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지원의 강자들]③ 영산대·동의대, 지역기업과 ‘상생’ 운명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우리나라가 사상 최악의 실업률을 경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인이라면 공통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일자리’일 것이다. 특히 고등교육기관으로 상징되어 온 대학교에서 모든 교육과정을 수료한 학생임에도 졸업 후 취업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청년취업난’은 더욱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졸업을 유예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이른바 ‘NG(No Graduation)족’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1년 8270명에 불과했지만 2012년 1만4975명, 2013년 1만8576명, 2014년 2만5000명으로 3년 새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즉, 이제는 졸업장으로 취업을 하는 시대는 아니란 것이다. 대학들의 변화가 필요해진 시점이다. 변화가 없으면 도태되는 것이 순리이다. 대학들의 취업관계자들의 시름은 깊어지고만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학의 교육방식이 ‘개인’에 맞춰져야 한다는 주장도 거세지고 있는 분위기이다. 대학이 변화하는 현실을 인정하고 취업난 극복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11월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대학 진로취업 우수사례 공유 세미나’를 개최했다. 자리에는 약 230여명의 전국 대학 취업관계자와 업계 관계자들이 자리를 채웠다.
특히 세미나는 다른 대학과 공유를 위해 4개 대학에서 운영중인 진로취업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지방 대학의 경우, 지역기업과 상생을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었다. 재학생이 졸업 후 또는 교과 수료 후 지역 기업으로 바로 취업할 수 있도록 기업과 협약을 맺고 그에 맞는 인재를 만드는 데 노력 중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 지역기업의 경우 해당 지역 대학이나 거주중인 이들을 우선 채용하는 전형도 있어 지방대학에 유리한 점이 많다. 이것이 바로 지방대학이 지역 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이다.
뉴스투데이는 대학에서 취업을 준비중인 학생들을 위해 학교별 우수 사례를 정리한다. 다음은 지방 대학들의 취업난 타파를 위해 지역기업과 상생하기 위한 노력들을 소개한다.

영산대, 비이공계 학생을 기업과 직접 매칭하는 ‘Pre Job’
영산대 산학지원팀 관계자는 “비이공계 취업률이 공학, 의학계열보다 턱없이 낮다. 학생들과 학교를 위해서라도 비이공계 학생들 취업률을 개선해야될 필요성이 생겼다. 따라서 2014년 ‘Pre Job’을 처음 시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Pre Job은 무엇일까. 영산대 해운대캠퍼스, 양산캠퍼스는 지역에 있는 기업과 협약을 통해 인재상, 직무에 필요한 능력 등을 사전에 제공받는다. 또 연간 정해진 인원 채용을 약속받아 이에 맞춰 학생을 선발해 교과 수료 후 채용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기업이 원하는 능력을 학생에게 교육시키고 바로 취업으로 이어진다. ‘고용예약제 프로그램’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목할 점은 모두 인턴과정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용된다는 점이다. 보통은 1년 전에 선발해 약 1년간의 교육과정이 진행된다. 물론 기업특성에 따라 교육 과정이 6개월, 3개월 등 차이가 있다.
“다수 학생 선발보다 매칭 100%가 목표”
‘Pre Job’프로그램은 올해로 3년을 맞이했다. 하지만 성과를 살펴보면 3년간 참여기업체 수는 줄어들고 취업율은 증가했다.
2014년 첫 해 시행 당시 참여기업 수는 28개였으며, 참여학생 수(이수자 수)는 101명이었다. 하지만 취업률은 11.9%로 현저히 낮았다. 다음 해인 2015년에는 참여기업 수를 대폭 줄였다. 6개로 줄이고 참여학생 수도 32명으로 줄였다. 당시 취업률은 21.9%로 소폭 상승했다.
올해는 참여기업이 총 7개로 이수자 수는 32명이었다. 하지만 취업률은 대폭 상승했다. 지난 11월 기준으로 약 59.4%가 취업을 했으며, 수료 후인 12월 현재까지는 특급호텔 6곳 협약을 통해 70%를 취업에 성공시켜 내년은 100%를 목표하고 있다.
관계자는 “인원이 적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14년 처음 시행해보고 학생을 많이 선발하더라도 이들이 채용으로 이어지는 확률은 현저히 낮았다. 지난해에 학생수를 대폭 줄였지만 그럼에도 확률은 눈에 띄게 오르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시행착오를 겪고 나니 어떤 방향으로 학생들을 기업과 매칭해야 될지 나름대로의 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도 사실 연구중인 단계이다. 적은 인원이라도 100% 취업률을 만들고 학생을 늘릴 수 있으면 더 기업과 연계시키려 노력할 것”으로 덧붙였다.
동의대, ‘취업전략 교과목’ 통해 학생들의 인식 개선 유도
최근 취업난에 청년들의 문제로 지적된 것은 ‘대기업 선호’현상이었다. 많은 학생들은 여전히 대기업 취업을 선호하고 있다. 때문에 많은 지방 학생들은 대기업 취업을 목표로 경기권 대학을 목표로 잡기도 했다.
따라서 지방 대학들은 각 지역의 기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바꾸도록 유도해 취업률을 재고시킬 방법이 필요했다.
동의대학교는 이 점을 주목해 부산지역의 유관기관과 연계한 ‘지역기업탐색과 취업전략’을 진행 중이다.
동의대는 지역기업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취업교과목’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동의대가 지역기업 105개와 학생을 대상으로 자체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학생 입장에서 ‘취업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이론중심 교육’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2순위는 대기업 선호였다.
가장 마지막은 스펙위주 교육이었다. 즉 이론중심 교육을 탈피한 현장 교육과 취업에 직결된 교육이 필요해보였다.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차이를 줄이는 것이 필요해 보였다. 이러한 학생들 니즈(Needs)를 분석해 동의대는 ‘취업교과목’을 개설하게 됐다.
취업교과목은 ‘지역기업탐색과 취업전략’이란 강의명으로 개설돼 3~4학년이 수강할 수 있다. 2개 분반으로 200명이 수강중이다.
지역기업 CEO 등 실무자 초청강연 등으로 ‘취업의지 향상’ 목표
‘취업교과목’이란 것은 사실 이색적이다. 수업방식은 어떻게 진행될까.
‘지역기업탐색과 취업전략’ 과목은 ‘이해도 향상’을 위해 CEO들이 직접 특강을 하거나 기업인사담당자들이 특강을 통해 기업 비전 등을 제시해 거리감을 좁힌다.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르노삼성 기술담당이사 등이 직접 방문해 특강을 펼쳤다.
또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취업전문가가 특강과 취업전략 등을 통해 전략적인 취업지도를 구축해준다. 이외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기업탐방과 산업현장 방문, 현장실습 등이 있다.
'취업교과목'이라는 실전형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동의대 관계자는 “수업을 수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역기업 인식 개선’을 조사한 결과, 48.7%는 ‘보통→긍정’으로 바뀌며 26.5%는 ‘부정→긍정’으로 바뀌기도 했다. 더 나아가 ‘지역기업 취업 의향도’를 조사한 결과에는 매우 그렇다는 22.9%, 그렇다는 52.75%로 약 75%가 지역기업 취업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방 대학의 경우 취업률을 위해 지역 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방향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으로 덧붙였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