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시행 두달…울고, 웃은 자영업 직종은?

이지우 입력 : 2016.12.02 11:31 ㅣ 수정 : 2016.12.02 18:22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김영란법 시행으로 한산해진 음식점 앞(왼쪽)과 늘고 있는 혼밥·혼술족을 위한 음식점 ⓒ뉴시스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청탁금지법(이하 김영란법)이 시행된지 2개월이 지났다. 시행 초 각계각층의 혼란은 있었지만 이제 어느정도 익숙해진 분위기이다. 사회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직장인의 경우 ‘저녁있는 삶’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반대로 접대문화가 사라지다보니 자연스레 일부 자영업은 저녁에 파리만 날린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 승인 실적 지난해 동기보다 증가했지만 골프·농축수산물·화훼 업종 결제액은 감소

 

김영란법 시행 후 법인카드를 사용한 접대가 많게는 4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카드 결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어나는 등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는 잦아들었지만 골프, 한우, 화훼, 유흥업소 등 접대 수요가 많았던 일부 업종은 청탁금지법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1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내 6개 카드사(KB국민·롯데·삼성·신한·하나·현대카드)의 카드 승인 실적을 분석한 결과 10월 법인카드 승인 금액은 11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조 8000억원(1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카드 1건당 평균 결제금액은 29만 7000원으로, 1년 전(20만 8000원)보다 늘은 셈이다. 오히려 결제금액이 늘어 겉보기엔 김영란법의 영향이 와닿지 않는다.

 

하지만 업종별 법인카드 사용 금액을 분석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골프의 경우 올해 10월 승인액이 71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970억원)보다 26.2%나 감소했다. 한우·과일 등 농축수산물 승인액은 429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34.3% 줄었다. 접대용 선물로 선호되는 인삼과 건강식품 승인액은 43.2% 급감한 36억원에 그쳤다. 경조사 수요가 많은 화훼 업종도 결제액이 28.1% 감소했다.

 

 

접대 문화 상징인 음식점·단란주점 등도 사용액 감소

 

대표적인 기업 접대문화로 자리잡은 음식점의 경우도 매출이 줄었다. 법인카드 매출은 올 10월 619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당 승인금액이 높은 일식(9만 8000원)과 한식(6만 2000원) 매출 감소폭이 각각 25.4%와 23.0%로 컸다. 같은 기간 단란주점 등 유흥업소와 호텔의 법인카드 사용액도 각각 35.1%와 10.1% 감소했다.

 

접대 횟수 자체가 줄어드는 경향도 확인됐다. 올 10월 법인카드 승인 건수는 3703만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7% 줄었다.

 

박승호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김영란법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농축수산물과 화훼 등 취약업종을 꾸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면서 “김영란법의 경제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면 카드 사용 추이 외에 부패지수와 사회후생 개선 효과 등 분석 범위를 확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직장인은 저녁 있는 삶 찾아…김영란법으로 ‘자영업’은 호황

 

김영란법 시행 이후 A기업 홍보팀 박모씨는 “김영란법 시행 이후 특별한 약속이 없으면 5일 중 3일은 칼퇴해 8시에 집에 도착한다. 개인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퇴근 후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 간단히 치맥을 즐기면서 못봤던 TV프로그램을 보거나 운동 등을 즐긴다”고 이야기했다.

 

김영란법 시행으로 접대로 하루를 보냈던 직장인들이 ‘저녘’을 찾고 있는 모습이다. 퇴근 후 술집, 음식점 등에 있던 이들이 ‘가정’으로 돌아가면서 반대로 뜻밖의 호황을 누리는 업종이 있다. 바로 혼술·혼밥을 즐길 수 있는 음식점 내지 편의점들이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우선 편의점 씨유(CU)에 따르면 법 시행 후 지난달까지 냉장안주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무려 87.1% 증가했다. 법 시행 직전인(9월 27일)까지 증가율이 전년 동기대비 38.1%인 점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증가했다. 도시락 매출은 3.4배 늘며 술도 주종에 관계 없이 두 자릿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홈술(집에서 술마시기)족이 늘면서 곁들일 수 있는 치킨, 족발집 등도 인기를 끌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