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50204500244
우리은행 부당대출 파장

현 경영진도 제재 사정권 들어오나

글자확대 글자축소
유한일 기자
입력 : 2025.02.05 08:22 ㅣ 수정 : 2025.02.05 08:22

금감원 검사서 2334억원 규모 부당대출 적발
대출심사·사후관리 소홀해...금품 수수 정황도
이복현, 현직 경영진도 내부통제 책임 범위에
우리은행 “겸허히 수용..지적사항 개선하겠다”

image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금융당국 조사를 통해 드러난 우리은행의 부당대출 사례는 내부통제 체계가 총체적 부실 상태에 빠져있다는 걸 여실히 보여준다. 여기에 미흡한 여신 관리 뿐 아니라 조작, 경징계 등으로 사실상 금융사고 리스크를 방치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현 경영진에 대한 제재 가능성도 제기되는 가운데 우리은행은 고객 신뢰 회복에 총력을 다할 것으로 전망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전일 ‘2024 금융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 결과’를 통해 우리은행에서 취급된 부당대출이 총 2334억원(101억원) 규모라고 발표했다. 함께 검사가 진행된 KB국민은행(892억원·291건), NH농협은행(649억원·90건) 대비 압도적으로 큰 수준이다. 특히 이 같이 우리은행서 비정상 절차로 취급된 대출 중 1680억원(72%)은 현재 부실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에 따르면 우리은행 부당대출 중 전·현직 고위 임직원이 연루된 건은 총 1604억원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본부장 3명, 지점장 24명 등 총 27명이다. 이들이 단기성과 등을 위해 대출심사와 사후관리를 소홀히 한 결과라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특히 이 중 987억원(61.5%)은 현 경영진 체제서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은행의 부적정한 대출심사와 사후관리가 부당대출 규모를 키웠다는 평가다. 사업과 무관한 대출이 취급되고 계약서 등 서류에 대한 진위 여부 확인도 소홀하게 이뤄진 게 금감원 조사 결과 드러났다. 또 작업대출에 이용된 법인이 폐업하고 제3자가 이자를 대납하고 있는데도 은행 측에선 정상대출로 분류하며 사실상 이상징후를 묵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 고위직의 개인적 인연이 부당대출로 연결된 사례도 나왔다. 여신지원그룹 부행장은 같은 교회 교인인 대출 브로커를 과거 함께 근무한 부하직원(영업지점장)에 소개해줬는데, 이후 총 17억8000만원 규모의 여신이 취급됐다. 상환능력과 소요자금 심사는 소홀했다. 특히 해당 지점장은 여신 취급 후 아내 계좌로 약 3800만원을 수수한 정황도 포착됐다.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친인척이 연루된 부당대출 규모도 총 730억원으로 늘어났다. 일례로 우리은행의 한 지역본부장은 한 영업점을 통해 손 전 회장 친인척과 관련된 법인에 총 42억7000만원 규모의 여신을 취급하면서 자금용도와 상환능력 평가를 소홀히 하는 등 내규를 다수 위반했다. 해당 지역본부장은 퇴임 후 손 전 회장 친인척과 관련된 회사에 재취업했다. 

 

특히 금감원은 우리은행이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혐의를 인지하고도 금융당국에 5개월 가까이 보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 검사 및 검찰 수사가 지연됐다는 설명이다. 서울남부지검은 지난달 21일 손 전 회장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위반(배임)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부당대출에 연루된 지역본부장도 불구속 상태로 함께 재판에 넘겨졌다. 

 

우리은행은 부당대출 뿐 아니라 내부통제 전반에 다양한 문제점이 발견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한 파생상품 딜러는 홍콩H지수 급락에 따른 주가연계증권(ELS) 손실을 숨기기 위해 데이터를 왜곡했다. 이를 통해 약 2년간 1000억원의 누적 손실을 숨겼다. 조직에서 적절한 검증 절차 없이 왜곡된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방치해놨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금감원은 우리은행이 잇따른 금융사고에도 불구하고 ‘솜방망이 징계’를 내리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손 전 회장이 은행장 재임 시절 완화시킨 징계 기준을 현재까지 방치해 여신 관련 사고자 상당수가 견책 이하의 경징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징계 예정자에 대해 제재 완료 전 포상·승진을 시행한 사례도 있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 결과 확인된 부당대출 취급 등 위법 사항에 대해서 엄정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가장 규모가 큰 우리은행은 내부통제 부실과 관련해 고강도 제재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법규 위반 사항은 그 책임에 맞게 엄중 제재하는 등 검사 결과 후속 처리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우리은행과 우리금융 현 경영진에 대한 직접 제재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금감원은 이번 검사 발표서 우리은행 부당대출 중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취임(2023년 3월) 이후 취급된 규모를 따로 떼어내 표기했다. 전·현직 고위 임직원이 연루된 부당대출 중 61.5%, 손 전 회장 및 친인척이 연루된 부당대출 중 61.8%가 현 경영진 체제서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우리은행은 부당대출 파장을 수습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부통제는 금융사의 생명인 고객 신뢰와 직결되는 만큼 강력한 쇄신 필요성이 제기된다. 지난해 12월 31일 취임한 정진완 우리은행장 역시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내세웠다. 우리금융은 그룹 임원 친인척의 개인정보를 등록해 여신 관리를 강화하고, 외부 익명 신고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금융사고 방지 대책을 잇따라 도입했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금감원 검사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지적사항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여신 관리와 직원 윤리 등 내부통제를 지속 강화해 나가고, 기존에 도입한 것 뿐 아니라 추가적인 대책도 필요하다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