 대학교) 소재지 또는 현재 주소지 권역에서만 지원할 수 있다. 출신학교 소재지 지역 지원자를 우대한다. 특히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에 대해 별도로 채용절차를 진행하여 장애인에게 취업기회 확대와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등 농협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예정이다. 채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농협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2-02
    •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 ‘프랜차이즈 CEO 과정’ 오픈
      ▲ 제이피경영자문 고병욱 대표이사 실무 중심 교육 내용으로 구성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최근 취업은 어려워지고 프랜차이즈 창업바람이 불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맞춰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이 프랜차이즈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시간을 마련했다. 고려대학교는 서울 안암캠퍼스 라이시움 강의실에서 3월 2일부터 프랜차이즈 경영자와 예비경영자를 위한 고려대학교 프랜차이즈 CEO과정을 오픈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강의는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구축에 필요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된다. 실제로 프랜차이즈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경험했던 성공사례 및 분쟁사례 그리고, 실무에 있어 발생되는 이슈를 중심으로 학습하게 된다. 동시에 최근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브랜드, 지식재산권, 마케팅, 글로벌 및 자본시장 전략에 대해서 현업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사람을 초빙해 교육하기에 때문에 전업강사가 거의 없다. 실무 전문가들이 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자에게 꼭 필요한 기업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고려대 프랜차이즈 CEO과정의 목표이다. 운영자인 제이피경영자문 고병욱 대표이사는 “제가 자본시장 출신이기 때문에 고려대 프랜차이즈 CEO 과정에서는 프랜차이즈 사업을 통해 단기에 가맹점을 많이 내는 방법으로 돈을 버는 기술만 다루는 기존의 교육보다 한 차원 더 교육내용을 높이고 싶었다. 프랜차이즈 산업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도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이를 위해 프랜차이즈 사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싶었다.” 라고 말했다.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 프랜차이즈 CEO과정은 오는 17일까지 1기 수강생을 모집한다. 1기 모집에 따른 혜택으로 동일 수준의 강좌에 비해 낮게 수강료를 책정한 동시에, 교육등록 기준 선착순 20명에게는 서류심사를 면제하는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 굿잡뉴스 > 창직·창업
      2017-02-02
    • 올해 제약 업계 고용전망 양호?···유한양행, 녹십자등 상반기 공채 돌입
      ▲ ⓒ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정소양 기자)주요 제약사 2월에 상반기 정기공채 진행10대 제약사, 불황 고착화 예상되지만 예년과 비슷한 채용 유지할 듯얼어붙은 고용시장 속에서 제약사들의 채용시장은 연초부터 활짝 열렸다. 국내 제약회사 매출 1위와 2위를 달리고 있는 유한양행과 녹십자(자회사)의 신입사원 채용은 2월 3일까지 이며, 대웅제약은 2월 7일, 종근당· 광동제약은 2월 12일, JW중외제약의 경우 2월 13일까지 모집 중이다. 각 분야별로 모집기한은 조금씩 상이하나 대부분 2월이 가기 전에 마감을 하고 있다. 제약회사를 노리는 취업준비생들은 2월 '정기공채'뿐만 아니라 '상시채용'도 주목 할 필요가 있다. 제약회사의 경우 일반 기업들과는 달리 정기공채보다는 필요에 따라 인원 충원 확보를 위한 상시채용이 주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제약회사를 준비하는 청년들은 각 회사의 홈페이지를 상시적으로 확인해야한다. 제약업계의 올해 채용 규모는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투데이가 1일 2016년 상반기 매출 순위 상위 10개의 제약사의 홍보관계자들과 통화한 결과에 따르면,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채용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응답한 회사가 다수였다. '채용 인원을 줄일 예정'이라고 답한 회사는 한 곳도 없었다.지난해 세자리 수 채용을 했던 녹십자와 한미약품은 올해에도 비슷한 인원을 뽑을 계획이다. 지난해 100명을 선발했던 제일약품은 올해에도 100명 정도를 채용할 예정이다. LG화학의 생명과학사업본부도 지난 해와 비슷한 수준인 150명 정도를 채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대부분의 제약사의 경우 영업 관련 신입사원 비중이 가장 많으며 상시채용도 대부분 영업직에 한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영업직이 아닐 경우 경력직, 또는 전문 분야 지식이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주요 제약사들의 투자계획을 봐도 고용전망이 나쁘지 않다. 녹십자는 "연구 개발 부분 투자를 작년보다 20% 정도 늘릴 계획"이라면서 "채용계획은 아직 미정"이라고 밝혔다. 한미약품 관계자도 "올해 R&D의 매출 10% 정도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일 약품은 연구개발(R&D) 분야, 특히 임상쪽으로 300억 정도의 투자를 할 예정이다. 동아제약의 경우 매년 매출의 10%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어 올해도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2016상반기 매출순위 제약회사 2017 채용 계획 2016 채용 규모 주목하는 분야 1 유한양행 작년과 비슷 세자릿수 R&D 상시 2 녹십자 작년과 비슷 세자릿수 작년의 경우 연구개발부분에 집중올해는 아직 계획 없음 3 종근당 미정 미정 상시채용으로 필요에 따라 다름 4 한미약품 작년과 비슷 세자릿수 꾸준히 R&D 매출 5 대웅제약 미정 80~90명 연구부분 6 제일약품 100명 정도로 계획 100명 상시충원은 대부분 영업이며 연구소, 개발, 마케팅에 주목 7 광동제약 8 동아제약 상시모집으로 정해진 바 없음 105명(상반기 70명, 하반기 35명) 상시채용으로 필요에 따라 다름 9 LG화학 작년과 비슷 약 150여명 생명과학사업 본부에 한해 연구개발, 생산, 영업등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전망 10 JW중외제약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인원을 줄일 계획은 없음 1년에 두번 70~80명 채용, 작년 하반기의 경우 100명 채용함상시채용까지 합하면 약 500명으로 추산 비율은 MR쪽 이 가장 많으며연구인력이 늘어날지는 아직 모름 정부, 2020년까지 제약관련 일자리 6만 8000개 창출 추진 의료기기 및 글로벌헬스케어 고용인력도 각각 13만명과 5만명으로 예상 거시적으로 볼 때 제약업계의 고용전망은 긍정적이다. 기획재정부가 작성한 연두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경제는 계속되는 경제 침체와 그로 인한 취업난을 감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약업계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제약업계의 채용 소식이 취준생들에게 한줄기의 빛처럼 다가올 수 있다는 얘기이다. 최근 감사원이 발표한 '보건의료산업 육성사업 등 관리실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복지부는 미래 성장동력인 제약, 의료기기, 글로벌 헬스케어 등 각 분야별로 전문인력 양성계획 등의 과제가 포함된 육성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도 보고서에서 대규모 보건의료산업 인력양성 목표를 세웠다.2020년 세계 7대 제약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 아래, 제약 관련 일자리 5만8,000개 및 전문인력 1만명 양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또한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2013년 기준 3만7,000명인 고용인력을 2020년에는 13만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분야의 고용인력도 2012년 3000명에서 2020년 5만명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해 제약업계 고용 인력 5년만에 3만명 증가실제로 작년 한 해동안 제약업계의 채용은 크게 늘어나는 추세라는 점도 주목된다. 한국제약협회에 따르면, 5년전만 해도 7만여명에 머물던 제약기업 종사인력이 지난 해 1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업문제가 심화되고 있지만 제약업계는 지속적으로 고용을 늘리며 일자리창출에 적극 기여하고 있는 설명이다. 즉 지난 2011년 822개 업체, 7만 4477명이던 제약기업 종사인력은 2015년 들어 842개 업체, 9만 4510명으로 조사됐다. 4년만에 26.9%나 늘어난 것이다. 직종별로는 사무직 20.23%(1만 9115명), 영업직 27.24%(2만 5747명), 연구직 11.7%(1만 1057명), 생산직 33.5%(3만 1664명), 기타 7.33%(6927명)로 집계됐다. 이는 제약기업의 꾸준한 신규채용 덕분이다. 60개 제약기업의 2016년 6월말 직원 수는 3만 7599명으로, 전년 대비 1100명이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업체 수가 늘어난 비율에 비해 고용 규모가 대폭 커진 것이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2-01
    • [뉴투분석] 영세상공인이 꼭 알아둬야 할 ‘전안법’ 쟁점
