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KT, 민·군 겸용 '저궤도 통신위성' 기술 개발 맞손

[뉴스투데이=전소영 기자] LIG넥스원과 KT가 6G 저궤도 위성 및 양자암호통신서 시너지를 내기 위해 손을 잡았다.
양사는 9일 민·군 겸용 저궤도 위성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은 ‘스페이스X’, ‘카이퍼 시스템즈’, ‘원웹’ 등 글로벌 기업이 리드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해외 위성과 지상국(위성과 통신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무선국)을 활용한다.
하지만 보안이 중요한 국방용 통신에서 해외 기업 위성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일어날 수 있어 한국형 저궤도 위성의 필요성이 조명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사는 6G 저궤도 위성 통신시스템 및 양자암호통신의 선행 연구를 함께 추진한다.
이를 통해 민군 겸용 저궤도 위성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군용 저궤도 전술위성 사업 등 여러 가지 국방 통신위성 사업 수주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양사는 우선 6G 위성통신 시스템 시뮬레이터를 공동 개발해 저궤도 위성군 설계에 활용할 예정이다.
LIG넥스원은 저궤도 위성 파트 및 위성 통신 부분을 담당한다. KT는 6G NTN(Non-Terrestrial Network, 비지상 네트워크) 기지국 파트를 맡아 성능분석과 요구사항 검증을 수행한다.
양사는 LIG넥스원의 초정밀 지향 추적기술과 KT의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접목해 통신 보안 역량도 강화한다. 초장거리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개발해 추후 군 이동전술망 사업 및 위성 암호체계 고도화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도경 LIG넥스원 C4I연구소장은 "5G와 저궤도 위성통신이 빠르게 첨단화, 고도화되며 첨단기술을 확보한 민군간 협력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육·해·공·우주를 아우르는 LIG넥스원의 독자적인 군 통신 역량에, KT의 상용이동통신 핵심기술을 접목해 더욱 빠르고 안전한 국방망 구축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 전무는 "이미 군통신체계에서 이동통신 기술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며 "KT는 이번 협력을 통해 지상 네트워크는 물론 위성 통신까지 6G 기술을 확장 적용해 군 통신체계의 진화 방향을 보여주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