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연, ‘’25~’29 무기체계 소재·부품 기획서’ 최초 발간
280개 무기체계 소재·부품 국산화 개발 로드맵 제시로 국내 공급망 강화 토대 마련
![image](http://cdn.news2day.co.kr/data2/content/image/2025/02/14/.cache/512/20250214500012.png)
[뉴스투데이=김한경 기자] 국방기술진흥연구소(이하 국기연)는 13일 무기체계 획득, 운영유지와 수출 등에 필요한 소재·부품의 개발 소요를 분석해 5개년 개발 로드맵을 제시하는 ‘’25~’29 무기체계 소재·부품 기획서’(이하 기획서)를 최초로 발간했다.
이 기획서는 최근 체계적인 국산화 개발 사업추진을 위해 새롭게 구축한 사업기획체계와 함께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의 ‘2025년 소재부품 국산화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국내 방산 첨단 소재‧부품 공급망 확보에 필요한 개발과제의 소요조사와 기술분석 및 사업화 전략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자 올해 처음으로 국기연이 내놓은 문서이다.
이번에 발간하는 기획서는 2025년부터 5년간 개발이 필요한 280개 소재‧부품을 대상으로 작성됐으며, 1권 총론, 2권 중점조사대상 무기체계 조사분석서, 3권 소재부품 심층분석 보고서 등 총 3권으로 구성된다.
이 중 2권은 중점조사대상으로 선정된 무기체계를 중심으로 △무기체계 및 사업 현황 △패키지 과제로 개발이 필요한 소재부품에 대한 조사분석 △개발전략 및 체계적용전략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3권은 280개 소재‧부품 중 기술적‧사업적으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소재‧부품에 대한 심층분석 내용을 담고 있다.
국기연은 △국내 방산 첨단 소재·부품 공급망의 선제적 확보, △무기체계 운용‧정비성 및 군수지원능력 향상, △민간 우수기술의 국방 분야 적용확대의 관점에서 개발이 필요한 패키지형·정부정책형·성능개량형·운용성개선형·이어달리기형 등 5가지 추진중점 과제 트렌드를 선정하고 과제별 사업화 전략을 기획서에 제시했다.
특히 ‘K1계열 전차 부품 패키지 과제’는 운영유지‧장비가동 문제를 해소하고, 구형 장비의 디지털화‧통합화‧소형화 및 기능‧성능 확장성 확보를 위해 국산화 개발이 필요한 14개 부품의 사업추진 전략 분석 내용을 담았다.
또한, 방호용 대드론 시스템, 상황인식장치, 유기압현수장치용 질소압력 진단시스템 등은 기존에 없던 기능과 성능을 추가하는 형태의 과제로써 무기체계 운용성과 정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부품 성능개량형 과제도 포함돼 있다.
한편 올해 개선된 제도에 따라 정부출연연구소(이하 정출연), 학교와 같은 비영리 기관도 앞으로는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국산화 개발 사업 참여가 가능해짐에 따라, 민간의 우수 혁신기술의 국방 유입 여건이 더욱 활성화돼 무기체계 첨단화와 성능개선은 물론 국방-민간 연구개발(R&D) 성과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발간되는 기획서는 국방부, 각 군, 방사청, 방산업체, 정출연 등에 책자로 배포할 예정이며, 국기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열람할 수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