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두의 K-Sapience (21)] 한글의 세계화는 가능한가? ②세종, 문자의 역사를 만들다(1444-1894)
민병두 입력 : 2024.08.13 07:12 ㅣ 수정 : 2024.08.18 07:23
서양의 종교개혁과 세종의 훈민정음
[뉴스투데이=민병두 보험연수원장] 중세시대에 동양과 서양에서는 가장 지배적인 문자가 있었다. 서양에서는 라틴문자, 동양에서는 한자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다. 독일의 어느 왕은 신과 대화할 때는 라틴어로, 말과 얘기할 때는 독일어로 했다고 한다.
가장 열등한 언어로 독일어를 인식했던 것인데 훗날, 어떤 언어학자가 독일어도 뿌리가 라틴어에 있다는 것을 밝혀내면서 독일인의 언어열등감이 사라졌다고 한다. 영국의 왕도 프랑스어에 비해 영어가 열등하다고 생각하여 부끄러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동양에서 한자를 변형하거나 독자적인 문자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신라시대에 설총이 이두 문자를 집대성했고, 일본에서도 서기 7세기경에 가나가 만들어졌다. 한자를 기본으로 두고, 한자에서 딴 글자를 갖고 문자를 만든 것이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한자는 진짜 문자(眞名), 가나는 가짜 문자(仮名)라고 했다. 이어서 900년경에는 거란문자 그리고 몽고문자등이 잇달아 만들어졌다. 여진족도 여진문자를 만들었다.
조선을 건국하고 네 번째 임금인 세종대왕은 1443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3년 후 양력 10월9일 이를 반포했다. 세종대왕은 동양의 레오나르드 다빈치라고 불리울 정도로 천재성이 넘치는 인물이다. 그는 고려말 조선초의 어지러운 정국에서 외교를 튼튼히 할 필요성을 느꼈고, 그러기 위해서는 언어가 통해야 한다고 생각해 중국 몽고 일본어등 4개국어의 전문 통역관을 양성한다. 아울러 그 스스로 여러 나라의 문자를 섭렵하면서 당대 최고의 언어학자가 된다.
세종은 성리학 이념에 기초해 세워진 나라에서 일부 사대부를 제외하고는 그 건국이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국민국가라는 개념은 없었던 시대이지만 적어도 고려왕조와는 차별화되어야 했고, 태조 이성계의 역성 혁명에 정당성을 부여해야 했다. 해방 후 남북한 모두 가난할지라도 국민국가로 빨리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초등교육의무화와 징집제도 덕택이었다. 학교에서 문자를 배워 각각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체득하고, 전쟁을 통해서 애국심을 배양했다. 남북 모두에서 이승만과 김정일을 국부로 만들려는 신격화가 있었다.
세종대왕이 성군으로서 갖고 있었던 특장은 애민사상이다. 그는 공노비의 산후휴가제도를 포함한 많은 복지제도를 도입했다.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등을 발명하여 농업에 이용하도록 했다. 당시 우리의 중심 산업이 농업인 점에 비추어 남다른 혜안을 갖고 있었다. 농업이 잘 되어야 백성이 편안하고 국가가 태평할 수 있다는 생각이 기초가 되었다. 세종대왕은 무엇 보다 송사에서 글을 모르는 백성이 어려움에 처했다는 상소를 보면서, 힘 없는 백성이 자기 생각을 문자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기에 이르렀다. 그가 창제한 훈민정음은 지배계층의 문자인 한자에 맞서 민중들의 언어로 발전을 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곧바로 후속작업에 돌입한 두 가지를 보면 글을 만든 목적이 분명하다. 하나는 동국정운(東國正韻)으로 한자의 발음기호를 편찬한 것이다. 다른 갈래는 용비어천가와 삼강행실로 나라의 건국이념에 대해서 백성들이 쉽게 읽고 동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훈민정자라고 하지 않고 훈민정음이라고 한 점, 그리고 훈민정음을 통한 첫 번째 집필이 동국정운이라는 점을 들어 한글의 창제 목적이 나라문자에 있지 않고 한자발음기호라고 폄하하는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훈민정음해례본에서 세종대왕이 친히 쓴 어제와 한글 반대파 최만리의 상소문, 그리고 집현전 학자 정인지의 반박문등을 보면 명확하다. 세종대왕은 나라말씀이 중국과 달라서 백성들이 고통을 겪는다며 28자를 창제했다고 분명히 밝혔다. 최만리는 훈민정음을 분명히 독자적인 문자로 보고 중화를 사모하는 사대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했다. 오랑캐에게서나 볼 수 있는 일이다며 “향기롭고 효능 좋은 소합향을 버리고 사마귀똥으로 환약”을 만드는 일에 가깝다고 힐난했다. 그가 직시한 것은 훈민정음이 갖고 올 파장이었다. 결국 그 용이함으로 많은 이들이 언문으로 입신할 것이고, 한자를 쓰는 관리들과 둘로 나뉠 것이며 결국에는 노심고사하여 성리학을 공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정인지는 다음과 같이 반론을 전개했다. “언어가 다르면 글자가 다를 수 있다. 한자와 이두는 우리 말을 적기에는 껄끄럽고 막힘이 많다. 사용하는데 불편하다. 바람 소리, 학의 울음 소리, 닭의 울음 소리, 개가 짖는 소리 까지 나타낼 수 있는 것이 훈민정음이다. 배우기가 쉬워 하루 아침에 가능하고 어리석은 자라고 할지라도 열흘이면 가능하다”라는 주장을 펴서 독자적인 우리 문자의 창제를 목표로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훈민정음이 우리 문자의 기능과 함께 부수적으로 당시의 세계공용문자인 한자의 발음기호 역할도 했다는 점은 문자의 탁월함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시간이 지나고 훈민정음이 민중의 글자로 자리잡아 나가면서 발음기호적 성격은 쇠퇴하고 독자적인 우리 문자로 정립되었다.
