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영의 뉴 잡툰] ‘디지털 장의사’, “고인의 온라인 흔적을 지워드립니다”
이지우
입력 : 2017.02.27 11:56
ㅣ 수정 : 2017.02.27 11:57

▲ 일러스트/박시영 ⓒ뉴스투데이
미국은 유언따라 흔적 지우기 작업…한국은 법적·윤리적 문제로 사각지대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죽기 전 누군가는 남기고 싶은 유산이 있겠지만, 누군가는 자신의 흔적을 지우고 싶은 이들이 있을 것이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온라인 소통시대가 열리면서 어떤 이들은 온라인 속 자신의 흔적을 지우고 싶은 이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흔적을 지워주는 이들이 있다. 바로 ‘디지털 장의사’이다.
‘디지털 장의사’란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생전 인터넷에 남긴 흔적, ‘디지털 유산’을 청소해주는 온라인 상조회사를 일컫는다. 온라인 인생을 지워주기 때문에 디지털 장의사라 불린다.
대표적인 온라인 상조회사인 미국의 라이프인슈어드닷컴(lifeensured.com)은 300달러(약 34만 원)를 내고
가입한 회원이 죽으면 인터넷 정보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 적은 유언을 확인한 후 고인의 ‘흔적 지우기’에 들어간다.
페이스북 등에 올려둔 사진을 삭제하는 것은 물론 회원이 다른 사람 페이지에 남긴 댓글까지도 일일이 찾아 지워준다. 세계적으로 디지털 장의사는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2013년 2월 현재 한국은 디지털 장의사의 사각지대다.
온라인에서 잊힐 권리를 비즈니스화하는 데는 복잡한 법적·윤리적 쟁점들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정보통신망법이나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이 온라인상의 자기 정보를 통제하고 삭제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인정하고 있지만 당사자가 죽으면 누구도 권리를 행사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당사자가 사망한 후 디지털 유산을 처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된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순직 장병의 유족들이 고인의 싸이월드 미니홈피와 전자우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요청했지만 SK커뮤니케이션즈가 법적 근거를 들어 거절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잊힐 권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한국에서도 2013년경부터 디지털 장의사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