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홍콩 ELS 사태 본질은 과도한 실적 경쟁 탓…은행서도 자성의 목소리
[뉴스투데이=최병춘 경제부장] 은행이 하는일을 일률적으로 규정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고객의 돈을 보관하고 이를 빌려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돈을 빌려주면서 발생하는 이자가 주된 벌이의 수단이다.
고객 또한 큰 이익은 아니지만 안전하게 자산을 보관할 수 있고 다른 금융기관에 비해 큰 부담없이 필요한 자금을 빌릴 수 있어 은행을 찾는다.
큰 수익을 기대한다면 은행 대신 투자 전문 금융사인 증권사나 자산운용사를 찾아 예금이 아닌 투자에 나서지 굳이 은행을 찾아갈 이유가 없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은행이 안전한 수익이 보장된 예금이나 대출 상품만이 아닌 다른 돈벌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은행이 보장된 이자수익보다 더 많은 이익을 거두고 싶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은행원은 대출상품 파는 것 못지 않게 각종 투자상품을 대신 팔아야하는 경쟁에 내몰렸다. 그들도 나름 고충일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지난 2019년 파생결합상품(DLF) 사태와 이번 홍콩 H(항셍)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사태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번 ELS의 경우 해당 지수가 일정 기준폭을 넘어 하락하지만 않으면 원금과 약정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로, 은행은 판매 수수료를 챙긴다. 대신 지수가 폭락하면 하락률만큼 원금 손실이 발생해 고위험 상품으로 분류된다. 은행 입장에서야 투자가 손실이 나도 중계 수수료만 받으면 되기 때문에 손해볼 일이 없다.
어찌보면 떼일 염려가 큰 대출보다 더 안전한 수익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고객은 다르다. 예금이랑 달리 자칫 큰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두 사례 모두 믿고 돈을 맡긴 고객에게 정작 은행은 위험성을 충분히 알리지 않으면서 문제가 됐다.
물론 각 사례별로 잘잘못을 따져봐야겠지만 지금까지 확인 된 것만으로도 은행은 많게는 수조원을 배상을 물게 됐다. 물론 은행을 믿었던 고객의 피해는 더 크겠지만.
작년 말 기준 금융권 ELS 판매 잔액 18조8000억원으로, 은행 판매 잔액만 15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14조4000억원어치가 개인 고객에게 판매됐다. 올해 하반기까지 전체 예상 손실액은 5조8000억원이나 된다.
금융당국은 다시 은행이 위험한 돈벌이를 못하게 하려는 분위기다. 지난 DLF 사태 당시 은행에서 이런 고위험 상품을 다루는 건 적절치 않다는 지적에 금융당국은 고위험 상품의 판매 금지 방침까지 세운바 있다. 원금 손실률이 20%를 초과할 수 있는 ELS 신탁 상품 등 고위험 상품의 은행 판매를 금지한다는 내용이었지만 일부 지수 연동형 공모 ELS에 한해서는 신탁 상품 판매를 허용한다는 내용으로 완화됐다.
은행이 투자자 보호 강화에 적극 나선다는 전제로 은행 건의를 받아들인 것인데 DLF 당시 과오를 되풀이 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됐다. 앞으로 ‘불완전 판매’ 과오도 충분히 되풀이 될 수 있는 환경이다.
이번 ELS 사태로 금융당국은 다시 은행의 고위험 상품 판매 규제안을 들여다 보고 있다는 데 한 번 꺾였던 이력이 있는 만큼 더 두고볼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다만 이 같은 금융사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강제력은 환영할 일은 아니다. 은행들이 고객 자산의 안전을 우선으로 두고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게 최선이다.
지난해부터 은행은 이자수익으로만 최대 실적을 경신하고 있다. 이자수익외 무리한 돈벌이에 은행들이 굳이 매달릴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은행보다 더 전문적으로 투자자산을 관리하는 금융기관이 존재한다. 굳이 은행까지 나설 이유는 없다. 은행이 과욕을 멈춘다면 고객의 자산도 한층 더 안전해질 수 있다.
은행 내부에서도 이와 관련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여하튼 고객은 은행이 안전하다고 믿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월급과 퇴직금 등 내 자산을 맏기는 것이다. 더 이상 고객의 믿음이 위험한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되지 않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