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中 한국화장품 반송, ‘사드 보복’아니라 ‘법규 미준수’ 로 확인
강소슬
입력 : 2017.01.13 16:52
ㅣ 수정 : 2017.01.14 21:44

▲ 인천 중구 인천항 인근 보세창고에서 세관 직원과 업체 관계자들이 수출물품을 포장하며 기록을 하고 있다. ⓒ뉴시스
(뉴스투데이=강소슬 기자)
화장품 회사 직원, 품질 뿐 아니라 수출 국가의 법규를 잘 알아야
애경 “이미 시정되어 작년부터 중국서 정상적으로 판매 중”
한국과 중국이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놓고 갈등이 일어나며, 지난해부터 중국의 ‘사드보복’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최근 중국이 통관 과정에서 한국 화장품을 반송 조치한 것은 화장품 업계의 법규 미준수 때문인 것으로 13일 밝혀졌다.
최근 중국은 28개의 화장품 브랜드를 반송 조치했는데, 그 중 애경산업, 아이소, 씨제이라이온, 퍼스트마켓, 화이트코스팜 등 5개 한국 브랜드의 19개의 제품이 포함되어 화장품으로 사드보복을 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화장품 관계자들은 이번 화장품 반송 사건은 단순히 화장품에 대해 문제 제기를 받고, 그걸 바로 시정해 정상적으로 중국 내에서 판매가 되고 있는데 사드보복 논란으로 이어지는 것이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애경 “사드와 전혀 연관 없고, 중국은 원칙적으로 했다”
뉴스투데이는 반송된 5개 화장품 브랜드 중 규모가 큰 애경산업 중국 수출담당자와 13일 전화 인터뷰를 가졌다. 그는 사드배치 결정 이후 중국의 화장품 수입 허용 기준이원칙적으로 변경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 담당자는 “사드와는 관련된 것이라 보기 힘들다. 지난해 9월 바디워시 제품 1개에 제품의 성분 중 일부 제품의 성분 표기가 누락되어 문제가 제기되었고, 바로 누락된 성분을 성분표에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10월부터는 다시 수출해 지금까지도 정상적으로 판매 중”이라 말했다.
애경 같은 경우는 지난 9월 문제 제기가 되었고 이미 시정되어 중국 내에 판매 중인데 왜 이번에 이슈가 된 이유에 대해 문제가 된 화장품을 모아 발표한 시점이 최근이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애경 담당자는 “애경에서는 일종의 해프닝 정도로 생각하고 있고, 사드 보복은 연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에서 원칙적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식약처 “사드보복 논란은 과한 해석”
식약처의 입장도 사드 보복은 과한 해석이라는 입장이다. 중국에서 반송 조치를 받은 한국 화장품 19개 제품이 국내 화장품업체가 중국위생법규를 어겼기 때문이라 말했다. 식약처가 내놓은 부적합 사유를 보면 중국이 무리하게 규제했다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원칙대로 했기 때문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이번에 중국 내 화장품 수입 부적합 사유는 ▲시제품(샘플)에 대한 위생허가 등록증명서 미제출(13개) ▲미생물 기준 초과(1개) ▲등록한 것과 다른 성분 사용(2개) ▲사용 금지 원료(디옥산) 검출(2개) ▲등록된 내용과 실제 수출된 제품 상이(1개) 등이라 설명했다.
식약처는 지난 11일 식품·화장품 등에 대한 반송 조치는 2014년에 이번보다 많았던 때도 있었고, 대(對)중국 화장품 수출이 크게 늘어 중국 측의 검사가 많아지면서 부적합 건수가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식약처 담당자는 13일 뉴스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식약처는 단순히 어떠한 문제점이 규제에 어긋나게 되었는지 확인해 준 것”이며, “사드보복이라 말하기에는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에서는 구체적이지는 않지만, 내부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을 할 계획 중이라 밝혔다.
식약처 담당자는 “이번 반송된 한국 화장품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중국의 규정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 생겨난 일로 보이기 때문에, 중국의 화장품 규정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해나갈 방침이다”고 정했다.
식약처는 앞으로 오는 17일 주중국 한국대사관이 개최하는 ‘중국 진출 화장품 기업 긴급 간담회’에 참석해 업체의 애로사항을 청취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으로 진출하는 국내 화장품 업체들이 중국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한류스타 장나라를 모델로 한 중국 내 화장품 브랜드 화보 컷 [사진=ALOBON]
국내 중소화장품 업체라 타깃이 되었다? 수출 국가의 법규를 잘 알아야
이번에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처럼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은 중국의 제제를 받지 않았지만, 아이소, 애경산업, 씨제이라이온, 퍼스트마켓, 화이트코스팜 등 중소화장품업계는 제지를 받았다.
이는 중소 화장품 회사만을 타깃으로 잡았다고 하기보다 인력취약성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수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확한 법규를 숙지하고 그대로 따른 곳들은 문제가 없었지만, 현지 법규에 무지한 곳은 제제를 받았다.
앞으로 ‘사드파문’이 확대될 경우 중국의 법규 적용은 더욱 엄격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류의 덕을 보고 있는 화장품 업계 종사자들이 제품 품질 뿐만 아니라 수출 대상 국가의 법규에 대해 미리 면밀하게 파악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