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50208500012
생성형 AI(Generative AI),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본다! (90)

‘AI 에이전트’가 몰려온다! ④ - OpenAI가 연이어 선보인 ‘대리인’, ‘오퍼레이터’와 ‘딥 리서치’

글자확대 글자축소
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입력 : 2025.02.11 00:30 ㅣ 수정 : 2025.02.11 00:30

[기사요약]
OpenAI, 최근 2개의 AI 에이전트 출시.. 딥시크가 던진 파장에 관심도는 다소 떨어져..
그래도 올해 AI 에이전트 분야의 열기는 지속할 것
오퍼레이터(Operator), API 없이도 작업 완료할 수 있는 기능 갖춰..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 사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훈련
딥 리서치(Deep Reserch), 복잡한 지식 작업 처리하도록 설계.. 논리 집약적인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 발휘
AI 둘러싼 혁신과 경쟁의 조화, AI 에이전트가 일상 업무에 필수적인 존재 되는 시대 위한 발판

사람들은 시, 소설, 보고서 등 글쓰기, 그림 그리기, 알고리즘 코딩 등 창작의 세계가 그동안 인간에게만 허락된 별도의 영역이라 알고 있었다. 그런데 AI(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이제는 진화한 AI가 스스로 창작의 영역을 넘보는 시대가 되었다.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등장은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으며 우리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가늠하기 쉽지 않지만, 생성형 AI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현실로 나타나 적용되고 있다. 우리에게 성큼 다가온 생성형 AI의 시장현황, 다양한 이슈와 관심 사항 등을 살펴보기로 하자. <편집자 주>

 

image
[출처=business-standard, Bloomberg]

 

[뉴스투데이=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최근 OpenAI는 2개의 AI 에이전트(AI agent)를 출시했다.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AI 기반 챗봇이 시장에 던진 파장으로 인해 다소 관심도가 떨어진 측면도 있지만, 올해 AI 에이전트 분야의 열기를 잠재울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OpenAI가 선보인 ‘대리인’이자 ‘비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 웹 브라우저에서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 사용하고 제어

 

지난 1월 말(현지시간 23일), OpenAI는 ChatGPT Pro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최신 기술인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Operator)’를 공개했다.

 

오퍼레이터는 여행 예약 및 식료품 구매와 같은 작업을 웹 브라우저에서 자율적으로 완료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존 챗봇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는 첫 번째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번 출시는 OpenAI의 CEO인 샘 알트만이 주도한 온라인 이벤트에서 이루어졌는데, 그는 오퍼레이터가 보다 직관적인 AI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과정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알트만은 “OpenAI는 앞으로 더 많은 에이전트를 출시할 예정이다."라고 말하며 향후의 흥미로운 개발 계획을 암시했다.

 

image
[출처=hari]

 

오퍼레이터는 사용자가 화면을 탐색할 때 인간의 상호작용을 모방해 컴퓨터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GPT-4o에 구축된 새로 개발된 CUA(Computer-Using-Agent) 모델을 활용한다.

(※ CUA는 AI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직접 컴퓨터를 조작해 작업을 수행하는 모델이다. AI의 활동 범위가 단순히 웹페이지나 소프트웨어 범위를 넘어 사용자 컴퓨터 전체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

 

오퍼레이터의 차별화 요소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없이도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고유한 기능이다. 이러한 혁신 덕분에 에이전트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웹사이트와 연동할 수 있어 기능의 범위가 크게 넓어졌다.

 

OpenAI 기술팀은 “오퍼레이터는 화면을 보고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훈련받았다.”라고 설명한다.

 


• ‘딥 리서치’, 복잡한 지식 작업 처리하도록 설계

 

image
[출처=windowscentral, Bloomberg]

 

딥시크의 R1 모델이 실리콘밸리를 뒤흔든 지 약 2주 후, OpenAI는 최신 GPT o3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된 에이전트형 AI인 ‘딥 리서치(Deep Reserch)’를 선보이며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2월 2일에 공개된 딥 리서치는 복잡한 지식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논리 집약적인 작업에서 ‘딥시크 R1’보다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고 OpenAI는 블로그 게시물에서 밝혔다.