      ▲ ⓒ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강소슬 기자)전안법 시행된 것인가? 유예된 것인가? →'핵심 조항'은 유예영세상공인과 소비자에게 이익보다는 독이 된다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이하 전안법)’은 현재 시행중인가 아니면 유예된 상태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핵심조항은 연말까지 1년 동안 유보된 상태에서 시행되고 있다. ‘알맹이’는 빠진 명목상 시행이라고 볼 수 있다.산업통산자원부와 국가기술표준원은 전안법 시행령이 24일 국무회의를 통과했고, 시행규칙도 확정됨에 따라 2017년 1월 28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전안법은 그간 전기용품과 공산품의 안전관리제도라는 2개의 개별법 체계로 운영돼온 것을 통합한 법이다.그러나 1년간 유예기간을 거쳐 시행하기로 했다. 즉 문제가 되었던 의류 등 생활용품 41종의 원단 시험결과서에 의한 KC인증 받은 서류를 구비해야만 과태료 500만원을 부과한다는 조항은 2017년 12월 31일까지 그 실행을 유예했다.유예기간 동안은 섬유의 시험결과서를 보관할 의무가 없으며, KC인증마크를 게시할 필요 없이 제품명, 모델명, 사업자명 만 게시하면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핵심조항 유예됐지만 ‘전안법’ 시행으로 바뀐 사항도 많아그러나 ‘전안법’ 시행에 따라 변화된 사항도 있다. 생산과 판매를 함께 하는 영세상공인들이 파악해둬야 할 내용들이 적지 않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1.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과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을 더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으로 통합했다.2. 전기용품과 생활용품에 적용하는 안전관리 명칭의 통합 - 기존에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과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사용되던 명칭을 안전인증, 안전확인, 공급자적합성확인으로 통합했다.3. 전기용품의 경우 기존 법에서 ‘1년 1회’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던 정기검사 주기가 생활용품과 동일하게 ‘2년 1회’로 완화되었다.4. 전기용품에 대한 인증기관 지정요건을 완화했다. - 기존에 전기 안전인증대상제품 11개 분류 중 1/2 이상의 대해 시험능력이 있어야 인증기관으로 지정 가능했으나, 전안법 시행 이후 1/3 이상 만 시험능력이 있어도 인증기관으로 지정이 가능해진다. 인증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복잡한 전기용품 인증시험 요소 중 최소한 만 검사할 수 있어도 인증기관으로 지정해주겠다는 뜻이다.5. 시험 및 인증기관이 규정 미준수 시 과징금 부과전안법 시행전에는 시험기관과 인증기관이 규정 미준수 등으로 업무가 정지될 때 업무정지처분을 내렸지만, 전안법 시행 후 업무정지 처분 대신 과징금 1일 200만원을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6. 안전확인 전기용품 인증표시에 하자가 있을 경우 ‘표시사용 금지’ 조치를 했으나 앞으로는 ‘재시험 및 신고절차’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 신고제도로 운영되고 있는 안전확인 전기용품은 중대한 결함이 있어도 전안법 시행전에는 안전확인 표시의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만 취했다. 금지를 해도 사업자는 제품을 판매했고, 벌금은 대부분 부과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안법 시행 이후에 안전확인 전기용품에 결함이 발견될 경우에는 재시험을 통과해서 신고절차를 밟아야 판매가 가능하도록 변경됐다.2018년 1월 1일 전안법 유예 조항마저 시행되면 '우려했던 피해들' 현실화그러나 2018년 1월1일부터 전안법이 전면 시행되면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큰 반발과 비난을 불러일으켰던 의류 및 가방과 같은 생활용품들에 KC인증마크(공급자 적합성 확인 서류)를 부착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이 된다.영세상공인들도 이 인증서류가 없으면 오픈 마켓 등에서 제품을 판매를 할 수 없게 되며, 과태료는 최대 500만원까지 부과된다.한 종류의 옷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사용되는 원단 모두와 지퍼, 버튼, 오리털과 같은 충전제, 가죽 등 모든 종류에 섬유 테스트를 거쳐 KC인증을 받아야 한다.현재 섬유 테스트 비용의 경우, 티셔츠는 10만원 정도이고 겨울 아우터의 경우 1000만원까지도 들 수 있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섬유 테스트를 받아야 할 옷들은 엄청나게 늘어나겠지만, 섬유 테스트를 해주는 기관은 부족하기에 수요보다 공급이 지나치게 커 부담스러운 비용을 지불하고 섬유테스트를 하려해도 얼마만큼의 시간이 소요될지는 미지수다.정부에서는 한 원단에 대해 테스트를 받으면 그 원단으로 몇 벌의 옷이든 만들어도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 방침에 따르게 되면 트렌드가 빠른 페스트 패션이 주를 이루는 한국에서 영세상인들이 지금처럼 다양한 소재와 부자재를 사용해 옷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 질 것으로 예상된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2-01
    • [단독] 청년희망재단, ‘면접비용’ 25억원 지원해 취업성공률 0.61% 그쳐
      ▲ 청년희망재단의 '청년면접비용지원사업'은 지난해 25억원의 예산을 투입했고, 이 사업의 지원 대상자 3113명 중 취업에 성공한 인원은 19명에 불과했다. ⓒ청년희망재단 (뉴스투데이=강이슬 기자)'청년면접비용' 지원받은 3113명 중 고작 19명 취업 성공박 대통령이 주도해 1461억원 모금, 주요사업 연쇄 '부실화'청년 취업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제안해 2015년 설립된 청년희망재단이 지난 해 ‘청년면접비용지원사업’으로 25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지원 대상자 3113명 중 실제 취업에 성공한 인원은 단 19명에 불과한 것으로 1일 확인됐다.거액을 들인 청년고용 사업이 고작 0.61%의 취업성공률을 기록한 셈이다. 전체 지원대상 중 1%도 취업성공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 같은 사업성과는 청년희망재단이 최근 홈페이지에 공개한 자료에 나타나있다.특히 3113명의 지원대상자의 대부분은 '취업성공패키지'를 이수 중이었던 청년들인 것으로 파악 돼 이 프로그램의 주관부처인 고용노동부도 부실한 실업대책 운영의 책임을 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지적된다.또 청년희망재단이 지난해 23억 4000만원을 쏟아붓었던 '해외 일자리 취업' 사업도 59명을 취업시키는 데 그쳤다. 그중에서 절반에 가까운 26명은 비정규직 취업이었다.이에 따라 거액의 기금을 조성한 청년희망재단이 '예산낭비성' 청년실업 대책을 양산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재단은 2015년 9월 박근혜 대통령이 1호 기부자로 나서면서 올해 1월 현재 1461억여원을의 기부금을 모았다. 기업체가 1026억여원을, 일반 국민이 435억여원을 각각 기부했다.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6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강소·벤처·스타트업, 청년매칭 2016년 잡페어 청년희망재단 면접 컨설팅관에서 구직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부실논란에도 불구하고 2017년 면접비용지원 예산 8억원 증액이 재단의 ‘청년면접비용지원사업’은 구직 청년들에게 면접비용을 지원해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독려하고 비용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정장대여(한도 4만원), △사진촬영비(한도 3만원), △교통비(실비, 고속버스, 선박 등, KTX일반실기준), △숙박비(한도 6만원, 광역시·도 간 이동이 있는 경우 한해), 면접헤어관리비(한도 6만원) 등의 면접비용을 1인당 60만원 한도내에서 지원한다.정장대여와 사진촬영은 재단지정업체를 이용할 경우 선 지출 없이 1인당 60만원 한도내에서 차감하는 방식이며, 비지정업체를 개인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선 지출 후 사후 정산하는 방식이다. ▲ ⓒ뉴스투데이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달 31일 공개한 청년희망재단 이사회 회의록과 첨부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희망재단이 ‘청년면접비용 지원사업’에 집행한 예산은 25억원이다. 25억원을 투자해 고작 19명만의 취업을 성공시킨 부실사업인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희망재단은 2017년 ‘청년면접비용 지원사업’ 예산을 추가로 32.0%인 8억원을 증액해 33억원을 집행한다.청년희망재단 관계자는 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작년에 청년면접비용 지원사업에 집행하고자 했던 예산을 다 집행하지 못 했다. 검증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체됐기 때문”이라며 “청년희망재단은 정부 예산집행과는 다르다. 올해에는 청년면접비용 지원사업을 받는 수혜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집행 비용을 늘리는 것이다”고 설명했다.한편, 실제 청년희망재단이 매년 사업계획을 통해 정하는 예산안 집행률은 45%에 불과했다. 지난해 예산 199억원을 계획했으나 실제로 집행된 금액은 약 90억원 뿐이다. 예산안 집행률이 반절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재단은 올해 전년대비 7% 상승한 213억 710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 2016년 청년희망재단 실적 ⓒ뉴스투데이 실패한 ‘면접비용지원사업’ 수혜자 대부분은 고용노동부가 추천?청년면접비용지원사업 대상자의 조건은 3종류이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청년 중에서 고용노동부가 추천하는 자, 청년희망재단 프로그램 참여자, 온리원열린채용 1차 합격자 등이다.3113명의 지원 대상자 중 고용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청년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게 청년희망재단 측 설명이다. 2015년 설립된 청년희망재단 프로그램 참여자 자체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재단 관계자는 “청년면접비용지원사업 대상자들의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청년과 재단 프로그램참여자의 비중을 정확히 확인할 수는 없으나,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청년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사실이다”고 밝혔다.청년면접비용지원사업의 대상자들이 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청년이라면, 고용노동부 취업성공패키지에 대한 부실 지원도 수면 위에 오를 수 있다. 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 프로그램 자체가 청년들의 취업경쟁력 강화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분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23억원 쏟아부은 해외취업사업도 비정규직 포함해 59명만 취업 성공시켜청년희망재단이 지난해 23억 4000만원을 쏟아붓고도 해외 일자리 취업은 고작 59개에 그쳤다는 사실도 논란이 되고 있다. 더욱이 59명의 취업자 중 26명이 비정규직 취업이었다.재단은 지난해 집행된 예산 80억원 중 30%인 23억 4000만원을 해외 인재 양성에 사용했다. 재단의 대표적인 해외 취업 프로그램인 ‘청년글로벌보부상’예산으로 17억 2600만원이 투입됐다.이를통해 청년 41명이 일자리를 얻었고, 그가운데 15명 만이 정규직으로 취업에 성공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구분하지 않더라도 1명당 4200만원 가량의 예산이 들어간 셈이다. 이 프로그램 외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을 모두 합해도 정규직은 33명 뿐이다.청년희망재단은 2017년 예산을 책정하면서 미미한 성과를 낸 ‘청년글로벌보부상’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이 사업을 포기한 것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작년 국정감사 때부터 지적해왔던 청년희망재단의 총체적 사업 부실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부실이 계속되는데도 예산을 늘린다면 재단은 앞으로 3~4년 이내에 예산 고갈로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이 의원은 “특히 K스포츠재단·미르재단과 같이 청년희망재단에 대한 기업들의 기부와 그 대가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 앞으로 그 운영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면서 “선의로 기부한 수 많은 국민과 노동자들을 위해서라도 특검은 기업들이 왜 거액을 재단에 기부했는지 밝히고 정부차원의 재단 정상화 방안이 마련되어야한다”고 말했다.
