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인상 임박] 직장인들 이자부담 가중…‘금리인하요구권’ 등 적극 활용

정승원 입력 : 2017.03.13 11:09 ㅣ 수정 : 2017.03.13 18:57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미국의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은행 등 금융권은 이미 금리인상 조치를 단행, 가계부채에 비상이 걸렸다. ⓒ뉴스투데이DB

美연준, 3월 중 금리인상 등 올해 3차례 인상 예상

 

금융권 금리인상 고공행진, 부채대책 적극 나서야

 

(뉴스투데이=이진설 경제전문기자) 오는 14~15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다가오면서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경제의 시그널이 금리인상 쪽으로 향하면서 시장의 관심은 15일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내용에 쏠리고 있다. 현재로선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과연 몇 차례 인상을 할 것인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리인상은 당연시, 과연 몇 차례 인상할까에 촉각 = 시장전문가들은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것은 당연한 것이고 과연 올해 몇 차례 인상할까가 관건이라고 지적한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최소 3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면서 그 시기를 3월, 6월, 9월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0일 나온 2월 고용지표 호조를 근거로, 이달 이후 다음 금리 인상 시기를 9월에서 6월로 앞당겼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15일 FOMC의 점도표는 여전히 점진적 기조를 유지하겠지만 상황을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 미국 경제가 과열이라는 징후가 나오고 의회에서 주요 재정확대안이 나오면 연준이 금리 인상에 가속도를 내거나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예상했다.

 

무엇보다 발표를 앞둔 2월 미국의 고용지표가 긍정적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CNN은 비농업부문의 지난달 신규 고용규모가 시장예상치였던 20만명을 훨씬 뛰어넘은 약 23만 5000명으로 발표했다. 이는 2009년 이후 약 8년만에 최대치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금융규제 온화, 조세 감면등에 대한 기대감이 고용시장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가계부채 급증에 이자부담 가중될 듯 =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가계신용(가계빚)은 지난해 말 1344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1월 주춤하는 듯했던 은행권 가계대출은 2월에 3조원 가까이 늘어 증가세가 다시 확대됐다. 가계빚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금리가 오르면 빚을 진 사람들은 빚 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국내 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6%로 1년 전에 비해 4.6% 포인트 올랐다. 증가속도만 따지면 세계 주요 43개국중 노르웨이와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이고, 가계부채 비율은 18개 신흥국 중 14년째 1위다.

 

은행권의 금리는 이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의 신한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2월말 3.32~4.43%에서 지난 10일 3.45~4.56%로 0.13%포인트 올랐다.

 

KEB하나은행의 혼합형 5년 고정금리 상품도 같은 기간 3.36∼4.68%에서 3.51∼4.83%로 0.15%포인트 올랐고 KB국민은행의 혼합형 5년 고정금리 상품 금리 역시 이달 들어 0.04%포인트 올랐다. 대부분 주담보 대출금리가 5%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이다.

 

한은은 금융기관이 적용하는 가계대출 금리가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폭으로 상승한다는 가정 하에 현 수준 대출금리가 0.25%포인트씩 1%포인트까지 상승하면 이자부담이 24조7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중채무자, 한계가구 벼랑 끝으로 몰리나 =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개인사업자로 등록된 자영업자는 141만명이다. 이중 가계부채와 기업부채를 동시에 보유한 차주(대출자)는 113만명에 달한다. 자영업자의 80%가 중복대출자인 셈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3월말 한계가구 수는 약 150만명으로 전체 가구의 8.0% 수준이다. 한계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289조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32.7%에 달한다. 한계가구란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이 마이너스이면서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이 40%를 초과하는 가구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금리인상을 넋 놓고 바라봐서는 안되며, 적극적으로 부채대책을 지금부터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표적인 것이 서민금융진흥원의 ‘맞춤대출 서비스’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금융사를 일일이 찾아 다닐 필요 없이 서민금융진흥원과 협약을 맺은 51개 금융사, 110가지 대출 상품 중 가장 적합한 대출을 골라 받을 수 있다. 또 금융회사에 따라 최대 3%포인트까지 추가 대출금리 우대를 받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서민금융진흥원의 맞춤대출 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 후 대출관련정보를 입력하면 자세한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추천상품 중 원하는 대출을 택하면 자동으로 해당 금융사의 심사를 거쳐 실제 대출금리와 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소득이 올랐다면 현재 상환중인 대출건에 대해 금리인하요구권을 행사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해 봐야 한다. 관련 증빙서류를 해당 금융회사에 제출하면 금융사 자체 심사를 거쳐 금리가 인하될 수 있다.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사, 상호금융, 보험사 등 제2금융권에서도 금리인하요구권을 이용할 수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