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보험금 지급으로 ‘선회’한 삼성생명·한화생명, CEO 연임 파란불

금감원, 오는 16일 제재심의위원회 다시 열어 수위 조절 예정
주총 승인만 앞둔 삼성생명 김창수 사장 연임 가능성 열려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에 내려진 중징계 수위가 재조정된다. 금융감독원이 오는 16일 제재심의위원회를 다시 열어 자살보험금 미지급으로 내려진 생명보험 3사에 대한 징계 수위를 조절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22일 금감원은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빅3’ 생명사에 과징금부과 및 영업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특히 대표이사(CEO)에 대한 경고도 함께 내려져 연임에 큰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됐다. 당시 삼성생명 김창수, 한화생명 차남규 사장은 ‘문책경고’를 받았다. 대표이사는 문책경고를 받으면 연임 및 3년 간 금융회사 임원 선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사회에서 재신임 안건이 의결된 김 사장은 연임에 제동이 걸릴 사유가 되는 것이다.
반면 교보생명 오너인 신창재 대표이사는 문책경고보다 낮은 ‘주의적 경고’를 받아 연임 가도에 문제가 없었다. 교보생명은 미지급 자살보험금을 모두 주겠다고 밝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징계를 받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이에 금감원의 중징계를 받은 삼성생명과 한화생명도 태도를 바꿨다. 지난주 미지급 자살보험금을 모두 지급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금감원은 삼성생명, 한화생명이 모두 지급하기로 한 만큼 정상 참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김창수 삼성생명 사장의 연임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금감원은 “지난달 23일 제재심 이후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이 지연이자까지 포함해 미지급 자살보험금을 전액 지급하기로 하는 등 중대한 변화가 발생했다”고 재심 배경을 밝혔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재심의가 극히 이례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심의위원회가 금감원장 자문기구이고 그사이 중대한 변화가 있었던 만큼 절차상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다.
보험 업계는 삼성·한화 CEO에 내려진 문책경고가 주의적 경고로 낮춰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세 회사에 내려진 일부 영업 정지 기간(삼성 3개월, 한화 2개월, 교보 1개월)도 짧아질 가능성이 커졌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