      • 굿잡뉴스 > 일자리정책
      2017-02-01
    • [지금 일본에선 (47)] 일본 외식·소매업 “일손부족” 비명
      ▲ 인력의존도가 높은 외식과 소매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업적이 악화되고 있다. Ⓒ일러스트야 인력부족으로 아르바이트 임금은 사상 최고액(뉴스투데이/도쿄=김효진 통신원) 2016년 11월 시점으로 일본 3대도시권(도쿄를 포함한 수도권, 아이치를 포함한 중경권(中京圏), 오사카를 포함한 킨키권(近畿圏))의 아르바이트 평균시급이 1000엔을 돌파했다. 일본의 대형 구인사이트인 리크루트잡스가 2006년부터 조사를 개시한 이래 최고 금액이다.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평균이기 때문에 가장 아르바이트 금액이 높은 수도권 내의 시내를 돌아다녀보면 낮에도 시급 1200엔 이상을 지급하는 가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참고로 저녁 10시 이후에는 최저 25% 이상을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리먼쇼크의 영향을 벗어나고 아베노믹스로 일본 경제가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에서 고용은 활발해지고 있지만 생산인구가 일방적으로 감소하며 기업들의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노동력을 아르바이트에 의존하는 외식과 소매업계의 인력부족은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이다.주부와 노인들의 노동력에 목매는 기업들전국에 규동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는 스키야(すき家)의 파트타임 인원은 무려 4만명이 넘는다. 이 중 절반정도는 학생이고 나머지는 주부와 고령자, 아르바이트만으로 생활하는 성인 등이 포함된다.스키야는 이 중에 주부들의 고용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가정사정 등으로 인해 일하기에는 제약이 많을 수 있는 주부들이지만 스키야는 주부들만을 위한 계약사원 제도까지 마련하여 주부들의 참여를 더욱 독려하고 있다.계약사원이 되면 시급도 오르고 점장까지 될 수 있는데 현재 700명 정도인 계약사원을 2020년까지 1800명으로 확대한다는 것이 스키야의 계획이다. 가장 안정적으로 노동력을 충원할 수 있는 방법이 주부층이라고 판단한 것이다.도쿄 내의 슈퍼 중 최다 점포수를 자랑하는 서미트(サミット)는 2016년 12월에 정년퇴직한 비정규직을 아르바이트로 재고용할 경우의 근무 상한연령을 75세로 변경하였다. 기존의 계산대 업무를 계속함으로서 사측은 교육비용과 수고까지 덜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인건비와 채용비용의 증가로 기업의 업적은 악화일로사이타마현을 중심으로 슈퍼체인점을 경영하는 야오코(ヤオコー)는 외국인 기능실습생의 초청으로 인력부족을 완화하고 있다. 이미 중국과 베트남, 스리랑카 등으로부터 50명 이상의 실습생을 채용하였고 2018년 말까지 200명으로 증원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실습생의 임금은 일반 아르바이트와 다르지 않지만 초청과정에 개입되어 있는 제3사에 관리비 등을 추가로 지불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일본인 아르바이트를 직접 고용하는 것보다 비싸다.게다가 실습생은 실습기간이 종료되면 귀국해야 하고 새로운 실습생에게는 다시 교육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습인원 확대는 사측의 비용증가를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된 인력부족으로 인해 이와 같은 방법을 택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인력부족에 따른 채용비용의 증가와 이를 보전하기 위한 정규직 사원들의 잔업증가 등은 실제로 기업의 실적악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수도권 지역에 슈퍼 체인을 전개하고 있는 이나게야(いなげや)는 2016년도 전반기 결산에서 인건비가 전년 대비 7억엔 증가하였고 1978년 상장 이래 처음으로 2.1억엔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다.인력부족과 인건비 삭감 사이에서 고민하는 기업들인력이 부족하여 경영이 어렵지만 인력을 고용하면 실적악화에 빠지는 어쩌지도 못하는 상황에 처한 기업들의 선택은 다양하다.인건비 증가로 인해 첫 2.1억엔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상기의 이나게야(いなげや)는 기계화를 통한 필요인력 감축을 계획하고 있다. 2016년 6월 정육 가공센터를 새로 개설하여 가공육의 소포장을 기계가 대신하도록 하는 등 기계가 인력을 대신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찾아내고 있다.규동 체인점 마츠야(松屋)는 각 점포에 있는 버튼식 메뉴발권기를 터치패널식 발권기로 교체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메뉴 도입을 위한 설정작업 시간을 15분 단축’, ‘추가토핑 확인시간을 손님 1인당 15초 단축’, ‘외국인 손님의 대응시간 단축’ 등이 가능하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가스토(ガスト)와 조나단(ジョナサン) 등의 패밀리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스카이라쿠(すかいらーく)는 24시간 운영 중인 점포 987개 중 80%를 새벽 2시 폐점, 아침 7시 개점으로 단축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운영시간 단축에 따른 수십업엔의 매출감소가 예상되지만 인건비 삭감을 통해 상쇄가능하다고 사측은 판단하고 있다.이처럼 외식과 소매업계는 지금까지 점포 및 영업시간 확대를 통한 박리다매 전략을 유지하여 왔으나 인력부족에 따른 한계점에 봉착하였다. 과연 업계가 또 어떤 방법을 통해 이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2-01
    • 2017년 상반기 대기업 채용 기상도는 '매우 흐림'
      ▲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6 코스닥ㆍ코넥스 상장기업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자신에게 어울리는 기업을 찾아보고 있다. ⓒ뉴시스 (뉴스투데이=이안나 기자)대기업 채용 규모 작년 대비 4.12% 감소2017년 상반기 대기업 신입사원의 채용 전망이 매우 흐리다. 고용절벽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주요 대기업들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특검 수사의 불똥이 어떻게 튈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일부 기업들의 경우, 정기 임원인사마저 지연됨에 따라 신규인력채용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할 주체가 모호하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난 달 31일 취업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156개 대기업 중 67%가 채용을 확정 지었다. 미채용이 13.46%, 미정이 19.23%다. 채용 전망이 불분명한 대기업 비율은 32.69%라고 볼 수 있다. 인크루트는 올해 새로 창출될 일자리 수는 4만 5404개 정도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중 대기업이 84.09%의 비율을 차지했는데, 전년 채용 규모에 비해 4.12% 줄어든 수치다. ▲ [자료출처=인쿠르트/그래픽=뉴스투데이] 삼성·현대차·롯데 등 주요 기업 채용 전망 ‘흐림’재계에 따르면 10대 그룹 중 대부분의 기업은 아직 올해 채용 계획 초안조차 제대로 짜지 못했다. 그나마 채용안 윤곽이 결정된 곳은 SK, 포스코, GS, 한화, 한진 뿐이다. 삼성의 2017 채용계획은 감감무소식이다. 예년대로라면 대졸(3급) 신입사원은 3월 중순부터 원서접수가 시작되고, 5월 말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하면서 모든 채용 일정이 마무리된다.삼성그룹은 지난해 11개 계열사에서 1만 2000여명 인원 감축을 해 대기업 중 인원 축소 수치가 가장 높았다. 그럼에도 대졸(3급)과 전문대졸(4급), 고졸(5급) 등 상·하반기(신입사원·경력직)를 통틀어 1만4000여 명을 뽑았다. 3조 원 중반대의 기회손실 비용이 발생한 ‘갤럭시노트7’ 발화 사태 때에도 기존 채용규모를 유지했다.그러나 올해 삼성의 신규채용 규모와 시기에 관련해선 이렇다 할 소식이 들리지 않는다. 삼성 관계자는 "일단 채용과 관련해 특별히 나온 이야기가 없다"며 "현재 전반적인 분위기가 채용까지 신경을 쓰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9조 2000억 원을 기록하는 등 실적이 좋아지고 있음에도, 상반기 채용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취업 시장이 급속도로 얼어붙을 전망이다.현대차그룹은 지난해 2018년까지 3년간 3만 6,000명을 채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해에는 이 계획대로 채용 규모를 전년 대비 소폭 늘려 1만여 명의 신입사원을 뽑았다. 하지만 올해 상황은 삼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현대차는 삼성과 동일하게 특검 수사의 여파와 대내외 악재로 채용 시기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롯데 역시 채용 관련 계획에 아무런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다. 신동빈 회장이 지난해 10월, 5년간 7만 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말했지만, 임원 인사도 미뤄지는 상황에 신입사원 채용계획 수립은 요원할 것으로 예상된다.LG그룹의 전체 채용 규모 역시 미정이다. 하지만 아무 소식 없는 삼성‧현대와 달리, 계열사별로 사업 구상과 수요 인력 등을 검토해 이번 달 내로 채용 규모와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전장부품(VC) 분야에서 채용이 늘어날 전망이다.현대중공업도 사업 재편과 구조조정 등으로 신규 채용 전망은 어둡다. 