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은행,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앞장?

씨티은행, 통폐합 점포 직원을 다시 정규직으로 전환
박진회 씨티은행장, 전문직 제외한 직원 대부분 ‘정규직 전환’…‘노조 달래기’?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씨티은행 노사가 점포 통폐합 문제를 두고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가운데 박진회 씨티은행장이 ‘정규직 전환’ 카드를 제시하면서 ‘노조 달래기’에 나섰다.
17일 씨티은행에 따르면 박 행장은 전날 오후 임직원들에게 “올해 안으로 무기 일반사무 및 전담텔러 등 전담직원 300여 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전환직급은 정규직 행원과 동일한 직급인 정규직 5급이다.
씨티은행의 정규직 전환 발표는 특히 더 주목되는 이유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기관부터 민간부문까지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선언한 이래 민간기업 중 가장 먼저 정규직 전환 신호탄을 쏜 것이기 때문이다. 시중은행들도 눈치를 살피는 분위기이다.
앞서 씨티은행은 전국 영업지점의 80%(101개) 통폐합 안을 놓고 노사 갈등이 빚어졌다. 기존 업무를 비대면채널로 대신하고, 직원들은 대형 WM(자산관리)센터·여신영업센터·고객가치센터·고객집중센터 등으로 이동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노조 측은 대규모 점포 축소는 인력 구조조정의 일환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대다수의 직원이 콜센터 업무를 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직원 퇴사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지난 15일 최종 교섭을 시도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고 노조 측은 16일부터 태업을 비롯한 단체 쟁의행위에 돌입한 상황이다.
이에 씨티은행은 연내 중 무기 일반사무 전담직원 미 전담텔러(창구직원) 약 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것으로 밝혔다.
씨티은행 관계자는 “호봉에 의한 연공서열 임금구조 및 퇴직금누진제도 하에서 매년 전담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은 비정규직 운용에 대한 부속 합의에 의해 운용돼 왔다”며 “대승적인 차원에서 정규직 전환을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기존에는 당해 연도 정규직 행원 채용인원의 20%에 해당하는 인원을 매년 정규직 전환했으나 이번 무기 일반사무 전담직원과 창구직원 전원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키로 했다”고 말했다.
시중은행, 비정규직 비율 4.8%로 ‘정규직 전환’ 부담 낮아
IBK기업은행도 대규모 정규직 전환 예정
씨티은행의 정규직 전환 발표로 시중은행들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이에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에 대해 내부적으로 크게 부담이 없다”고 말했다.
이와관련해 기업은행과 다른 시중은행들도 정규직 전환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은행들이 비정규직을 대거 정규직으로 전환해 정규직 전환에 대한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17일 금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 은행권 정규직 비율은 95.2%, 비정규직 비율은 4.8%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은 이미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변호사·세무사 등 전문계약직과 기간제 근로자 등만 남아있다. 앞서 지난 2007년 우리은행이 노사 합의를 통해 약 3100명을 한꺼번에 정규직으로 전환했으며 △2011년 신한은행(약 1000명) △2014년 국민은행(약 4200명) △2015년 외환은행(현 KEB하나은행, 약 1800명) 등 주요 은행 대부분이 비슷한 절차를 거쳤다.
따라서 주요 은행별로 비정규직은 지난 3월말 기준 △국민은행 1295명 △신한은행 781명 △우리은행 769명 △농협은행 2979명 △KEB하나은행 520명 △기업은행 436명이다. 비정규직 대부분이 고액 연봉을 받는 전문직 직원이 대부분이다. 명예 퇴직 후 다시 채용된 직원, 성과에 따라 정규직 전환이 가능한 경력단절여성 등이다.
농협도 올해 초 별정직 100명을 7급으로, 산전후대체직 4명을 별정직 금융업무직으로 전환해 총 104명에 대해 전환을 마쳤다. 농협 관계자는 “1년 성과를 바탕으로 연 1회 정도 정규직 전환을 실시하고 있다”며 “올해 초에 이미 했기 때문에 연내 추가 전환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IBK기업은행도 김도진 행장이 올 초 취임하면서 정규직 전환을 강조한 만큼 정부 정책에 맞춰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에 이미 이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했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현재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라며 “올해 안에 정규직 전환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기업은행의 준정규직은 3055명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