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과 홍준표로 나뉜 ‘장거리 통근족’ 대선공약

(뉴스투데이=정소양 기자)
문재인·안철수·유승민 등은 수도권 광역철도 건설을 핵심 대안으로 제시
홍준표만 서울~세종고속도로 조기 완공 주장
서울과 지방을 오가는 ‘장거리 통근족’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 통근 시간은 61.7분으로 2014년 기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평균 통근시간 28분보다 2배가 넘는 시간으로 세계 최악 수준이다. 1시간 이상 장거리 통근자 수도 433명에 이를 뿐만 아니라 ‘장거리 통근족’이 늘어남에 따라 평균 통근 시간 역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하나의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방에서 살면서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사람은 150만 명에 달했다. 이 중 30%인 45만 명은 하루 2시간 이상을 지하철에서 보낸다고 응답했다.
최근 5년간 서울을 빠져나간 순 유출 인구는 57만 1000명으로 전국 17개 도시 중 가장 많은 사람이 빠져나갔다. 이로 인해 장거리 통근족의 평균 통근 시간 증가 역시 예상된다. 서울을 빠져나간 이른바 ‘탈서울’ 현상은 치솟는 전셋값과 집 값 등 주거비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1시간의 통근시간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한다면 월 94만원 정도일 것이라고 조사됐다.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경제적 부담도 같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장거리 출퇴근 시간에 따라 삶의 질이 떨어지는 등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등 주요 대선 후보들은 장거리 통근족들을 위한 공약으로 고속철도(KTX)와 수서에서 출발하는 고속철도(SRT) 수도권 연장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을 내놓았다. 지하철보다 3~4배 빠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경우 2023년 일산 킨텍스~서울 삼성 구간이 개통할 예정이고, 송도~용산, 의정부~삼성 구간도 논의에 더 힘을 받을 전망이다.
더불어 민주당의 문재인 후보는 “출퇴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겠다”며 “서울을 중심으로 한 기존 도시철도의 연장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방사형 광역철도망 건설, 이와 연결되는 수도권 순환철도망 등을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서울 집중형 공간 구조를 분산형 구조로 바꾸겠다는 것이 문 후보의 계획이다. 그 외에 문 후보는 수도권광역교통청의 신설과 경인선 등의 지하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을 공약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수도권 광역철도망을 구축해 교통 체증을 풀고 서울의 도시철도를 연장해 수도권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또한 고양 행신역과 수원역에서의 고속철도 정기 운행과 역 위치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바른정당의 유승민 후보는 수도권 광역철도와 수서발 고속철도(SRT) 노선의 의정부, 군포 금정 연결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의 중앙선 연결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또한 유 후보는 문 후보와 마찬가지로 수도권광역교통청의 신설을 약속했으며, 수도권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의 건설과 경인선 지하화를 공약했다.
정의당의 심상정 후보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와 수서발 고속철도(SRT)의 의정부 연장. 이 두 가지를 약속했다. 심 후보는 수도권 교통체계의 일원화와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의 건설을 목표로 두고 있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는 수도권 교통혼잡 개선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서울~세종고속도로 조기 완공을 공약했다.
홍준표 후보를 제외한 4명의 후보 모두가 기존 도시철도의 연장을 약속한 것이다. 이렇듯 대부분의 후보들이 ‘광역철도망’ 구축하는 등의 대안을 내놓고 있지만, 기업을 지방으로 분산해 서울 직장 쏠림 현상을 해소와 ‘탈서울화’ 막기 등 더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피해가기 힘들다.
또한 전문가들은 국내의 대표적 대중교통이 버스와 철도인데도 주요 후보들이 철도 건설만 집중 공약하는 것에 대해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향후 예산 편중이나 전국적인 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볼 때도 후보들의 공약이 마냥 밝은 것만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