조선부문 사업 재편에 따라 채용 규모가 줄어들 전망이다. 포스코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4500명을 고용하겠다고 밝혔다.SK·GS·한화 등 채용규모 확대 ‘맑음’반면 SK그룹은 16개 주력 관계사들을 중심으로 8200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창사 이래 최대 규모다. GS는 올해 전체 4000명으로 전년 대비 200명 늘릴 계획이다. GS는 임금피크제를 작년부터 시작해 청년 채용을 늘릴 예정이다.LG그룹 역시 계열사별로 사업 구상과 수요 인력 등을 검토해 내달 내로 채용 규모와 시기를 결정한다는 구상이다. 포스코는 그룹사를 통해 총 45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한화그룹도 상반기 400~500명을 신규로 뽑는다.한화, 한진 역시 지난해 비해 소폭 증가한 인원을 신규 채용한다. 한화는 지난해 5140명에서 6700명으로 채용 규모를 늘렸지만 대졸 공채는 1000명 수준으로 큰 변화가 없다. 한진은 예년과 비슷한 1050명을 뽑는다. 이중 대졸 신입은 대부분 대한항공에서 충원할 것으로 보인다. ▲ 자료출처: 각 협회 주요 10대 그룹 전체 채용규모 적을 것 예상… 청년 취업난 극심할 듯 삼성과 현대차를 비롯해 주요 대기업이 상반기 채용을 실시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대폭 축소할 경우 지난해 10%에 육박했던 청년실업률은 훨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 경험이 없는 청년 실업자는 9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4000명(16.1%) 증가했다.이처럼 취업시장이 어려워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10대 그룹의 올해 상반기 채용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올해 청년 취업난이 극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해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신규채용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2-01
    • [글로벌JOB리포트] 이민자 손본 트럼프, 외국인 ‘취업비자’도 규제 나서
      ▲ 트럼프정부가 반이민 행정명령에 이어 이번에는 취업비자를 포함한 비자법 전반에 대해 손을 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NDTV 방송화면캡처] H-1B 비자 등 외국인 취업자 겨냥한 비자법 손보기로실리콘밸리 등 IT분야 취업비자 따기 갈수록 힘들어져(뉴스투데이=정진용기자) 이란 등 중동 7개국 출신들의 미국 입국금지 조치를 담은 반이민 행정명령 서명으로 일파만파의 충격을 던진 트럼프정부가 이번에는 외국인 전문직 취업비자 제한을 골자로 하는 비자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 이민법에 이어 비자법까지 손을 대기 시작했다.특히 이번 조치로 외국인의 전문직 취업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트럼프가 공언해온 미국인 우선주의가 노골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동시에 미국 취업을 타진해온 한국인 해외 취준생들에게도 비상이 걸렸다.◇ 비자 행정명령 초안에 외국인취업 규제 못박아=블룸버그통신은 30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취업비자인 H-1B를 비롯해 다른 취업비자를 손보는 내용의 취업비자 프로그램 개정안을 만들었다고 단독 보도했다.IT 등 기술분야 대졸 전문직들이 선호하는 H-1B비자는 외국인들에게 연간 8만5000여개의 일자리를 제공해왔으며 매년 4월 첫째 주 신청을 받아 6월쯤 컴퓨터 추첨을 통해 국무부가 합격자를 발표해왔다. H-1B비자 신청자는 연평균 35만명을 넘어 평균경쟁률이 3대1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블룸버그통신이 입수, 보도한 행정명령 초안에는 “우리의 이민 정책은 국익에 가장 먼저, 그리고 최우선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고 이행돼야 한다”(Our country’s immigration policies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serve, first and foremost, the U.S. national interest)고 명시돼 있다.또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비자 프로그램은 미국 노동자들, 합법적 거주자의 시민권을 보호하고 잊혀진 노동자들과 그들의 일자리를 지키는 것을 우선해야 한다”(Visa programs for foreign workers … should be administered in a manner that protects the civil rights of American workers and current lawful residents, and that prioritizes the protection of American workers -- our forgotten working people -- and the jobs they hold)는 내용도 포함됐다.앞으로 외국인을 위한 취업비자 역시 자국민 우선주의에 입각하여 미국인을 먼저 고용하지 않으면 쉽게 내주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외국인 기술자 의존도 높은 실리콘밸리 등 타격=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조치가 실현되면 이 비자프로그램을 이용해 외국인 전문인력 수만 명을 채용해온 실리콘밸리 등 IT기업들이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실제로 구글이나 페이스북, 마이크로스포트 등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프로그래밍 등 컴퓨터 관련 기술직의 상당수를 외국인근로자, 특히 인도출신 IT기술자들에게 의존해 왔다.인도의 대표적인 IT 서비스 하청업체들인 타타컨설턴시서비스, 인포시스, 와이프로 같은 회사들이 이 비자프로그램의 주된 수혜자로 인식돼 왔다.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IT기업들이 인도출신 IT기술자들을 선호하는 이유는 비용적 이유가 크다. 구글, 애플 등 미국 톱5 IT기업들의 평균연봉을 보면 미국인 기술자들이 10만달러 정도인 반면, H-1B 비자 취득자는 7만달러 선으로 30%가량 저렴하다. 이런 이유로 IT기업들이 H-1B 비자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다.트럼프 정부가 IT 기업들이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에 저임금 외국 인력을 채용하는 도구로 전락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이 같은 배경 때문이다.행정명령 초안은 특히 H-1B비자를 활용한 기업들의 광범위한 데이터 축적을 위해 정부회계연도 마지막 달에 모든 기업들이 H-1B 비자 관련통계를 제출하도록 명시하고 있다.의회 역시 올 들어 비자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3개 법안을 상정했다. 법안을 낸 조 로프그렌 민주당 상원의원은 H-1B의 발급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트럼프정부의 비자규제가 본격화할 경우 미국취업비자 취득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미지출처=데지컴파일닷컴] ◇ E-2, J-1 등 다른 비자들도 손보나 우려 제기=트럼프정부의 행보는 이제 시작일 뿐 이라는 관측이 많다. 반이민 행정명령에 이어 비자법을 손보기 시작한 이상, 거의 모든 비자까지 손을 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이와 관련, CNN머니는 트럼프정부가 H-1B는 물론 기업 주재원 비자인 L-1, 투자 비자 E-2, 관광비자 B-1, 문화교류 비자 J-1, 이공계 선택적 실무연수 비자 OPT 등 비자 정책 전반을 손볼 계획이라고 보도했다.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 비자들이 실질적으로 미국에 고용창출 효과를 불러오거나 미국인들이 하기 싫어하는 3D 직업과 관련된 것들이어서 실제적인 제재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라는 시각도 있다.CNN은 트럼프가 운영하던 호텔이나 리조트 등에서 임금이 싼 외국인 인턴들을 많이 사용했던 점을 상기시키고 있다.미국 뉴저지에서 이민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제임스 박 이민전문변호사는 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취업비자 자체를 중단시키거나 쿼터를 당장 축소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발급절차를 엄격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취업비자 발급자수를 억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미국 뉴저지에서 인턴에이전시 및 이민컨설팅을 하고 있는 JOB USA의 임현덕 대표도 본지와의 통화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려는 미국 내 고용주들에게 미국근로자들을 먼저 고용하려는 노력을 했는지 증명하도록 요구하는 방안도 예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되면 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기 위한 고용주들이 줄어 외국인 비자신청 자체가 힘들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2-01
    • [단독] 전안법, 영세상공인에 인증책임 전가한 ‘졸속입법’ 논란
