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류)식료품 업계 줄줄이 가격 인상...정부 '가격 인상 자제' 효과 있나

서민지 기자 입력 : 2025.02.24 23:38 ㅣ 수정 : 2025.02.24 23:38

새해 들어 먹거리 브랜드 15종 가격 인상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물가 안정 기조 동참 당부
정부 가격 통제 '적절성' 의문...기업 부담 증가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한 시민이 서울의 어느 대형마트에서 맛김을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서민지 기자] 연초부터 식료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원재료 가격 인상에 고환율 여파까지 덮쳤기 때문이다. 수익성을 고려해야 하는 기업들은 마지막 조치로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내들 수밖에 없다. 정부는 뒤늦게 가격 인상 자제를 당부했으나 뚜렷한 타개책이 없는 상황이다. 

 

25일 식품 업계에 따르면 새해 들어 가격 인상을 단행한 브랜드는 15종에 달한다. 커피 전문점과 과자, 빵, 외식 프랜차이즈 등 품목도 다양하다.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올리자 가공식품 물가도 1년 만에 크게 올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농림축산식품부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22.03(2020년=100)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2.7% 증가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2%를 상회한 수치다. 특히 초콜릿 11.2%, 맛김 22.1% 등 오름세가 큰 품목이 많다.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이 급격히 높아지자 정부는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강조하고 나섰다. 

 

image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최근 국내 주요 식음료 기업들의 대표 및 임원들을 만나 물가 안정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최근 △CJ제일제당 △SPC삼립 △남양유업 △농심 △동서식품 △동원F&B △삼양식품 △오리온 △오뚜기 △풀무원식품 △매일유업 △일화 △샘표 △빙그레 △대상 △롯데웰푸드 등 국내 식음료 기업 17곳의 대표 및 임원들을 만났다. 송 장관은 이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가격 인상을 정부와 협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송 장관은 "지금 내수 회복과 민생 안정이 굉장히 중요한 시점인데 핵심은 일단 물가가 안정돼야 한다"며 "제조 혁신과 기술 개발 등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런 기조가 실효성 있는 정책인지 의문을 표하고 있다. 통상 정부 압박 아래 눈치만 보던 기업들은 더는 버티지 못하고 큰 폭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상승이라는 기업의 이중 부담을 정부가 헤아리지 못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지난해 11월 1300원대에 머물던 환율은 1400원 후반대까지 올랐다가 전일 1427원을 기록했다. 국내 식품 업계는 원자재의 약 70%를 외국에서 수입한다. 즉 환율이 오를수록 기업의 부담은 가중된다. 원자재 공급망 문제와 기후변화도 가격 상승에 일조했다. 원자재비가 오르면 기업들은 이를 가격에 반영하고, 소비자 가격도 높은 수준으로 책정된다. 

 

image
이효율 한국식품산업협회장. [사진=한국식품산업협회] 

 

이효율 한국식품산업협회장도 홈페이지에 가공식품 물가 인상에 대한 설명 자료를 게시하며 "그간 식품 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 물류비 부담 증가 및 원/달러 상승 등 경영비 상승 압박에도 가격 인상을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소수의 수출 주도형 기업은 K푸드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내수 침체로 경영의 어려움이 매우 심각하다"고 말했다. 

 

실제 주요 기업들의 해외 실적은 호조를 기록했으나, 수익성 및 내수 실적은 감소세를 보였다. CJ제일제당의 경우 지난해 국내 식품사업 매출은 5조 7716억 원으로 1.8% 줄었으나 해외 식품 사업은 3.6% 늘어 5조 5814억 원으로 집계됐다. 삼양식품은 수출 비중을 지난해 3분기 기준 77%까지 늘리며 3442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오리온도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 등 해외 법인에서 실적을 견인하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매출 3조 원을 돌파했다. 

 

이영애 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환율 변동성이 크고 원가 부담도 늘어나는 상황에서 식품 업계는 가격 인상을 지속할 수 밖에 없다"며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며 소비자 물가도 오르는데 이를 정부가 인위적으로 제재한다면 향후엔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이라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