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잃은 30대 장기 미취업자 사상 최고치 기록

(뉴스투데이=정소양 기자)
30대 장기 미취업자 7만 8000명
작년부터 시작된 구조조정이 원인으로 분석돼
장기 미취업자 사회안전망에서 벗어나
일자리를 잃은 지 1년이 넘은 30대 실업자가 급증했다. 실업자 중 30%는 30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작년부터 이어진 구조조정의 여파인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일자리를 잃은 지 1년 이상 된 30대 실업자 수가 7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장기 미취업자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최고치를 달성한 것이다.
2016년 10월 3만 명 대였던 30대 미취업자 수는 이후 빠르게 증가해 올해 들어 두 배수인 6만 명을 돌파했다.
1년 이상 재취업 못한 실업자 비중도 증가했다. 지난해 20%대 중반이었던 장기 미취업자 비중은 올해 30%대에 진입했고 꾸준히 늘어 지난달에는 33%대를 기록해 30대 실업자의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30대에서 1년 이상 재취업 하지 못한 실업자 증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40대의 경우 장기 미취업자는 4만 명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대도 지난해 4월 18만 4000명이라는 최고 수치를 기록한 후 꾸준히 감소해 지난달 13만 명대로 감소했다.
30대 장기 미취업차가 늘어난 것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기업의 구조조정의 여파로 분석된다.
한편, 2017년 4월 실업자는 117만 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만 9000명(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실업률은 4만 명으로 4.0%로 전년 동원 대비 0.7%p 올랐다. 40대 실업률은 2만 7000명으로 15~19세와 50대 실업률만 각각 –1.5%p, -0.1%p하락하였고 그 외의 모든 연령계층에서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1년 이상 미취업자를 도울 사회적 시스템 구축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업자의 구직 활동을 돕기 위해 지급하는 실업급여 기한이 최대 8개월이다. 따라서 1년 이상 미취업자는 사회안전망에서 벗어나게 돼 또 다른 문제를 확산할 가능성이 있어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