      ▲ [사진=E나라 표준인증 홈페이지 캡쳐] (뉴스투데이=강소슬 기자)의류 및 공산품 ‘KC인증’ 기관 부족…영세상공인이 ‘자체 인증’해야 할 처지정부, 인증기관 자격 요건 완화하는 ‘미봉책’ 던져 놓고 수수방관산업통산자원부가 지난달 28일부터 시행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이하 전안법)’이 영세상공인에게 KC인증 (KC인증 마크 획득)을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영세상공인은 KC인증 비용을 부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인증방식도 독자적으로 마련해야하는 이중 부담을 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산자부가 여론 수렴 과정없이 탁상행정으로 추진한 전안법이 ‘졸속입법’이라는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 핵심관계자는 31일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이와 관련해 “섬유 테스트 해주는 인증기관을 정부가 늘릴 수는 없다. 인증기관의 수가 적다고 정부가 그걸 어찌 할 수는 없다. 섬유에 대해서 KC인증은 안 받아도 되지만 안전하다는 시험은 스스로해서 증빙서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고 말했다.섬유 테스트 한 뒤 KC인증을 해주는 기관은 대표적으로 코티티(KOTITI), 카트리(Cartree),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등 3곳이 대표적이다. 사설기관이 있지만 사실상 유예된 전안법이 내년 1월부터 본격 실행된다면 엄청난 물량의 인증을 처리할 기관이 부족해 수요보다 공급이 적은 실정이다. 대체인력 양성에도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는 게 인증기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수수방관한 채 인증책임을 영세상공인에게 떠넘긴 것이다. 인증기관의 한 관계자는 “KC인증을 위해서는 고가의 기계를 도입하고 연구원들도 확보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대기업도 자체 인증을 진행하다가 포기한 사례가 있을 정도”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대기업도 자체 인증이 어려운데 영세상공인에게 인증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대안으로 섬유의 시험기관이 아닌, 전기 인증기관 지정의 조건을 완화했다. 현재 전기안전인증대상제품으로 전선, 스위치, 조명 등 총 11개 분류 중 2분의 1 이상에 대한 시험능력이 있으면 인증기관으로 지정 가능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3분의 1만 있어도 전기 인증기관으로 지정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전기 인증기관의 인허가 조건을 급작스럽게 완화했지만, 전안법 시행으로 인해 섬유 테스트 수요가 늘어날 것은 대비하지 못해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국표원 핵심 관계자는 이에 대해 “꼭 공인기관에서만 하지 않아도 된다. 스스로가 시험을 하던지, 대학교에 의뢰를 하던지, 해외시험성적서 등 안전하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하고 증명서를 비치하라는 취지다”고 말했다. 정부도 해결하지 못한 섬유 시험해주는 곳 찾기를 영세상공인이 알아서 해결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KC인증기관 관계자, “대기업도 유지하기 힘든데, 개인이 테스트 하는 건 말도 안 돼” KC인증기관의 한 관계자는 이날 뉴스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스스로 확인하고 증명서를 비치하는게 가능하다고 생각해서 정부가 말한 건지 의문이 든다. 섬유에 대한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기계는 여러 가지가 필요할 뿐만아니라 그 기계의 비용은 몇 억을 호가하기 때문이다. 소상공인이 스스로 테스트 하라는 건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기업도 섬유 테스트를 자체적으로 하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유지하는 비용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동대문의 의류 상인이나 온라인 쇼핑몰의 영세 상공인이 이런 테스트를 한다는 건 정말 말도 안 되는 소리라 놀랍다”고 말했다. 국표원의 핵심관계자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꼭 해야 되는 일이라 전안법은 시행해야 할 법”이라고 못 박았다. 온갖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폐기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인 셈이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1-31
    • [뉴투분석] '고공성장' 삼성전자와 '실적하락' 현대차의 엇갈린 2017년 고용능력
      [그래픽=뉴스투데이](뉴스투데이=이안나 기자)실적과 모순되는 '고용의 역설'에 직면한 삼성전자와 현대차 그룹한국고용정보원은 31일 올 상반기 자동차 산업과 반도체 산업의 고용증감률은 각각 1.1%, 0.8%일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산업에서 4000개, 반도체 산업에서 1000개의 일자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이러한 고용증가는 양대 산업의 중추인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가 삼성전자보다 올해 더 많은 신규인력을 채용한다는 뜻이다.그러나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가 지난해 영업실적 및 올해 전망에선 정반대로 희비가 엇갈린다. 현대자동차는 4년 연속 영업이익이 5조원대로 하락해 최저점을 찍었다. 올해에도 실적상승세로 반전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반면에 삼성전자는 갤노트7 단종에도 불구하고 4분기에만 9조 2천 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최고기록을 세웠다. 반도체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 실적도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울 가능성이 높다.요컨대 두 기업의 '실적'과 '고용능력'이 판이하게 엇갈리고 있다. 왜 이런 역설적 현상이 발생한 것일까?자동차, 지난 2년간 고용악화로 인한 '기저효과' 등을 감안해 올해 4000명 증가 예상현대자동차가 사상 최저 영업실적을 기록한 요인은 자동차 시장의 저성장과 국내 민간소비 위축이다. 그러나 2017년 상반기 자동차 산업 고용증감률은 1.1%로 기계, 건설, 조선 등 10개 업종 중에서 상위권 수치를 기록했다.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할 것이지만, 내수 판매 감소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 산업 전망은 밝지 않지만 고용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이와 관련해 한국고용정보원 김수현 연구원은 3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고용 전망과 산업 전망이 항상 동일하게 가는 것은 아니다”며 “재작년 상반기 이후 자동차 산업 고용증감률은 거의 0%였기 때문에, 올해는 고용 시장 상황이 좀 나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밝혔다.즉 고용 전망 값 자체는 단일 요인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에서 새로운 모델이 등장하면 매출과 고용이 증가한다. 현재 현대차가 신차를 출시할 확률이 높다고 계산했다는 것이다.뿐만 아니라 전년도 수출 부진으로 인한 기저효과가 자동차 산업의 고용전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꼽았다. 과거에 고용촉진 변수가 적었기 때문에 올해는 상대적으로 고용전망이 밝아졌다는 것이다.삼성전자, 반도체 호황에 공장 증설해도 '자동화'로 인해 고용증가 한계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깜짝 실적에는 반도체 사업의 영향이 컸다. 반도체 부문 영업 이익만 4.95조 원이다. 삼성전자가 올해에도 고공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올해 예상 고용인원은 소폭 상승했다.이는 반도체 산업의 특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산업의 전망이 좋을 때도 고용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삼성전자는 매출 201조 5400억원을 기록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인력 3183명을 감축했다. 전체 인력의 3.2% 수준이다.김 연구원은 “반도체 산업의 수익이 큰 이유는 반도체 가격 자체가 상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장호황이 고용 증가로 이어지기 위해선 가격 뿐 아니라 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거나 공장 등이 세워져야 하지만 현재의 삼성전자 실적 상승은 '가격 인상' 요인에 기인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실적이 상승해도 고용은 늘지 않는 '고용절벽' 현상이 고착화된다는 분석이다.더욱이 반도체 산업 전망이 좋아도 인력을 대체하는 기계가 도입된다면 오히려 고용 전망은 흐려질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가 공장 자동화 수준이 높은 일류기업이 될수록 반도체 호황이 고용증진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호황속 고용불황'의 역설이 현실화되기 마련이다.김 연구원은 “이번 고용 증가 전망에 삼성전자의 평택 반도체 공장 설립이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평택공장은 올해 중순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그러나 평택 반도체 공장의 자동화 수준 등을 계산해보면 고용증가의 폭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셈이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1-31
    • 김숙의 이상형 ‘살림하는 남편’ 2년새 급증, 그 이유는?
