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올림픽에 출전한 엘리사 이오리오와 시몬 바일스의 한글사랑 눈길 끌어 '아민정음'은 BTS의 팬클럽 '아미'와 '훈민정음'을 합친 신조어로 사용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소녀들은 전쟁중단 요구하는 '한글구호' 사용 한글과 한국어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데...외국어의 한국 침투는 훨씬 격렬해
[뉴스투데이=민병두 보험연수원장] 파리올림픽에서 여자체조단체 출전한 이탈리아 선수 엘리사 이오리오의 경기복이 동그랗게 파인 등 부분에 ‘당신 자신을 사랑하세요’라는 한글 문신을 새겨넣은 것이 포착됐다. 미국 체조 영웅 시몬 바일스가 입은 트레이닝복 상의 안쪽 깃에 ‘누구든, 모두가 ‘라는 작은 글씨가 새겨져있어서 시선을 끌었다.
엘리사 이오리오는 K-팝 팬이기도 하다. 한글로 K-팝을 배우고 좋아하는 스타에 대한 애정을 한글로 표현하는 K-팝 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한글을 아민정음 혹은 돌민정음이라고 한다.
아민정음은 BTS 팬클럽 아미와 훈민정음을, 돌민정음은 아이돌(idol)의 dol과 훈민정음을 합친 것이다. 이들이 사랑하는 노랫말과 BTS의 말을 번역하지 않고 한국어 발음 그대로 옮기는 것이다. lack of nunchi(눈치) Who is nugu(듣보잡) 같은 그들의 언어도 있다. 한글의 세계화라며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문화가 전파되면서 언어가 교배된 결과 세계언어에서 어휘가 풍부해지고 있는 한 예에 불과하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세종대왕의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정신이 한글을 창제하기에 이르렀는데, 요즘은 BTS의 노래가 지구촌에 사랑의 정신을 심어놓는 듯 하다. 한글가사와 한글이 아미와 젊은 세대에게 사랑을 주고받는 공통의 메시지로 기능하고 있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교전을 할 때 양국의 소녀들이 “이젠 그만 전쟁을 멈춰야 한다”는 한글 구호를 SNS 상에서 릴레이 게시를 해 휴전에 합의하게 하는 데 힘을 보탰다.
BTS의 Love Yourself 시리즈, End Violence 캠페인은 세계의 MZ세대들 에게 큰 힘이 되었다. 미얀마의 군사쿠테타에 맞선 시민 학생들은 한글로 쓴 피켓을 들고 시위를 했다. 한국에서 민주주의와 혁명을 배웠다고 했다. "당신은 정말 미얀마의 가장 친한 친구입니다"며 한국인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방탄소년단의 노랫말이 적힌 피켓을 들고 있었는데 같은 정서를 갖고 있는 세계의 동세대에게 호소력이 가장 크다고 본 것이다.
BTS의 노랫말과 연설은 ‘평화의 언어’로 작용하고 있다. 사랑 우리 꿈등이 키워드이다. 아미들이 공용어와 공용문자로 희망이 담긴 한글 어휘를 공급하고 있다. 이쯤 되니 한글이 공용문자화 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갖게 한다. 게다가 인도네시아의 한 부족이 이런 저런 문자로 자신들의 고유어를 표기하다가 한글이 가장 적당하다고 해서 표기문자로 한글 차자를 해서 화제가 됐다. 그렇다고 이미 라틴계 알파펫을 차자한 많은 국가와 민족이 관습화된 문자를 폐기하고 한글이라는 알파펫을 수용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데도 이런 일들이 한국인에게는 신기하기만 하다.
불과 20년 전 까지만 해도 외국에 가면 중국인이냐, 일본인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한국에서 왔다고 하면 그제서야 “빨리빨리”라고 아는 척을 하는 정도였다. 이어지는 질문은 북한에서 왔냐, 남한에서 왔냐였다. 그만큼 한국에 대한 지식이 없었던 것이다. 한국계 미국 가수 겸 작가 미셸 자우너(35)는 밀리언 셀러 ‘H마트에서 울다’(Crying in H Mart)에서 어린 시절, 학교에 가면 아이들이 일본계이냐, 중국계이냐고 물었을 때 한국계라고 하면 갸우뚱해서 상처를 받았다고 한다.
30년 전 멕시코의 휴양지, 캔쿤의 뒷골목 담벼락에 페인트로 태권도학원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었다. 해외에서 코리아타운을 제외하고는 처음 한글을 봤다. 이런 곳에까지 와서 태권도장을 개설하다니 의지의 한국인이 따로 없구나, 하는 생각이 우선 들었다. 무슨 사연이 있는 것일까? 아쉽게도 문을 닫았다니. 태권도는 인기가 없나? 돈 쓰는 사람은 관광객이고 돈 없는 사람은 현지인이니 현지인을 상대로 한 태권도학원이 잘 될리 없다.
