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대란]① 환경부, ‘초미세먼지 은폐’ 의혹 가열

(뉴스투데이=정소양 기자)
환경부, ‘초미세먼지’ 명칭 폐지하고 ‘미세먼지’로 변경 방침
한반도 위협하는 초미세먼지 대책마련 대신에 용어 폐지 전략?
한반도에서 ‘초미세먼지’의 폐해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환경부의 ‘은폐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환경부는 최근 ‘초미세먼지’를 ‘미세먼지’로 그 명칭을 변경하기로 결정해 초미세먼지 증가 대책을 마련하는 대신에 용어를 없애버리는 ‘은폐 의혹’을 사고 있다.
환경부는 이처럼 초미세먼지 용어를 폐지하기로 하면서 초미세먼지 규제 기준을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겠다는 발표를 하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 혼선’을 드러내고 있다.
또 환경부는 지난 1년 6개월 동안 중국발 초미세먼지의 측정 기준이 되는 백령도의 초미세먼지 측정량을 19분의 1 수준으로 축소해 발표해온 사실이 확인됐다.
5일 환경부에 따르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라는 용어는 앞으로 ‘부유먼지’와 ‘미세먼지’로 변경된다. 환경부는 대기환경보전법·수도권대기환경개선특별법·실내공기질 관리법 등을 개정해 이같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명칭을 변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1983년부터 총 먼지를 기준으로 환경기준을 운영해오다 미세먼지의 위험성이 대두대기 시작하면서 1993년에 미세먼지(PM10)로 기준을 바꾸었으며 2011년에는 초미세먼지(PM2.5) 기준을 추가해 관리해왔다. 이는 초미세먼지가 발암성 물질이 많아 집중관리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환경부는 ‘먼지’의 명칭을 또 다시 변경하기로 했다. 이번 명칭 변경은 세부적으로는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를 ‘부유먼지’로, 지름이 2.5㎛보다 작은 초미세먼지(PM2.5)를 ‘미세먼지’로 명칭을 재조정한다는 것이다.
즉 앞으로 ‘초미세먼지’라는 명칭은 폐기된다. 이로써 발암성 물질이 많아 우려의 목소리가 컸던 ‘초미세먼지’가 ‘미세먼지’로 둔갑해 그 위험성이 과소평가되는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환경부, “초미세입자(PM1.0) 혹은 극초미세입자(PM0.1 등)에 ‘초미세먼지’ 용어 사용 가능”
초미세먼지의 ‘위험성 인식’에 대한 인위적 약화 의도 드러나
초미세먼지를 미세먼지로 명칭을 변경할 경우, PM2.5인 초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성 인식이 기존 PM10인 ‘미세먼지’와 뒤섞이게 된다. 발암성 물질로 집중관리를 해오던 초미세먼지가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적은 미세먼지의 의미를 내포하게 될 수 있다.
초미세먼지는 발암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말 그래도 ‘초’미세로 입자 알갱이가 매우 작은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해 대기 중에 떠다니는 초미세먼지 입자를 걸러내기 쉽지 않다는 뜻이다. 따라서 초미세먼지를 미세먼지로 명칭 변경할 경우 먼지 입자가 커졌다고 착각할 수도 있는 것이다.
용어변경은 단순히 내포된 의미의 착각만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국민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현재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은 불안 수준을 넘어 ‘공포’ 수준까지 이르렀다. 따라서 명칭변경은 ‘초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을 낮추기 위한 환경부의 편법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더 나아가면 환경부의 미세먼지 ‘은폐 의혹’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환경부는 한국대기환경학회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의 전화 통화에서 “‘초미세먼지’에 대한 명칭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잘못 사용하고 있다”며 “명칭변경은 대기환경학회의 숙원사업으로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고 해명했다.
명칭 변경 배경에 대해 환경부는 “영어권 국가에서는 입자상 물질을 통상 ①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PM), ②입자(particles), ③에어로졸(aerosol) 세 가지 용어로 부르고 있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입자상물질을 사람들이 알아듣기 쉬운 ‘먼지(dust)’로 변경해서 사용해 왔는데, 대기환경학회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와 맞추기 위해 대기환경보전법의 용어 변경을 환경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했다”고 해명했다.
국제적으로는 PM10은 미국, 중국이 법적용어로 ‘흡입성(inhalabe, 吸入性) 먼지’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PM2.5은 미국, 중국, 일본에서 모두 미세입자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PM10을 미세입자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게 환경부측 반박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대기환경학회와 협의하여 국제기준에 맞게 PM10은 부유먼지, PM2.5는 미세먼지로 사용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PM2.5에 대해 사용하고 있는 초미세입자는 향후 초미세입자(PM1.0) 혹은 그 이하의 극초미세입자(PM0.1 등)에 사용될 여지가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런 환경부의 해명에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지난 5일 환경부는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 명시된 미세먼지 환경기준 강화와 관련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라며 국내외 여건을 고려해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기준에 견주어 초미세먼지(PM2.5) 환경기준 강화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초미세먼지(PM2.5) 일평균 기준으로 볼 때 중국(75㎍/㎥) 보다 강하고 미국, 일본(이상 35㎍/㎥), WHO (25㎍/㎥) 보다 낮은 상태다. 초미세먼지 일평균 기준을 미국, 일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리겠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이러한 환경부의 해명을 잘 살펴보면 환경부가 뉴스투데이에 해명했던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잘못 사용하고 있는 ‘초미세먼지’의 개념을 미국, 일본 등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것이다.
‘초미세먼지’ 명칭을 폐기한다면서 ‘초미세먼지’의 환경기준을 강화하겠다는 말도 어불성설이다.
또한 환경부는 명칭 변경 외에 어떠한 원인 규명 및 대책 마련 노력을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미세먼지 환경기준에 대한 책임이 없어 환경기준 강화나 대책을 서두르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지난 1년 6개월간 백령도의 초미세먼지 수치 19분의 1 수준으로 축소 발표
환경부의 초미세먼지 은폐의혹은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 5일 문화일보의 단독기사에 따르면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개한 미세먼지 측정 통계정보 최종확정자료 중 중국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핵심지역인 백령도의 초미세먼지 측정 자료 1년 6개월 치가 모두 오류였던 사실이 확인됐다.
2015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백령도에서 관측된 초미세먼지 실제 측정값과 에어코리아에 공개된 최종확정자료 수치가 달랐다. 백령도 측정값이 전송과정 오류로 19㎍/㎥을 1㎍/㎥으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홈페이지에 축소 게재한 것이다.
이는 무려 1년 6개월 동안 초미세먼지의 수치를 낮춰 공개한 것으로 미세먼지 은폐 의혹에 대해 빠져나갈 구멍이 없게 되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초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에 문제가 생긴 것에 대해 백령도 지역 초미세먼지 측정 자료를 전송하는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오류 때문이며 홈페이지 이외의 다른 자료에는 정확한 측정값이 사용돼 미세먼지의 국외 요인을 산정하거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는 올바른 측정값을 사용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또한 4월 4일부터 측정값을 올바로 수정하여 게재했다.
하지만 이러한 해명은 미세먼지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성’을 회복하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 더욱이 이러한 늦장 대처는 환경부의 미세먼지 은폐 의혹을 가중시키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