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입력 : 2024.09.16 00:30 ㅣ 수정 : 2024.09.16 00:30
[기사요약] 현대차그룹 - GM과 차량, 첨단 파워트레인 및 공급망 관련 협력 위한 MOU 체결 승용차, 상용차, 내연기관, 전기차 및 수소연료전지차 등 포괄적 공동 개발 및 생산 추진 GM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분야 취약하지만 투자여력 보유 핵심 부품 공유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모델 다양화 효과 극대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메리 바라 GM CEO가 글로벌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출처=현대차그룹]
[뉴스투데이=곽대종 산업연구원 명예 KIET Fellow] 지난 목요일 현대차그룹은 GM과의 포괄적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승용 및 상용 차량 공동 개발 및 생산, 상호 공급망 강화 및 친환경 에너지 기술 관련 협력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 현대차그룹, GM과 상용차에서 미래 모빌리티까지 광범한 협력 추진
2023년에 730만여대를 판매한 글로벌 3위 현대차그룹과 618만여대를 기록한 5위 GM이 연합 전선을 구축할 경우 총 1350만대 규모가 되어 1위 토요타(1123만여대)와 2위 폭스바겐(924만대)을 압도하게 된다.
현대차그룹과 GM의 협력은 최근 이미 성사된 사례가 있다. 지난해 8월 16일 현대자동차가 GM인도법인이 보유한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함으로써 현재 세계 3위 규모이며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인도 시장에서의 기반을 더욱 강화한 것이다.
현대차그룹과 GM의 협력은 폭스바겐이 최근 경영 악화를 타개하기 위해 독일 내 완성차 및 부품공장 폐쇄와 전체 인력 10만명 중 2만명을 해고하는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으며, 토요타와 폭스바겐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사실과 교차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양 사는 협력을 통해 생산비용 절감, 효율성 제고 및 다양한 제품군의 제공 등의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현대차 김언수 부사장이 2023년 8월 16일 GM인도법인 카트리 부사장과 GM인도법인의 탈레가온 공장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 [출처=현대차그룹]
•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분야에서 취약한 GM, 픽업 등 상용차 시장 노리는 현대차와 이해관계 일치
이러한 협력으로 양 사가 얻는 이익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한다.
먼저 하이브리드차 및 전기차 등에서 기반이 취약한 GM이 하이브리드차에서는 토요타를, 전기차에서는 테슬라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현대차그룹과 협력할 경우 이 분야의 경쟁력 보완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최근 하이브리드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마일드 하이브리드에서부터 풀 하이브리드까지 상당한 경쟁력을 보유한 현대차그룹과의 협력은 GM으로 하여금 약점을 보완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현대차는 최근 내연기관으로는 발전만하고 주행은 전기 모터로 하는 주행거리 900km의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를 개발하고 있는데 국토가 넓어 이동을 자동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미국 실정을 고려하면 현대차그룹과의 협력을 통한 EREV는 GM으로서 매력적인 대상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