만약 태권도가 세계인이 가장 사랑하는 무술이라면, 태권도 사범 자격증만 갖고 있어도 세계 각국을 다니면서 먹고 살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미국 국회의원들을 상대로 성공한 준 리 사범이나 중동, 스페인의 왕족 자녀들을 상대해 성공한 이들도 많다. 가라테나 유도, 우슈와 쿵푸하고 비교하면 어떨까? 아니 요가 파룬공 혹은 필라테스하고 그 수를 비교해보면. 영어가 모국어라는 이유로 세계를 돌면서 관광도 하고, 공부도 하고, 먹고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에서 영어회화를 가르칠 수 있는 E-2비자가 2020년 1만1326명 발급되었다. 2011년이 정점이었는데 학교에 9320명의 원어민 지도교사, 학원에 1만5363명의 강사가 등록되어있었다. 기타 개인 교습까지 합하면 더 많았을 것이다. 코로나 이후 많이 줄어들었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에서 활동하는 원어민 강사의 숫자 까지 합치면 수십만 명에 달할 것이다.
21세기 이후로만 누적 집계를 하면 얼마나 많을까? 이것이 그 나라의 경제력과 군사력과 문화자본이다. 강대국이라는 이유로, 문화적 매력이 있다는 것 때문에 그 나라의 글과 말을 배울려고 한다. 거기에 돈이 있고 정보가 있고 문화가 있기 때문이다. 영어가 모국어라는 단 한가지 이유만으로도, 빈곤한 부족의 언어를 갖고 사는 이들과 인생이 많이 달라진다.
1960-80년대에 우리 고등학생, 대학생들이 독일문화원 프랑스문화원에 가서 영화와 문화를 접하고 유학의 꿈을 키운 일이 있다. 그 당시만 해도 해외에 설치된 한국문화원과 세종학당에 외국인들이 몰려들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외국인들이 외국에서 한국의 말과 글, 문화를 접근할 수 있는 통로는 몇가지가 있다. 대학 세종학당 한글학교 등이 있다.
세종학당은 2007년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 등 3개국 13개소에서 문을 연 이래 2023년 85개국 248개소에서 14만 7000여명이 수업을 듣고 갔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힘을 입어 정부에서는 2027년 세계 350개소, 50여만명까지 교육대상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영국의 현대 언어학 대학평의회에 따르면 1999년 151개의 외국에 있는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쳤는데, 2022년에는 1400여곳에서 한국어 강좌를 열고있다고 한다. 인터넷 교육 앱 듀오링고에 따르면 세계에서 일곱 번째 인기있는 외국어이다.
2021년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는 75개국에서 33만여명이 응시했다. 옥스포드 영어사전에는 한류 한복 반찬 대박 파이팅 등 한국식 영어가 매년 새로이 등재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는 훈민정음해례본을 인류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 세계 문해의 날에는 세종대왕의 이름을 딴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시상한다. 국내에서 한국어 교원자격증 제도가 처음 도입된 것이 2006년, 868명이 자격증을 취득했다. 한류 초기이다. 이걸 따서 써먹을 일이 있겠나 하는 회의가 들 때였다.
2022년 6월에는 누적취득자가 7만708명에 달했다. 2019년 이후에는 40,50대 자격증 취득자가 급격하게 늘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에서 은퇴 이후에 해외 활동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인데 그만큼 해외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장롱에서 썩고 있을 장롱자격증이라면 구태여 그만한 사람이 취득할 이유가 없다
한글과 한국어가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 같은데 반면 한국에서는 외국어의 침투가 수십배 수백배에 달한다. 컴퓨터 아파트 같은 외래어의 증가 속도를 훨씬 뛰어넘는 외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셋팅 컨펌 시그너쳐 같은 단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어휘가 되다시피 했지만 컨틴전시플랜등 분야별로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글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인지, 별다른 불편을 느끼지 않고 사용한다. 한글은 범람하는 외국어휘의 발음기호가 아니다. 이대로 추세를 방치하면 한글의, 한국어의 문명은 어떻게 될까?
우리 말은 아직 글이 없는 상태에서 불교용어와 중국한자의 침투, 그리고 근대서구문명을 일찍이 받아들인 일본식 한자의 침투로 주체성과 창조성이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해방 이후 미국식 문화에 편입되면서 서구언어의 대대적인 침투를 경험하게 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어휘 중에서 분야별로 50-90% 가량이 침투언어이다.
최샛별 이화여대 교수는 우리나라의 세대를 조선조 시대의 부모 밑에서 강제침탈기에 태어난 유교문화세대, 해방 이후 서구식 교육에 편입된 영어문화세대, 그리고 IT시대에 성장하고 자라난 SNS언어세대로 구분한다. 서로 다른 세대는 적지 않은 통역을 필요로 한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조한 시대에는 어떠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