문자의 역사를 보면, 농경시대가 되면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사람의 생각을 소리로 표현하는 것, 즉 말을 만든 것이 첫 번째 혁명이라고 한다면 말을 형상화하여 글자로 만든 것이 두 번째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농경시대가 되어 잉여생산물이 축적되면서 이를 관리하고 기록을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문자가 만들어진 것인데 지배계층의 전유물이 되었다. 그러다가 상인 부르주아 계층이 대두되면서 문자가 다른 계층으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사농공상의 신분제 사회인 조선과 부르주아가 대두한 유럽에서 문자혁명이 파급된 정도의 차이는 이런 사회경제적인 차이에 기반한다.
서양에서 종교개혁은 종교혁명이자 문자혁명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종교개혁은 1517년 독일의 작은 도시에서 일어났다. 마르틴 루터가 교황의 면죄부 판매에 반발하여 95개조의 반박문을 써 부치면서 개혁의 불길이 전 유럽에 번져나갔다. 루터는 지명수배를 피해서 수도원에서 독일어로 성경을 번역했다. 그에게는 확고한 신념이 있었다. 신과 개인이 일대일로 직접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제가 읽어주는 뜻을 알 수 없는 라틴어 성경이 아니라 혼자 힘으로 읽고 혼자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서는 아름답고 쉬운 표준 독일어성경이 있어야 한다.
그 전에는 라틴어가 신의 언어이고, 다른 언어는 하급 언어라는 인식이 있었다. 라틴어 성경은 누구가 쉽게 소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필사본은 아주 고가품이었다. 루터의 만인이 제사장이라는 생각과 완전히 배치되는 관습이었다. 루터의 독일어성경은 1522년 9월 라이프치히 도서박람회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한 해 동안 12판을 찍었으며 해적판만 50개가 나돌았고 루터 생전에 50만권이나 팔렸다. 영국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스코틀란드등 프로테스탄티즘에 입각한 국가들에서 학교 교육이 발전하게 되었으며 문해력이 급격하게 늘었다.
우리나라 보다 금속활자가 늦게 개발되었지만 대량인쇄를 통한 교육혁명이 일어났다. 루터는 “인쇄는 가장 고귀하고 소중한 은총의 선물이다”라고 했을 정도도 고마워했다. 서양의 평등주의에 미친 종교개혁의 영향은 거대하다. 반면에 이슬람에서는 코란을 필사하는 것을 고도의 예술행위로 간주했기에 이슬람 종교지도자들이 인쇄를 거부했다. 루터의 종교개혁에 열렬히 동참한 것은 자유도시의 부르조아들이었고, 그 뒷배가 되어주었다.
일본에서도 메이지유신에서 상인계급이 중심이 되었다. 에도 시대에 상업의 발전으로 사무라이들에 종속되었던 상인계층이 급속하게 성장했다. 메이지유신 이후에는 유럽의 부르주아 계급과 같이 무사계급을 뒤집고 사회의 주도권을 잡기 시작했다. 이들의 영향으로 계몽화가 빠른 시일내에 이뤄졌다. 18세기말에 도쿄 인구가 100만 명에 달했는데 성인 남성인구의 상당수가 독서를 했다고 한다. 19세기 중반에는 성인 남성의 식자율이 50%를 넘어섰고 여성은 20%로 세계 최고수준이었다.
반면 조선에서는 그와 같은 변화의 중심축이 형성되지 않았다. 사농공상의 신분제 사회였다. 훈민정음을 사용하고 확산하는 계층적 기반이 약했다. 사대부는 기득권인 한자를 놓치지 않으려 했고 농사꾼들은 먹고 살기에 바빴다. 궁궐과 양반가의 여성들이 주로 사용했다. 섬세한 감수성을 표현하기에는 역시 자기 문자가 적합한 탓에 여성들에게 수용성이 높았다.
세종대왕의 노력으로 반포된 훈민정음은 언문 즉 중국 글자와 비교되는 우리 글자라는 대등한 의미를 갖고 있었지만 사대부들이 비하하면서 우리 문자를 낮추어 부르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언문, 언문 하면서 강한 소리로 비판하다 보니 언문의 뜻이 변질되었다고 본다. 사대부들은 심지어 여성들이나 쓰는 글이라며 암클이라고 비하했다. 연산군은 자신의 폭정을 비판하는 투서를 접하고 언문의 사용을 금지했다.
하지만 백성들 사이에서는 언문이 꾸준히 퍼져나갔다. 애초에 훈민정음은 민중의 힘이 강할 때는 더 널리 사용했고 지배층의 힘이 강할 때는 그 반대였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와 그 지배층이 보여준 태도는 한심하기 짝이 없었다. 혼비백산하여 피난가는 왕과 그 신하들을 보면서 백성들은 노비문서를 불태우는 것으로 저항했다.
명나라의 참전과 이순신장군의 활약으로 전세가 뒤집히자 선조는 1593년에 선조국문유서 즉 언문으로 된 유서를 발표했다. 부득이 왜적에게 협력하고 있는 백성들의 이탈을 촉구하는 방을 써붙인 것이다. 투항한 죄를 묻지 않는다며 공을 세운 자에게 신분에 관계 없이 상을 내린다고 했다. 백성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백성의 문자로 해야 한다는 현실을 인정한 것이다.
이처럼 한글과 민중은 절대적 관계로 발전하고 있었다. 훈민정음 초창기에는 위로부터 언문 보급을 위한 서적이 다수였던 반면에 후반기로 가면 우리 말과 글로 된 소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책을 사고 파는 서점도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