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40814500216
민병두의 K-Sapience (22)

한글의 세계화는 가능한가? ③고종, 한글을 국문으로 선언하다 (1894-1945)

글자확대 글자축소
민병두
입력 : 2024.08.14 16:31 ㅣ 수정 : 2024.08.18 07:24

천주교 천도교 기독교 평등주의자들의 도구, 한글
정약종의 ‘주교요지’(主敎要旨)는 최초의 한글 교리서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글의 현대화에 기여해
호머 헐버트의 '사민필지'는 최초의 순한글 세계지리책
주시경, 우리 문자에 '한글'이라는 바른 이름을 부여

 

image
대한제국 황제 고종.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스투데이=민병두 보험연수원장] 이 시기는 우리 글이 한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고, 띄어쓰기등 맞춤법을 만든 시기이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450년만에 국문의 지위를 확보했다. 조선시대에 사대부들의 탄압에 맞서 우리 문자를 지켰는데, 일본제국주의라는 새로운 침탈자에 맞서야 했다. 이 때에 한글이 현대화되고 보존된 것도 한글의 기본정신인 평등주의라는 자산이 있어서 가능했다.  

 

조선왕조의 후반기에 한글 보급은 신흥종교의 몫이었다. 천도교 천주교 기독교는 모두 이 땅에서는 신흥종교라고 할 수 있다. 신흥종교는 신분제 타파와 평등주의를 내세웠는데 따라서 당연히 민중의 문자인 한글을 사용했다. 최제우가 만든 천도교와 동학은 경전이라고 할 수 있는 ‘용담유사’를 한글로 만들었다. 교훈가 안심가 용담가 권학가 도덕가 등을 언문 가사체로 만들어 부녀자들이 쉽게 따라하게 했다. 사람이 하늘이라는 만민평등사상은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맥을 같이 했다.

 

천주교와 개신교는 신 앞에서 모두가 평등하고, 신분에 관계없이 신앙을 가지면 모두가 구원받을 것이라고 하여 세상을 흔들었다. 조선은 다른 나라와 달리 천주교를 신도들이 나서서 받아들이고, 서방 사제가 들어와서 포교하기에 앞서 조선인 사제를 먼저 배출한 특별한 역사를 갖고있다. 1779년에는 정약전의 십계명가, 이벽의 천주(天主)공경가가 한글로 만들어졌다. 조선에서는 노랫말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학습방법이었다. 정약종이 지은 ‘주교요지’(主敎要旨)는 우리나라 사람이 지은 최초의 한글 교리서이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1850년대에 입국하며 ‘한자 한글 불어사전’ ‘라틴어 한글사전’ ‘한글 한자 라틴어사전’등을 발간했다.

 

천주교의 조선 포교는 커다란 호응을 얻었다. 교회가 창립된 지 얼마 안되어 일부지역에서는 한글교리서가 집집 마다 보급되었다. 새로운 세상이 오고 열심히 믿으면 천국에 갈 수 있다는 신앙은 백성들에게는 진정 복음이었다. 세례를 받은 일부 양반 계층은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종들과 한 형제로 생활을 했다, 유교 질서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였다. 천주교가 한글 보급의 역할을 하게 되자 신유박해의 빌미가 된다. 이때 압수한 교회서적 201권 중에서 128권이 한글로 만들어졌다고 하니 한글이 큰 역할을 한 것이다. 훗날 대원군은 언문을 잘하면 천주학쟁이라고 했을 정도로 한글은 신흥종교의 무기였다.

 

개신교는 천주교 보다 후에 조선에 전파되었지만 보다 적극적이었다. 19세기 말 조선에 입국한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영사전과 문법서를 작성하고 신식활자를 통한 인쇄기술로 널리 이를 보급했다. 이들은 한글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서 한글 띄어쓰기 등 한글현대화에 기여했다. 

 

아펜젤러 언더우드 보다 조선에서 선교활동을 먼저 한 존 로스는 스코틀란드 장로교회 출신이다. 압록강변 접경지역에서 포교활동의 거점을 잡고 있던 중 한글에 눈을 떴다. “여자라 할지라도 며칠이면 해독할 수 있는 훌륭한 문자를 가진 나라”, “매우 단순하고 아름다운 표음문자를 갖고 있어 누구나 쉽고 빨리 배울 수 있다. 성서와 전도문서의 보급이 가장 쉬운 나라”라고 평했다. 

 

1877년에는 신약성서를 번역한 ‘예수셩교젼셔’를 발간했고, 선교사들을 위한 한국어교재인 ‘조선어 첫걸음’(Korea Primer)을 펴냈다. 처음으로 띄어쓰기를 한 서적이다. 가로쓰기도 시도했다. 그리고 1882년 성서번역위원회가 만들어져 최초의 한국어 성경인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서’를 발간했다. 이때 ‘하느님’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다. 1892년 장로교선교공의회는 “모든 문서활동에 있어서 한자의 구속을 벗어나, 순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 목표가 돼어야 한다”며 한글을 선교공용어로 정했다. 고종황제가 1894년 고종이 훈민정음을 국문으로 선포하기 2년 전의 일이다.

