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드] 트럼프발 미중 관세전쟁 불똥 튄 구글과 애플

정승원 기자 입력 : 2025.02.06 01:47 ㅣ 수정 : 2025.02.06 09:02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보복조치로 중국 당국이 구글의 반독점 조사 착수에 나서자 구글이 모회사로 있는 알파벳 주가 10% 가량 떨어져, 애플에 대해서도 조사 나설 가능성 제기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중국당국이 미국 추가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애플의 앱스토어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미국이 먼저 때리면, 중국이 보복에 나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IT 메가캡 기업들이 샌드위치 신세가 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알파벳(구글 모회사) 주가는 개장초 10% 가량 하락하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관련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데다, AI 기술 구축에 따른 자본지출 규모가 당초 500억 달러에서 750억 달러로 크게 늘어난 점도 악재로 지목됐지만, 중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 착수 발표가 주가하락을 부추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구글 뿐만 아니라, 애플 역시 중국 정부의 보복조치에 따른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에 대한 조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애플 주가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구글과 애플을 둘러싼 움직임은 단순한 개별 기업 이슈가 아니라 미중 무역전쟁의 연장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부터 시작된 미중 갈등은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지속되었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다시 격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그 와중에 빅테크 기업들까지 그 영향권에 놓이게 된 것이다.

 

알파벳은 올해 AI 기술 구축을 위해 7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월가 예상보다 29% 많은 금액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부문 매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고, AI 칩 관련 수익 역시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 주가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앤드류 콜린스 모건스탠리 수석 애널리스트는 “구글은 AI 연구개발(R&D)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뚜렷한 수익성 개선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특히 중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가 장기화될 경우, 구글의 글로벌 사업 확장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이 발표한 반독점 조사 착수는 구글의 검색 엔진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독점적 지위 남용 여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제러미 리 홍콩대 경제학 교수는 “중국 당국이 구글을 표적으로 삼는 것은 단순한 경쟁 법률 적용이 아니라,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며 “이 조사가 향후 구글의 중국 내 사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중국시장에 많은 공을 들여온 애플 역시 중국 정부의 강도 높은 조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타격이 예상된다. SAMR은 애플의 앱스토어 수수료 정책, 서드파티 결제 차단, 그리고 서드파티 앱스토어 이용 제한 등이 반독점법 위반 여부에 해당하는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 통신은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은 이미 유럽연합(EU)에서 반독점 조사를 받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이를 문제 삼기 시작하면 애플의 글로벌 서비스 매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경제 전문가인 마이클 테일러 씨티은행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하드웨어보다는 앱스토어, 서비스 매출에서 더 높은 마진을 창출하는데, 중국이 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 수익성에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며 “특히 중국은 애플의 핵심 시장 중 하나로, 만약 앱스토어에서의 수익 모델이 흔들리면 애플의 전체 성장 전략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중 무역 갈등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전부터 충분히 예견되었던 일인데, 그 불똥이 IT 업계로 확대되기 시작한 것은 두 나라간 기술 패권 경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시각도 많다.

 

샌프란시스코 소재 스타트업 투자사 테크 인사이트의 창립자 케빈 우는 “중국은 자국 내 IT 기업 보호를 위해 미국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니라, 향후 10년간 지속될 기술 패권 경쟁의 일부”라고 분석했다.

 

특히, 인텔과 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들까지 중국 당국의 조사 대상에 오를 경우 IT 업계 전반의 불확실성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제프리 밀러 JP모건 수석 경제학자는 “미국 IT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보다 유연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특히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미국 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규제 리스크를 고려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