      ▲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 및 가사노동을 하는 남자가 모두 16만1000명으로 201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드라마 '워킹맘 육아대디' 캡쳐] ‘남성 전업주부’ 16만1000명으로 6년만에 최대치 남녀인식 변화및 고용사정 악화로 인해 남성들 ‘집으로’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전문직 여성과 육아대디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번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종영했던 MBC 드라마 ‘워킹맘 육아대디’와 방송인 김숙이 이상형으로 ‘살림하는 남편’이라고 소개하는 등 최근 인식이 크게 변화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집에서 아이를 돌보거나 살림을 하는 ‘남성 전업주부’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노동을 하는 남자는 모두 16만1000명으로 2010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가사활동을 하는 남자는 15만4000명, 육아에 전념하는 남자가 70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렇게 ‘살림하는 남자’가 늘고 있는 이유로는 최근 전문직 여성이 증가하고 전통적인 남녀의 역할 관계에도 변화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전반적인 고용사정이 악화된 영향과 여성 연상 커플의 증가도 육아·가사활동을 하는 남성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의 수는 2003년 10만6000명에서 2010년 16만1000명까지 늘어났다가 △2011년 14만7000명 △2012년 14만7000명 △2013년 14만4000명 △2014년 13만명으로 줄어왔다. 하지만 2015년 15만명으로 증가세로 전환된 뒤 작년에는 16만1000명까지 늘어나는 등 최근 2년 사이 24%나 급증했다. 통계청은 초등학교 이상인 자녀를 돌보면서 자기 가정에서 가사 업무를 수행하거나 가사를 돌볼 책임이 있었다고 답한 사람을 ‘가사’로 분류하고 있다. 육아활동을 하는 남성은 2012년 5000명에서 2015년 8000명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7000명으로 소폭 줄었다. 이 같은 추세는 전통적인 남녀역할에 대한 사회인식이 변화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남성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는 전문직 여성이 증가하고, 육아·가사 등에 대한 남성의 참가도 확대되는 추세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여성의 수는 2013년 729만8000명을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2014년 714만3000명, 2015년 708만5000명, 지난해 704만3000명까지 감소했다. 정부 역시 일가정 양립제도의 일환으로 남성이 육아와 가사에 동참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사용자의 첫 3개월 육아휴직급여를 통상임금의 100%까지 지원하는 ‘아빠의 달’ 제도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 지원에 힘입어 실제로 남성 육아휴직자는 56%까지 급증했다.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는 총 7616명으로 전년(4872명)보다 56.3% 증가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전체 육아 및 가사 노동자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 종사자는 720만4000명으로 이 가운데 남성은 2.1%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1-31
    • [뉴투분석] SK 최태원 회장, 불황기 속 ‘인재확충’ 행보의 속뜻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서울 광진구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렸던 SK그룹 시무식에 참석하고 있다. 2017.01.01. ⓒ뉴스투데이DB (뉴스투데이=이재영 기자) '지속성장'과 '사회적 책임' 내걸고 올해 17조 투자에 8200명 신규 채용 확정 지난해 고용위축 속에서도 4대 그룹 중 최고 고용 증가율 기록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최근 공격적인 경영 행보에 나서고 있다. 대내외적인 경영 리스크가 여전한 상황에서 올해 SK그룹 16개 주력 관계사들은 총 17조원을 투자하고 8200명의 직원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대졸 신입사원 2100명과 경력사원등을 선발할 계획이다. 이 같은 직접 채용 이외에도 사회적 기업을 적극 육성해 사회적 일자리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인해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투자 및 채용계획에 손을 놓고 있는 상황에서 최 회장의 행보는 이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3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우리나라 청년들이 고용절벽에 직면해 고통받는 상황에서 SK그룹의 순발력 있는 행보는 최 회장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대기업이 작은 이익에 치중하기보다는 거시적 차원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최태원 회장은 지난 26일 “국내외 경영환경이 불확실하다고 위축되면 기업의 핵심 경쟁력은 흔들리기 마련”이라면서 “오히려 공격적인 투자와 채용이 뒷받침될 때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돼 지속 가능한 발전이 될 뿐만 아니라 국민과 행복을 공유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게 된다”고 강조했다고 SK 관계자는 전했다. 실제로 SK그룹은 지난 2016년의 경우에도 4대 그룹 중에서 가장 높은 직원 증가율을 보였다. 다른 그룹이 직원을 줄이는 상황에서 SK는 정 반대의 길을 선택했던 셈이다. 삼성전자 직원은 1만 2428명이 줄어 8.38%의 감소율을 보였다. 현대차는 1864명을 더 채용해 1.54%의 증가율을, LG는 1217명이 늘어 0.88%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SK는 1139명을 더 뽑아 가장 높은 4.26%의 증가율을 보였다. SK가 올해 확정한 투자 목표액 17조원은 지난 해 14조원 보다 3조원(20% 포인트)이 증가한 액수이다. 역대 최대 규모이다. 더욱이 SK그룹은 올해 전체 투자액의 65%인 11조원을 국내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다. 국내 시설 투자규모가 10조원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해외가 아닌 국내에 대규모 시설 투자를 단행할 경우 연관된 고용창출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자장치 및 자율주행차에 내장되는 낸드플래시 및 고성능 스마트폰용 D램의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올해에 SK하이닉스는 7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D램 양산과 72단 3D 낸드플래시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시설 투자에 방점을 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장기 낸드플래시 시장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하반기중에 충북 청주에 신규 공장 건설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년간 6조원대의 대규모 투자를 지속해왔다. 올해에는 1조원을 추가 투자하는 셈이다. 재계 3위 SK그룹, 반도체 호황기조 타고 재계 2위 도약할까 SK그룹은 국내외 미래 성장동력 발굴 차원에서 M&A와 지분투자 등 전략적인 투자에도 4조900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 금액 역시 지난해 전략적 투자액 3조1000억원 보다 50% 포인트 이상 늘어난 수치이다.이 같은 공격적인 인수합병(M&A) 행보로 인해 SK그룹이 시가총액 기준으로 현대차와 재계 2위 자리를 두고 본격적인 경쟁구도에 돌입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최태원 회장의 공식적인 경영복귀 이후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유가증권 상장사 기준으로 지난 26일 현재 SK그룹 계열사의 시가총액은 약 95조원 대에 이른다. 지난해 10월 LG그룹을 누르고 재계 3위에 올랐을 때 시가총액은 86조원 수준이었다. 불과 3개월 만에 9조원 가량이 증가한 것이다.현재 재계 2위인 현대자동차그룹과 격차는 불과 6조원 안팎으로 줄어들었다. 현대차그룹의 상장사 시가총액은 현재 101조억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다. 지난 해 10월의 105조원에 비하면 약 4조원이 줄어든 금액이다. 더욱이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시장의 호황으로 주가가 상승 추세로 접어들고 있는 반면에 현대차는 내수 시장 위축 및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노선’으로 인한 미국시장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실적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SK그룹이 현대차그룹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1-31
    • 말자네 약속다방, 가맹비·교육비·보증금 ‘3無 프로모션’으로 창업 지원
      ▲ ⓒ말자네약속다방 (뉴스투데이=강이슬 기자) ㈜금탑 에프엔비(대표 최성수)의 카페 브랜드 ‘말자네 약속다방’이 예비 창업자를 위한 파격적인 지원 혜택으로 ‘3無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말자네 약속다방은 가성비를 강조하며 빅사이즈 커피를 비롯해 프리미엄 생과일 주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선보이고 있는 카페 프랜차이즈이다. 2017년 상반기 창업자의 초기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인 운영을 돕기 위해 이 같은 지원 혜택을 마련했다. ‘3無 프로모션’은 50호점까지 특별 창업 지원 혜택을 제공해 가맹비, 교육비, 보증금을 면제, 약 900만원 상당의 창업 비용을 지원한다. 또한 이번 프로모션 관련, 서울/경기 본부인 청담 본사와 중부지역본부인 청주 본사에서 사업 설명회 및 상담을 진행하고, 대용량 사이즈와 프리미엄 식자재 등 카페 시장에서 말자네 약속다방의 경쟁력과 시즌별 매출을 극대화 하는 차별화 전략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말자네 약속다방 관계자는 “고객과 예비 점주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과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창업 문의가 늘고 있어 예비 점주들을 위한 지원 프로모션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예비 점주를 위한 다양한 지원 혜택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말자네 약속다방은 약 4000만원대 소자본 창업이 가능한 ‘너와의 첫 만남, 추억을 함께했던 그곳’이라는 슬로건의 감성 카페로 전국 약 200여 개의 가맹점을 운영하는 검증된 스몰비어 브랜드 청담동 말자싸롱의 성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출범한 자매 브랜드다.
