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기업 관계자, “정부 압력 감소가 기업채용 감소 진짜 원인”

강소슬 입력 : 2017.04.19 17:22 ㅣ 수정 : 2017.04.26 15:47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사진=뉴스투데이DB]

한국 경총, “올해 채용계획 없는 기업 21%로 2009년 이후 최고치”

 

기업측 “채용 감소는 경기침체 및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 증가가 원인” 주장

 

(뉴스투데이=강소슬 기자)

 

대기업의 60% 가량이 전년보다 지난해에 개선된 실적을 보였지만, 올 해 기업들은 신규 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더 줄일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낙수효과는 없는 것이다. 

 

기업측은 신규 인력 채용의 중단 및 감소의 요인으로 ‘경기침체’를 꼽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대기업 관계자가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정부의 채용압력 약화’가 채용감소의 진짜 원인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5월 9일 ‘장미대선’을 통해  탄생될 차기 정부가 기업체 신규채용에 대해 어떤 입장을 정립할지에 대해 재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엽회는 18일 전국 100인 이상 기업 258개를 대상으로 ‘2017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를 실시한 조사결과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신규인력 채용 예상 규모가 전년대비 6.6%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직원 300명 이상 기업은 전년보다 5.8%, 100~299명 기업은 14.8%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일 것이라고 답했다. 1000명 이상의 대기업 신규 채용도 3.9%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최종 학력별로는 대졸이 7.3%, 고졸은 7.9%가 줄어들 전망이고, 학력 구분 없이 뽑는 기업들의 채용 규모도 지난해보다 5.4% 감소했다. 지난 조사결과까지 살펴보면 대졸 신규 채용 규모는 3년 연속, 고졸 신규 채용은 4년 연속 줄어들고 있다.

 

신규인력 채용 계획이 있거나 이미 채용한 기업의 비율은 절반을 겨우 넘긴 53.7%로 나타났다. 2010년 조사에서 49.4%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채용계획이 없다’는 기업도 21%였다. 이 비율도 2009년(21.2%) 이후 최저다.

 

신규 인력을 채용하지 않거나 규모를 줄이는 가장 큰 이유는 46.6%가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실적 악화’ 때문에 채용을 줄인다고 답했으며,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21.2%), ‘정년 60세 시행에 따른 신규채용여력 축소’(14.0%) 때문이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더 큰 문제는 향후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는 것이다. ‘신규 채용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치’를 묻는 질문에 43.8%의 기업들이 ‘현 상황에선 어떤 조치도 도움이 안 된다’고 답했다. ‘임금동결 및 대졸초임 하향 조정을 통한 재원 마련’(19.6%), ‘임금체계 개편’(15.2%), ‘초과근로 축소를 통한 일자리 나누기’(12.5%)가 채용 확대에 도움이 될 거라고 답한 기업을 다 합친 수치(47.3%)와 큰 차이가 없었다. 지금으로선 채용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아무 것도 없다는 기업들의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대기업 관계자 A씨, “기업의 속성상 이익 높아져도 외부 압력 없으면 채용 꺼리기 마련”

 

그러나 국내 대기업 관계자 A씨는 19일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대기업들 대부분 작년에 엄청난 영업이익을 올렸고, 올 해도 엄청난 성장이 예상되는데 채용도 없고, 월급도 안 올려준다”면서, “투자여력 비축이나 불황지속 등을 이유로 대고 있으나 실제로는 정부 압력이 약화된 것이 더 중요한 요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A씨는 “수익성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기업입장에서 자율적으로 채용을 늘리기는 어렵고 정부 압력등의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측면이 적지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회사에 퇴사자가 생기면 그 자리를 채용을 해서 매꿔줘야 하는데, 나머지 팀원들이 그 사람의 퇴사자의 업무까지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직장인들은 점점 ‘저녁 없는 삶’을 살게된다"면서 "짤리지 않기 위해 퇴근 시간은 늦어지지만 경영진은 ‘사람이 줄어도 기업이 돌아가는데 문제는 없다’ 생각하게 되는 것”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대기업 관계자 B씨, “압력 가한 MB정부 시절 채용 증가,박근혜 정부때 고용절벽 격화”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 B씨도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임기기간(2008년 2월~2013년 2월) 중 정부의 압력으로 신입사원 채용이 급격하게 늘었지만, 이명박 정권 말기와 박근혜 정부 때는 채용 압박이 사라져 취업문이 더 좁아지게 되었다고”고 지적했다.

  

B씨는 “MB정부 때 기업체 출신이라 그런지 채용환경이 좋았다. ‘기업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며 기업들에게 신입사원을 늘리라는 강요를 했다”며, “실제 2009년에서 2011년 정도 신입사원을 2000명 정도 뽑아도 되는데, 5000명 정도 뽑았다. 하지만 레임덕이 시작된 후 압력이 사라지자 고용절벽이 생겼다”고 말했다.

 

매년 졸업생들은 비슷한 숫자로 생겨나고 있는데, 기업이 비슷하게 뽑지 않고 채용을 확 줄이니 취준생의 수가 엄청나게 늘어났다. 때문에 졸업유예 하는 학생들도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B씨는 “박근혜 정부 때 대기업에 돈을 내라고 하기보다 ‘채용을 늘리세요’했으면 채용은 늘었을 것”이라면서 “국내 대기업의 부서들 중에는 수년 동안 신입사원을 뽑지 않은 곳들이 많아 사원 없이 대리가 막내인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