 

호머 헐버트는 한글의 역사와 독립운동사에서 독특한 위상을 갖는 인물이다. 1886년에 초대 왕립육영공원 교사 즉 영어교사로 들어와 한글의 위대함에 눈을 떴고, 한글을 업신여기는 조선인들을 보면서 안타까워 했다. 뉴욕트리뷴에 “진정한 소리글자(true alphabet)는 한글”이라는 글을 게재했고, 한국평론(The Korean Review)에서는 어미가 동사로 끝나는 한국어가 힘이 있어서 대중 설득에 더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글 이전에 1000년 이상 쓰여온 이두에 대해서도 의미를 부여했다. “이두는 지식인 사이의 의견교류에 한문이 부적격하다는 사실상의 선언”이라고 했다. 배재학당에 영어를 배우러 온 주시경과 사제지간이자 동지로서 한글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헤이그 밀사로 다녀온 그는 조선에서 추방되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자신을 묻지말고 조선땅에 묻어달라고 했는데 유언대로 양화진성당 선교사묘역에 묻혔다. 헐버트는 우리나라 최초의 순한글 세계지리 교과서인 ‘사민필지’(士民必知)를 만들었다. 개화기의 지식인과 학생들에게 세계를 들여다 보는 창의 역할을 하는 책이었다.

 

고종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개혁 조치의 일환으로 1894년 언문을 국문(나랏글)로 선포했다. 공문서에 관한 칙령을 통해 모든 법령을 국문으로 바탕으로 삼고 한문 번역을 붙이거나 국한문을 섞어쓰도록 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450년만에 우리 문자가 국가 공용 문자의 법적 지위를 확보하게 된 것이다. 외세의 침략에 맞서 민중을 포섭하기 위한 조치의 하나였다. 이어 1897년에는 광무개혁을 통해 중국과의 속국관계를 청산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했다. 

 

개화파인 유길준은 ‘서유견문’(1895)을 쓰면서 “서투르고 껄끄러운 한자로 얼크러진 글을 지어서 실정을 전하는데 어긋남이 있기 보다는, 유창한 글과 친근한 말을 통하여 사실 그대로의 상황을 힘써 나타내는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했으나 지식인들의 반발로 한발 물러서서 국한문 혼용체로 집필을 했다.

 

1896년 서재필 주시경과 호머 헐버트가 함께 만든 ‘독립신문’은 우리나라 최초의 순한글 신문이다. 본격적으로 띄어쓰기도 시행했다. 띄어쓰기는 1933년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면서 보편화되었는데 한글의 가독성과 시각화를 제공하는 일대 변화였다. 독립신문은 사설을 통해 국문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횡서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일본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병합하면서 우리말과 우리글은 위기를 맞는다. 1911년 조선인을 일본 식민으로 육성한다며 조선교육령을 발표했다. 국어(일본어)를 보급한다는 내용이었는데 이때부터 전국의 각급 학교에서 일본어 수업시간이 조선어 수업시간의 두 배 이상으로 강제화되었다. 말과 글을 없애버리려는 포석이었다. 말과 글은 그 나라의 생각과 감정과 문화를 담는 그릇이다.

 

독립신문 창간에 관여했던 주시경이 들고 일어섰다. “말이 오르면 나라도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도 내린다”고 한 그의 말에서 보듯이 말은 민족의 모든 것이다. 훗날 그의 제자인 최현배도 “한글이 민족의 숨”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뜻있는 사람들과 연대하여 ‘말모이’(국어사전) 편찬에 나섰으나 돌연 세상을 떠났다. 주시경이 남긴 업적 중에 하나는 우리 문자에 바른 이름을 부여한 것이다. 그전에는 언문 정음 가갸거겨 가갸글 등으로 불리웠는데  1913년 배달말글몯음 총회에서 모임의 명칭과 관련해 배달말글은 한글로, 몯음은 모로 해서 한글모로 부르기로 정했다. 한글의 한은 하나되다, 크다, 바르다는 뜻을 품고 있다. 1926년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맞이하여 한글이라는 공식 명칭이 채택되었다.

image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공주'의 한글 친필.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3.1운동은 전국에서 200만명이 참여한 독립만세운동이다. 그날 태화관과 탑골공원에서 만세 소리가 울리기 전까지 일제는 아무런 정보를 갖고 있지 못했다. 전국 각지에서 성명서가 인쇄되고 비밀리에 전달된 것도 기적 같은 일이었다. 20세기 초에 우리 민족부흥운동 차원에서 수많은 종립학교가 세워졌다. 특히 개신교는 1교회 1학교 설립운동을 통해 미션스쿨을 대거 개교했다. 1910년에는 종립학교 581개 중에 90%가 개신교 미션스쿨이었다. 조선인구의 1.5%에 불과했던 개신교의 학교 설립 의지는 대단한 것이었다. 

 

3.1운동 당시에는 전국에 823개의 종립학교가 있었다. 개신교 학생들은 주일예배에서 사용할 주보를 등사기로 작성하는 훈련이 되어있었고 YMCA YWCA활동을 통해서 학교간에 소통할 수 있었다. 한글과 3.1 독립운동과의 접점에 평등을 외치는 신흥종교가 크게 역할을 한 것이다. 3.1운동의 여파로 일제가 문화정치를 표방하면서 우리 문자를 사용하는 신문이 등장한 것도 한글을 보존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1929년 각계 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조선어사 편찬회가 발족했다. 1931년에 조선어학회로 개편되어 조선어사전 편찬을 시작했다. 1933년에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었다. 철자법이 최초로 완성된 기념비적인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1940년에는 ‘사정한 조선말 표준어 모음’을 발표했다. 1939년 사전을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일제는 1938년 조선교육령을 통해 조선어교육 폐지에 들어갔고, 1942년 5월에는 모든 생활공간에서 일본어를 사용하게 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한글을 보존하려고 했던 그 노력 덕택에 해방 직후부터 우리 글로 교과서를 만들고 교육을 할 수 있었다. 한글은 진정 민족의 목숨이었다. 이어령 등 일제 말기에 학교를 다녔던 많은 이들이 한글을 몰랐다가 해방 후 학교에서 한글을 제대로 배웠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