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과 청년 직장인 유혹하는 불법 ‘대포통장’ 사기 주의보

대포통장 모집 신고 건수 1년만에 4배 급증…구직사이트 등서 피해 우려
월 최대 600만원 지급 등으로 절박한 취준생 등 유혹…통장 양도 이후에도 추가 사기 행각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풀릴 줄 모르는 불황과 깊어지는 취업난에 고통받는 한국 청년들이 ‘불법의 유혹’에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장을 빌려주면 돈을 준다’는 내용의 불법 ‘대포통장’ 모집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취준생이 자주 찾는 구직사이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피해사례가 급증 추세이다. 절박한 취준생들이 각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금융감독당국은 7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대포통장 모집 문자메시지 발송 및 피해사례를 발표하면서 피해방지를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날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대포통장 모집 광고 관련 신고 중 문자메시지 유형이 579건으로 1년 전보다 4배 가까이(28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청년들이 자주 이용하는 온라인을 통해 광고가 버젓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구직사이트에서 일어난 통장 모집 광고 신고는 143건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에게는 취업을 목적으로 구직사이트를 이용한 취업준비생들이 먹잇감이다. 취준생들의 장(場)인 구직사이트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유혹하기 적절한(?) 장소기 때문이다.
취준생을 현혹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지원자들에게 기존 채용이 마감돼 다른 아르바이트를 소개한다며 통장 임대시 계좌당 1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유인한다. 취준생들의 사용하지 않는 계좌가 ‘돈줄’이 되니 가만히 돈을 벌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구직사이트 외에도 젊은 층 전체가 자주 이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 등도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SNS를 통해 대포통장 모집 신고가 들어온 건수는 79건이었다. SNS를 통해서는 취준생뿐 아니라 직장인까지 위험하다. 특히 직장인들은 모아둔 돈까지 뺏겨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
이들은 주류회사 등을 사칭해 회사의 매출을 줄여 세금을 절감할 목적이라며 통장 양도시 월 최대 600만원을 지급하겠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통장 양도 이후에도 계속된다. 피해자의 신고로 계좌가 지급정지되면 사기범이 지급정지를 해제시켜주겠다고 속여 돈까지 빼앗는 신종 수법도 생겨났다.
이외 인터넷사이트 등을 통해 사기범이 준비해주는 서류로 법인 대포통장 개설을 도와주면 개당 7만원씩 지급하겠다는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타인에게 통장을 양도하는 행위는 불법으로, 통장 매매는 형사처벌 대상이고 피해자에 대해 손해배상 책임도 있다”며 “금융질서문란행위자로 등록되면 최장 12년 동안 금융거래시 불이익을 받는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구체적인 증거자료를 제출한 대포통장 우수 신고자에게는 최대 5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