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영 기자 입력 : 2025.01.21 09:08 ㅣ 수정 : 2025.01.21 09:08
정부,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내수 활성화 기대 27일 일한다는 중소기업 VS 31일도 쉰다는 대기업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임시공휴일도 정상 출근 대기업 42.2% '7일 이상 휴무'…31일 특별 휴가 지정 설 상여금 지급에도 기업 간 격차 발생해 대책 필요 금융지원‧휴일 사용 인센티브 제공 등 창의적 정책 필요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2025년 설 연휴는 오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6일 이상의 징검다리 휴일이 가능하다. 하지만 임시공휴일에 일한다는 중소기업이 10곳 중 6곳으로 나타나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미지수다. 매년 반복되는 상여금 격차에 이어 명절 휴무일 격차까지 발생해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사기(士氣)가 바닥에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정부 차원의 추가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7일 발표한 '2025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800개 중소기업의 60.6%는 설 임시공휴일인 27일 휴무를 실시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심지어 27일 정상 출근하는 중소기업의 99.2%는 설 연휴 이외의 추가 휴무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오는 31일을 특별 휴무일로 정하고 이번 설에 9일 이상 휴무하는 대기업수는 늘어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9일 '2025년 설 휴무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서 300인 이상 기업의 42.2%가 설 연휴에 7일 이상 쉰다고 응답했다. 31일도 쉰다는 의미이다. 앞서 현대차, LG, 대한항공, GS, LS, 롯데, 에쓰오일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오는 31일을 휴무일로 지정했다.
올해 설 명절 상여금 지급에 대한 기업 간 격차도 커질 전망이다. 경총은 올해 300인 이상 대기업의 78.8%가 설 상여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대기업이 상여금을 지급한 비율과 동일하다. 반면, 중기중앙회는 올해 중소기업의 48.9%만이 설 상여금 지급을 확정했다면서 그나마도 상여금 지급 예정 기업의 2%는 지난해보다 상여금을 감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에 설 휴무일과 상여금에 양극화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경총과 중기중앙회 등 경제 단체들은 그 원인을 경기 침체로 인한 경영 악화로 분석한다. 경총 조사에서 300인 이상 대기업의 48.5%가 올해 설 경기 상황이 전년보다 나빠졌다고 밝힌 반면, 중소기업은 62.0%가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설 명절 기간 자금 조달마저도 어려운 곳이 많았다.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 10곳 중 3곳(33.5%)이 작년 설 대비 자금사정이 곤란하다고 밝혔으며 그 원인으로는 판매 부진(7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따라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설 연휴 임시공휴일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명절 전 중기 특별 자금 제공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소기업은 올해 설 자금으로 평균 2억2940만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필요자금 대비 부족자금은 평균 1920만원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을 위한 일시적인 금리 감면이나 특별 대출 한도 증액 등 금융 지원 정책 없이는 만들어 놓고 사용도 못하는 임시공휴일 정책에 오히려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사기만 더 떨어질 것이다.
경제 단체 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중소기업의 임시공휴일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임시공휴일에 쉬는 중소기업에 이자 할인, 휴가비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을 펼칠 수 있고, 납품 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도록 돕는 기업에 세제 감면 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임시공휴일에 일하는 근로자에게 대체 휴무를 제공할 경우 사업주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도 검토해볼만 하다. 설 연휴에 쉬지 못하는데 대체 휴무도 받을 수 없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마음은 서럽다.
이처럼 천장에 매달아 놓은 굴비를 바라만 봐야하는 서러움을 달래줄 수 있는 정부의 창의적 정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