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우리·농협은행서 3800억원대 부당대출...짬짜미에 금품도 수수
금감원 지주·은행 검사 결과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KB국민·신한·우리 등 대형 시중은행에서 3800억원대 부당대출이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금융사고가 금융사의 단기성과 치중 및 건전성·리스크 관리 경시, 온정적 조직문화 등에 기인한 결과라고 판단했다.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우리·농협은행에서 총 482건, 3875억원 규모의 부당대출이 확인됐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2334억원(101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 892억원(291건), 농협은행 649억원(90건)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규모가 총 730억원으로 불어났다. 금감원 조사 결과 기존 의심대출 350억원에 380억원이 추가로 확인된 결과다. 특히 손 전 회장 친인척이 연루된 부당대출액 중 451억원(61.8%)은 현 경영진 이후 취급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이 우리은행이 손 전 회장 친인척을 대상으로 실행한 부당대출 중 상당 규모가 이미 부실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우리은행 전체 부당대출 730억원 중 338억원(46.3%)이 이미 부실화된 것으로 판단했다.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된 부당대출 451억원 중 123억(27.3%)이 부실 상태다.
또 우리은행 전·현직 고위 임직원들이 단기성과 등을 위해 대출심사・사후관리를 소홀히 해 총 1604억원의 부당대출이 취급된 것도 확인됐다. 이 중 987억원(61.5%)은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됐고, 1229억원(76.6%)은 이미 부실화된 상태다.
국민은행에서는 팀장급 직원이 시행사·브로커 작업대출에 조력한 사례도 적발됐다. 허위 매매계약서 등 관련 서류를 제공받아 대출이 가능한 허위 차주를 선별하고, 대출이 용이한 업종으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활용됐다. 일부 대출에 대해서는 금품 및 향응을 받은 정황도 포착됐다.
농협은행의 경우 지점장·팀장이 브로커·차주와 공모해 허위 매매계약서를 근거로 감정평가액을 부풀리거나, 여신한도·전결기준 회피를 위해 복수의 허위차주 명의로 분할해 승인받는 방법으로 부당대출이 실행됐다. 농협은행 역시 일부 대출에 대해서 차주 등에 금품(약 1억3000만원)을 수수한 정황이 확인됐다.
금감원은 이 같은 금융사고 배경으로 △단기성과에 치중하는 경영방침 △건전성·리스크 관리 경시 △온정적 징계 등 느슨한 조직문화 등을 제시했다. 앞으로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구현과 건전성·리스크 관리 강화, 조직문화 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법규위반에 대해서는 엄정 제재한다는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검사 결과 나타난 회사별 취약점에 대해서는 향후 재점검 등을 통해 개선실태를 면밀히 확인하고, 법규위반 사항은 그 책임에 맞게 엄중 제재하는 등 후속처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며 “오랜기간 누적된 불건전 조직문화 개선은 자율적인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금융회사와 임직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