 

딥 리서치는 AI 전문가 수준의 추론 능력을 테스트하는 벤치마크인 ‘인류의 마지막 시험(Humanity’s Last Exam)‘에서 26%의 정확도를 기록해 R1의 9%보다 거의 세 배나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샘 알트만은 딥 리서치가 “전 세계에서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모든 작업의 한 자릿수 비율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observer, 2025.2.6.).

 

image
[출처=medium]

 

딥 리서치는 실시간으로 웹 스크레이핑을 자율적으로 수행해 재무 보고서, 과학 연구 또는 정책 평가를 몇 분 안에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답변을 제공하기 전에 AI 모델의 추론 과정(Chain of Thought)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딥시크 R1의 ‘DeepThink’ 모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다.

 

딥 리서치는 현재 한 달에 200달러의 비용이 드는 ChatGPT Pro 구독자에게 제공되며, 월 100개의 쿼리로 제한된다.

 

딥 리서치는 특히 “집중적인 지식 작업을 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에 크게 의존한다고 OpenAI는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한 식료품 쇼핑이나 자동차 구매와 같은 다른 활용 사례에도 사용할 수 있다. AI는 차트, 인용문, 추론 요약이 포함된 종합적인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인간 사용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AI 에이전트의 미래, 유망해 보이지만 도전과제도 많아..

 

image
[출처=observer]

 

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오퍼레이터, 딥 리서치와 같은 AI 에이전트의 미래는 유망해 보이지만 도전과제도 많다.

 

제품을 개선하고 추가 에이전트를 출시하려는 OpenAI의 노력은 AI 분야가 점점 더 혼잡해지는 가운데 리더십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이제 AI 에이전트의 역량을 강화해 유망함을 실현해야 할 책임이 회사에 있다.

 

이러한 혁신과 경쟁의 조화는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AI 에이전트가 일상 업무에 필수적인 존재가 되는 시대를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OpenAI의 오퍼레이터, 딥 리서치는 경쟁사의 발전과 함께 이러한 변화의 선두에 서서 사용자에게 전례 없는 수준의 지원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mage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1. 1 [CES 2025 포커스 (1)] Physical AI: 디지털 전환(DX)에서 AI 전환(AX)으로
  1. 2 [생성형 AI(Generative AI),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본다! (88)] 중국 ‘딥시크(DeepSeek)’, 미국 AI 업계에 강펀치 날려.. 하지만 전개상황 지켜봐야!
  1. 3 [글로벌 ‘AI+X’ 스타트업 (5)] '하베이(Harvey)', AI 로펌 시대를 열다!
  1. 4 [스마트관광으로 재도약하는 K-관광대국 (2)] 스마트공연예술, 어디까지 왔나? (上)
  1. 5 [미네르바의 눈] 2025년 글로벌 청정기술 관련 투자, 사상 처음으로 석유 및 가스 관련 지출 넘어설 듯..
  1. 6 [미네르바의 눈] 물류단상(物流斷想): 제주도에서의 워케이션 체험과 ‘물류의 이유’
  1. 7 [미네르바의 눈] 한국경제의 경기순환, 어떻게 변해왔나? (1)
  1. 8 [경제안보 관점에서 본 북한 문제 (21)] 급등하는 북한시장환율, 이러한 현상 2025년에는 지속할 듯
  1. 9 [생성형 AI(Generative AI),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본다! (89)] ‘AI 에이전트’가 몰려온다! ③ - 커피 머신 vs. 바리스타
  1. 10 [일본 종합상사가 눈독 들이는 미래사업은? (55)] 신에너지, 에너지의 미래를 개척하다! ⑪ - 이토추 상사(伊藤忠商事) (中)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