      • 굿잡뉴스 > 창직·창업
      2017-01-31
    • [뉴투분석] 네이버가 선택한 '자율주행 카쉐어링'의 미래 눈길
      ▲ 2015 창조경제박람회 미래성장동력 챌린지 퍼레이드' 계명대 팀의 자율주행차 ⓒ뉴시스 (뉴스투데이=정소양 기자)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산업이지만 연관 서민층 일자리 감소 우려 네이버의 연구 전문 자회사인 네이버랩스가 ‘자율주행 카쉐어링’ 진출을 결정한 것으로 31일 알려졌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랩스는 최근 정관 사업목적에 ‘자동차 부속품 및 관련 용품의 제조 임대 판매 서비스업’과 ‘카쉐어링 및 관련 중개업’과 관련한 내용을 추가했다. 이는 향후 자율주행차량 카쉐어링 사업의 근거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구글, 우버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일제히 자율주행 카쉐어링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따라서 지난 해 4조원대의 매출을 올릴 정도로 승승장구하고 있는 네이버가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율주행 카쉐어링을 선택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자율주행차 기반의 카쉐어링 사업은 사람 없이 운행되는 차량을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탈 수 있는 서비스다. 쏘카(SOCAR),그린카 등 카쉐어링의 인기가 날로 늘어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운전자 없이 사용이 가능한 자율주행 카쉐어링 시대가 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럴 경우 영업용 택시,대리운전 분야 등의 일자리는 대폭 감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가 운전자들이 승용차를 구입을 줄이게 되면 자동차 영업담당 사원에 대한 수요도 급감할 수밖에 없다. 결국 서민층이 종사하는 산업의 고용이 감소하는 부정적 효과를 피하기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자율주행 카쉐어링, 자동차 구매 욕구 낮춰 우선 자율주행차량 카쉐어링이 상용화 된다면 자신의 차량을 소유하려는 운전자들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차량구매비, 유지비 등에 비해 매우 적은 비용으로 어디서든 차량이 필요할 때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개편된 운전면허시험으로 인해 면허 취득이 어려워진 시점에서 도로 교통 기술 연구개발과 운전면허 시험 관리를 총괄하는 도로교통공단(이하 공단)이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비해 자율주행 운전면허 신설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강화된 운전면허시험은 자율주행 카쉐어링의 인기를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운전면허시험에 비해 자율주행 운전면허의 난이도는 낮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현재 기술 한계 등으로 자율주행차와 카셰어링은 서로 독립적으로 발전해 왔지만 앞으로는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네이버랩스의 자율주행 연구, 3등급 단계? 네이버랩스는 프로젝트 ‘블루’를 통해 2015년 처음으로 자율주행차 개발을 공식화 했으며 국토부의 정식 허가가 나오는 대로 일반 도로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다만 네이버는 당장 사업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논하기엔 아직 빠르다는 입장이다. 자율주행차 기반의 카쉐어링이 실현되려면 5등급(운전자의 개입·조작 없이 인공지능의 판단만으로 운전 가능)의 자율주행 기술력이 필요하지만 현재 네이버랩스가 개발중인 자율주행차는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분류기준 중 3등급(긴급 상황 시 운전자 개입) 수준이기 때문이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분류 기준(0~5등급)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의 기술력은 다음과 같이 나눠진다. ▲유인 운전(0등급) ▲일부 기능 자동화(1등급) ▲운전자가 운전대 및 페달을 놓고 운행 가능(2등급) ▲운전자가 긴급 상황에서만 개입(3등급) ▲완전 자율주행(4등급) ▲사람과 동일한 수준의 종합 상황 대처 능력(5등급) 등이다. 도로교통공단은 자율주행시스템이 상용화될 경우 교통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 혼잡률이 10% 이상 개선되고, 연간 도로 교통 혼잡에 따른 비용을 1조7000억원 이상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네이버 측은 앞으로 2년 동안 1200억원을 네이버랩스에 투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굿잡뉴스 > 미래일자리
      2017-01-31
    • 올해 상반기 주요 산업 고용 전망, 건설 및 자동차 등에서 3만8000명 증가
      ▲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2017년 상반기 주요 산업에서 3만 80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조선업 관련 회사가 밀집된 지역에서 근무자가 노동을 하고 있다. ⓒ뉴시스 조선·섬유·철강·디스플레이 업종서 2만 9300명 감소기계·전자·반도체·자동차·건설·금융보험 업종 선방해 총 8700명 증가 ▲ 주요 업종의 2017년 상반기 일자리 전망 ⓒ뉴스투데이/자료=한국고용정보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뉴스투데이=강이슬 기자) 올 상반기 10개 주요 산업의 일자리가 8700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업계의 침체로 조선업계에서만 2만 7000개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됐음에도 불구하고 기계, 전자, 자동차, 건설, 반도체, 금융보험 업종에서 일자리 증가를 견인한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31일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8개 수출 제조업과 건설, 금융 등 총 10개 업종의 ‘2017년 상반기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기계, 전자, 반도체, 자동차, 건설, 금융보험 업종의 일자리가 지난해에 비해 소폭 증가한다. 2017년 상반기 일자리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의 일자리를 모두 합하면 3만 8000명이다. 반면 조선, 섬유, 철강, 디스플레이 업종에서 예상되는 일자리 감소수는 2만 9300명이다. ▲ 2017년 상반기 자동차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자동차 - 내수판매 감소, 수출증가로 메꿔 4000명↑ 지난해 상반기 대비 고용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자동차다. 자동차업종은 지난해 상반기(39만 5000명)보다 1.1%(4000명)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7년도 상반기 내수는 노후 경유차 교체 세제지원에도 불구, 2016년 상반기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 종료에 따른 기저효과, 경제성장률 둔화로 인한 민간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은 세계 자동차시장 성장률 둔화,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 기조 확산과 금리인상 영향, 해외생산 비중 지속적 증가 등 부정적 요인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수출 부진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함께 고급 브랜드 해외런칭 확대 및 다양한 신모델 투입, 기체결된 FTA 관세인하에 따른 수출환경 개선 등이 긍정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인련수급전망팀 김수현 연구원은 “2017년 상반기 자동차 생산은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내수판매의 감소폭이 수출증가율보다 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자동차 업종의 고용은 소폭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 2017년 상반기 건설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건설 - 건설투자 증가 지속세로 1만 7000명↑ 건설업종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일자리 수가 가장 많아지는 업종이다. 건설업종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1만 7000명(0.9%)이 증가한다. 상반기 건설업종은 SOC(사회기반시설) 예산 감소와 주거용 건축물의 과잉공급 해소 지연 등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에서 수주액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정부의 SOC 예산은 전년대비 8.2% 감소한 21조 8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이에 따라 공공 부문의 수주 감소가 전망된다. 주요 공공기관의 부채 문제가 심각한 것 역시 신규 발주 및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건설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고용 수준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17년 상반기 전자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전자 - 전기자동차·스마트폰 등 프리미업 제품 수요 증가로 5000명↑ 전자 업종의 상반기 고용규모는 전년 동기에 비해 0.8%, 5000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신시장 창출 지연, 전세계적 경기침체, 교역 둔화 등으로 2017년에도 세계 전자시장은 소폭 성장에 그치는 저성장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기자동차 수요 증가, 차기 스마트폰 모델 출시, SSD 채택률 증가 등으로 프리미엄급 제품 위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용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2017년 상반기 기계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기계 - 대외 설비투자 수요 증가로 5000명↑ 기계 업종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0.7%, 5000명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됐다. 