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자 전환까지 최소 2년...‘제4 인터넷은행’ 도전, 관건은 기초체력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금융당국의 ‘상시 인가’ 정책 발표 이후 인터넷전문은행(인뱅) 설립에 도전장을 내는 곳이 잇따르고 있다. 대부분 소상공인·자영업자 특화 영업으로 상생금융 및 시장경쟁을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업계에선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응한 자산 건전성 관리와 수익 창출까지 버텨낼 기초체력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까지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준비 중인 컨소시엄은 △한국신용데이터(KCB)의 ‘KCB뱅크’ △소상공인·소기업 관련 35개 단체 등 소소뱅크설립준비위원회의 ‘소소뱅크’ △현대해상·렌딧·자비스앤빌런즈 등의 ‘U(유)-뱅크’ △더존비즈온의 ‘더존뱅크’ 등 4곳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7월 은행권 제도 개선 발표에서 인터넷전문은행 인가 방침을 상시 접수 및 상시 심사로 전환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은행업 진입 문턱을 낮추면 시장 참여자들이 늘어나고, 결과적으로 은행권 경쟁도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됐다. 이르면 올 상반기 중 설립 인가를 신청하는 컨소시엄이 나올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제4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준비 중인 컨소시엄들의 지향점은 소상공인·자영업자 특화 은행으로 모아진다. 자금 수요는 많지만 상대적으로 금융 서비스 이용이 어려웠던 이들을 잠재 고객으로 삼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은 1052조원에 달한다.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686조원) 대비 53.4% 증가했다.
각 컨소시엄은 그동안 축적한 방대한 데이터가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자신한다. 일례로 KCB는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영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특화 서비스 제공을 내세웠다. 소소뱅크의 경우 소상공인·소기업 관련 35개 단체가 뭉쳤는데 실제 현장 상황을 잘 반영한 금융 공급이 이뤄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U-뱅크는 초개인화 금융 서비스를 앞세우고 있다.
금융권에선 제4 인터넷전문은행의 첫 관문을 자본력 확보로 보고 있다. 현행법상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의 최소 자본금은 250억원이지만, 이보다 최소 10배 이상은 갖춰져야 안정적 운영이 가능할 것이란 평가다. 케이·카카오·토스뱅크도 인가 당시 2500~3000억원의 자본금을 갖추고 있었다.
제4 인터넷전문은행을 준비 중인 컨소시엄들이 우량 투자사 유치에 적극적인 점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일단 ‘U-뱅크’는 현대해상이 컨소시엄에 참여했고 ‘더존뱅크’도 신한은행이 투자를 긍정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은 경기 민감도가 워낙 높다보니 자선 건전성 관리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될 것이란 우려도 있다. 경기 둔화 장기화로 연체율 상승·부실채권 증가가 나타나면 대손충당금 적립 압박이 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신용대출의 일정 비중 이상을 중·저신용자에 내줘야 하는 의무도 가지고 있다.
출범 이후 수익 창출까지 안정적 영업을 이어갈 기초체력도 필수 요인으로 지목된다. 케이뱅크는 2017년 4월 출범 후 2021년 첫 연간 당기순이익을 냈고, 카카오뱅크는 2017년 7월 출범해 2019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토스뱅크는 2021년 10월 영업 개시 후 지난해 175억원의 순손실을 내 여전히 적자 상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은 이자 수익이 메인인데 여·수신 균형이 맞지 않고 성장세가 궤도에 오르지 않는다면 그 전까지 거의 개점 휴업에 들어갈 수도 있다”며 “사업 초기에는 인프라 구축 비용도 필요하고, 빨리 흑자 전환해야 한다는 압박도 다가오는 게 부담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