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현장에선] 바야흐로 ‘유연근무제’ 권하는 사회

(뉴스투데이=강이슬 기자)
4차산업혁명시대, 살아남기 위해 일하는 '성실한 인간'은 도태
시도 때도 없이 분출하는 '창의성'이 강력한 경쟁력의 원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도래하면서 정부가 기업의 ‘유연근무제’를 본격 지원한다. 한국기업에 만연했던 '조기출근-야근필수'문화가 '정시출근-정시퇴근'로 이동해 정착하기도 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그 바람의 출발지는 4차산업혁명이다.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 맞춰 일하는 '성실성'보다는 시도 때도 없이 분출하는 '창의성'이 경쟁력의 원천이 됨에 따라 불가피해진 변화이다.
고용노동부는 28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고영선 차관 주재로 열린 ‘제5차 일·가정 양립 민관협의회’에서 ‘일하는 문화 개선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일하는 문화 개선에 대한 관심 제고 및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여성가족부, 기획재정부, 전경련, 대한상의, 중소기업중앙회 등 민·관이 공동 수립했다.
특히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에 대한 재정지원이 강화된다. 유연근무제는 재택근무제, 근무시간선택제와 시차근무제같이 직원들이 자신의 여건에 맞게 근무 시간이나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해 일할 수 있는 제도이다.
현재는 대기업 위주로 시행되고 있다. 기업규모별 유연근로제 실시율은 5~9인 12%, 10~29인 15%, 30~99인 26%, 100~299인 27%, 300인 이상 53%이다.
이에 정부는 지원대상을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확대되고 유연근무제 활용 근로자 1인당 지원금도 연간 최대 364만원에서 520만원으로 인상된다.
이와 함께 원격 및 재택근무에 필요한 인프라 설치비용도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된다. 원격근무제는 외부 출장이나 개인 사정 등으로 회사에서 근무하기 어려울 때 안전행정부가 마련한 스마트워크센터 등에서 일하는 것을 말한다.
유연근무제 실시하는 중견기업까지 경제적 지원 확대
매주 마지막 금요일은 오후 4시 출근해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정부는 ‘가족과 함께하는 날’을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우선 공공부문에 선도적으로 도입하고 민간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가족과 함께하는 날’은 월요일부터 목요일 중 30분씩 초과근무를 하고, 매월 마지막주 금요일에 오후 4시까지 근무하는 것이다. 정부부처는 인사혁신처 지침에 따라 매월 1회 ‘가족과 함께하는 날’ 실시한다.
공공기관의 경우 시범실시 기관을 선정하고 시범운영 성과를 평가해 연내 확대 도입방안을 검토한다. '가족과 함께하는 날' 등 유연근무 및 일·가정 양립 제도 도입 상황도 분기별로 점검한다.
‘가족과 함께 하는 날’은 퇴근 직전 업무지시 지양 및 퇴근 후 업무연락 자제, 공휴일 근무 엄격제한 등 각 부처가 자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시행한다.
또 선도적으로 도입한 기업 사례를 적극 홍보해 다른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컨설팅·재정지원이나 정부조달 참여, 노사문화 우수기업, 가족친화인증기업 등의 선정시 우대하는 인센티브를 마련할 계획이다.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조직문화를 가진 기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이 스스로의 여건에 맞는 근로시간을 자율적·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 제도개선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