기계 업종은 상반기 대외 설비투자 수요 증가로 기계산업에 호재를 기대하고 있으나 보호무역주의의 대두로 개선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인력기획팀 유재훈 연구원은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대규모 인프라 투자 확대(1조 달러), 감세정책으로 경기회복 및 기계설비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보호무역주의 정책 강화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중국의 자국 기업 육성 정책 및 일본 제품과의 경쟁 심화, 브렉시트 가결 후 유럽의 자국 우선주의 정서 확산, 미국의 금리인상 및 세일오일 생산 증가 등도 고용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고용은 전년 상반기 수준에 비해 소폭 상승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 2017년 상반기 반도체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반도체 - 낸드 수요 증가·미국의 중국 반도체 견제로 1000명↑ 반도체 업종의 일자리도 늘어날 전망이다. 전년도 수요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더불어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안정세 지속 및 IT 기기당 탑재 용량 증가 등으로 반도체 업종은 올해 상반기 0.8%, 1000명의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에는 공급과잉 및 단가 하락으로 시장이 주춤했으나 올해에는 낸드(NAND) 관련 수요 증가에 따른 수급개선으로 매출 증대가 전망된다. 유 연구원은 “PC의 고사양화, 중저가 스마트폰의 고용량화 등으로 반도체 물량이 증가할 것”이라며 “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규 수요 산업이 늘어나면서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고성장세의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견제 역시 국내 반도체 시장에 다소 유리하게 작용함에 따라 반도체 업종의 고용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2017년 상반기 금융보험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금융보험 - 은행 수익 개선·저축은행 구조조정으로 6000명↑ 마지막으로 2017년 상반기 금융보험(은행) 업종도 시중 금리 상승과 자본시장 육성 정책에 따라 지난해 상반기 대비 0.7%, 6000명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보험 업종은 경제성장세 둔화와 주택 및 부동산 경기 하락, 그리고 대출 증가율 둔화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소폭 둔화될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시중 금리 상승으로 은행의 수익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상호저축은행은 성공적인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 금융당국의 자본시장 육성 정책과 저금리 기조가 증권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주요 업종의 2017년 상반기 일자리 전망’ 중 조선 업종은 지난해 대비 2만 7000명(-15.0%)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외에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섬유 300명(-0.3%), △철강 1000명(-0.7%), △디스플레이 1000명(-0.8%)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 굿잡뉴스 > 취준생
      2017-01-31
    • [일본취업 집중분석]⑩ 아지노모토, MSG로 음식을 개혁하다
      ▲ 조미료와 가공식품을 넘어 의약품과 화장품사업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아지노모토. Ⓒ아지노모토 공식홈페이지 캡쳐 일본 최대 조미료 생산(뉴스투데이/도쿄=김효진 통신원) 한국에서 몇 년에 한 차례씩 격론이 벌어지는 MSG 이야기. 한국에선 미원으로 대표되는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줄임말인 MSG는 이제 음식에 빠질 수 없는 필수 조미료가 되었는데 오늘 소개하는 일본기업 아지노모토가 MSG를 처음 발견하였고 관련 특허를 갖고 있는 회사이다.일본 최대 조미료 생산기업으로 매출만 10조원이 넘는 아지노모토는 현재 식품을 넘어 의약품과 사료, 원자재까지 다방면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인수합병(M&A)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아시아와 중남미, 아프리카 등 해외영업에도 활발하지만 유통사를 끼지 않고 자사가 직접 판매하는 방식을 고집하고 있으며 그만큼 해외근무에 대한 가능성도 식품업계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최근에는 해외지점에서 채용한 현지사원의 육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한국에도 인천 송도에 ‘한국 아지노모토’ 지사를 두고 있다.△ 회사연혁 = 1907년 스즈키 사부로스케(鈴木 三郎助)라는 사업가가 스즈키 제약소(合資会社 鈴木製薬所)를 설립하고 이듬해인 1908년에 이케다 키쿠나에(池田 菊苗) 도쿄제국대학(현 도쿄대학) 화학과 교수가 다시마에서 L-글루타민산 나트륨이라는 성분을 발견한다.이는 바로 상품화로 이어졌고 1909년에 처음으로 아지노모토(味の素)라는 상표로 판매가 시작되고 폭발적인 시장의 반응을 얻는다.1917년에 뉴욕에 사무소를 개설하며 해외진출을 개시했고 1946년에 현재의 사명인 아지노모토로(味の素 株式会社) 사명을 변경하게 된다.1960년대에 미국의 켈로그, 독일의 크노르와 제휴를 통해 식품사업을 확장하고 1981년에는 의약품 사업에 진입한다.△ 매출 및 급여·대우 = 2016년 3월 결산 기준 매출 1조 1859억엔, 영업이익 910억엔, 순이익 636억엔을 기록하였다. 2011년부터 자회사를 매각하고 상품 수를 줄이며 고수익 사업에 집중하여 왔는데 시장의 우려와는 달리 매출과 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초임은 학사가 평균 20만7000엔, 석사가 23만엔, 박사가 27만6400엔을 받고 있으며 보너스는 각 평균임금의 7.2개월분이 지급되고 있다.직원의 평균연봉은 923만엔으로 상장기업 3550사 중 108위, 식료품 기업 132사 중 5위로 매우 높으며 정년까지의 임금총액은 3억 1344만엔으로 상장기업 중 149위, 동종업계 6위로 최상위권이라고 할 수 있다.여름휴가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아 개인연가를 사용해야 하며 연말휴가는 4일이 주어진다. 유급휴가는 20일 중에 평균 15.4일이 소비되어 양호한 편이며 육아휴직은 자녀가 16개월이 될 때까지 신청가능하며 1년간 총 112명이 신청하였다. 육아휴직 후에도 단시간 근무제도를 이용하여 육아와 업무를 병행할 수 있다.△ 사원 및 업무환경 = 2016년 기준으로 4190명(평균 42.2세, 평균근속 18.3년)의 직원이 재직하고 있으며 남자 3135명, 여자 1055명으로 남녀비율은 75:25다.아시아와 북남미, 유럽 등으로 총 290여명이 파견 중에 있고 대부분이 관리직이다.월 평균 22시간정도의 잔업을 하고 있으며 승진은 개인의 실력보다는 연공서열이 조금 더 우선시 되고 있다. 아지노모토 고유의 복지제도는 부족하지만 직원들은 회사의 전반적 복지제도에 만족하는 편이며 특히 출산과 육아에 대한 평가가 우수하다.기업의 장래성과 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양호하며 특히 아지노모토만이 가진 제품과 기술력에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사원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식료품 업종에 속하는 기업이지만 사풍이 화학회사만큼이나 건실하다는 평가가 많고 해외영업과 지점운영이 활발한 만큼 해외인재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채용정보 = 아지노모토가 채용 시에 내세우는 인재상은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동시에 주위와 협력하며 행동할 수 있는 인재’이다.매년 3월부터 7월 사이에 채용이 이루어지는데 모든 지원자는 종합직과 기술직, 그리고 L코스와 M코스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지원해야 한다.L코스는 해외파견을 포함한 국내·외 전근이 가능한 전국형 종합코스이고 M코스는 원칙적으로 전근이 없는 특정지역 고정형 코스로 이해하면 된다.4가지 중 1가지 코스를 정해서 지원을 한다면 1) 이력서 제출 - 2) Web테스트 - 3) 면접(1~7회) - 4) 내정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입사하게 된다. 면접에서는 주체성, 사고력, 대인능력, 협조성에 대한 질문이 주로 오고 간다.2016년 기준 63명이 입사하였는데 학사는 대부분 인문·경상계열, 석사는 대부분 이공계 전공자가 선발되었다. L코스는 57명, M코스는 6명이 입사하였고 전체 남녀비율은 66:34였다.해외인재를 위한 별도채용은 진행되지 않고 일반채용과정에 동일하게 지원할 수 있다.△추천유형 = 일본 내 근무는 물론 장기적으로 한국근무도 희망하는 사람에게 권하고 싶다.2016년 신입사원의 대부분이 L코스로 입사한 만큼 근무 초기에는 일본 내에서 근무하겠지만 차후 관리직으로 승진할 경우 한국으로의 파견근무도 가능하다. 일본의 급여대우를 받으면서 한국에서 생활하는 것은 상당히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세상에서 음식이 없어지지 않는 한 MSG는 끊임없이 소비될 것이고 MSG에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 아지노모토는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것만으로도 지원동기는 충분하지 않을까.
      • 굿잡뉴스 > 취준생 > 일본을 뚫어라
      2017-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