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띠 매는 은행원들···총파업 직전 ‘최후 교섭’ 성사될까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주요 시중은행과 국책은행 등의 노동조합이 속한 금융권 노조가 예고한 총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들은 임금 인상 등 주요 요구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부족하다는 지적에도 총파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금융권 종사자 수만 명이 참여하는 총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고객 불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 금융권 노사가 교섭 테이블 마련을 조율하고 있는 만큼 막판 협상 타결 가능성도 열려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 39개 지부는 오는 16일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금융노조에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시중은행과 대구·부산·전북·제주 등 지방은행, 산업·기업·수출입 등 국책은행 등의 노조가 소속돼 있다.
금융노조 총파업은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이하 사용자협의회)와의 산별교섭 결렬에 따른 것이다. 산업교섭은 산업 단위 노사가 협상을 진행해 동종 산업 전체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금융권 노사는 2010년부터 산별교섭 방식을 도입해 진행하고 있다.
올해 산별교섭에서 금융노조는 임금 6.1% 인상과 점포 폐쇄 중단, 공공기관 혁신안 폐기, 국책은행 지방 이전 철회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현재 금융노조와 사용자협의회는 어느 안건에 대해서도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일각에선 대표적 고연봉 직군으로 꼽히는 은행원들의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금융노조는 이번 총파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금융노조의 총파업이 현실화하면 지난 2016년 이후 6년 만이다. 금융노조에 따르면 이번 총파업 집회는 서울 중구에 위치한 메리어트호텔부터 숭례문까지 행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고된 집회 참여자만 6만명에 달한다.
전례로 봤을 때 총파업 참여율은 신고된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노조 한 관계자는 “신고 인원이 모두 참여할지는 아직 알기 어렵다”며 “집회 신고 장소의 수용 규모로 봤을 때 1만8000명에서 3만명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금융노조 조합원이 금융권 종사자인 걸 감안하면 실제 총파업이 이뤄질 경우 고객 불편은 불가피하다. 은행 점포가 마비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평소 대비 인력이 줄어드는 만큼 대면 업무 차질이 예상된다.
물론 총파업 직전 금융노조와 사용자협의회의 막판 협상 타결 가능성도 잔존해있다. 현재 양 측은 교섭을 위한 일정 조율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대표단 구성원들의 일정 등을 이유로 조율에 난항을 겪고 있다.
금융노조의 한 관계자는 “사용자협의회에 14일 교섭을 요구했으나 일정상 불가하다는 회신을 받았다”며 “이번 사안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면 협상에라도 나와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용자협의회 관계자는 “해외 일정 같이 미리 잡혀있는 스케줄이 있기 때문에 당장 14일 (사용자협의회) 모두 참석하는 교섭을 진행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사용자협의회는 금융노조에 ‘대대표 교섭’ 관련 공문을 발송한 상태다. 총파업이 임박한 상황에 대표단 모두 교섭에 참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대대표단이 먼저 만나 협상을 진행하자는 것이다.
금융노조와 사용자협의회가 만나 장기간 공회전하던 협상이 진전을 보일 경우 총파업도 연기·보류될 수 있다. 금융권 노사는 작년 산별교섭에서도 총파업 직전 잠정 합의안을 도출한 바 있다.
현재 금융노조는 사용자협의회 공문에 대한 답변을 고민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15일에라도 교섭이 이뤄진다면 총파업 일정도 바뀔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들은 사용자협의회의 ‘협상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총파업을 선언한지 한 달이 다 돼 가는데 사용자협의회는 뚜렷한 입장을 내고 있지 않다”며 “최근엔 임금 인상 요구 대신 점포 폐쇄와 국책은행 지방 이전 이슈가 전면에 나왔다. 이 부분에 대한 협상이 이뤄진다면 총파업 연기나 막판 타결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