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현장에선] 내년 직장인들 대체휴일 늘어날까

황진원 입력 : 2016.12.02 11:28 ㅣ 수정 : 2016.12.02 11:28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정부가 내수활성화와 국민휴식권 보장 차원에서 대체공휴일 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뉴스투데이DB
 
정부, 대체공휴일 제도 확대 방안 검토
 
공휴일 증가에 따른 부작용 초래도 우려
 
(뉴스투데이=황진원 기자)
 
정부가 내수활성화와 국민휴식권 보장 차원에서 대체공휴일 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직장인들의 관심이 쏠린다.
 
2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공휴일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마련해 대체공휴일제 확대 적용 방안을 최근 정부에 보고했다.
 
지난 2013년 10월에 도입된 대체공휴일 제도는 명절 등이 토요일 공휴일과 겹칠 때 바로 뒤에 있는 평일을 휴일로 지정하는 제도로, 현재까지는 설·추석 명절과 어린이날에만 대체공휴일이 적용되고 있다.
 
정부가 당장 내년부터 대체공휴일제 확대 방안을 시행하고 모든 공휴일을 대체 공휴일로 적용하면 당장 내년 첫날 일요일인 신정(1월 1일) 다음날이 대체공휴일이 된다. 이렇게되면 공휴일이 주말이나 휴일과 겹치는 경우가 없어져 연간 법정공휴일인 15일 또한 모두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렇게되면 2017년 공휴일 수는 일요일(53일)과 대통령선거일을 포함한 총 69일로 국회의원선거일과 임시공휴일(5월 6일)이 있었던 올해보다 하루가 더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연간 공휴일 수가 늘어나게되면 기업의 부담이 커진다는 측면에서 정부가 쉽게 공휴일 제도 확대를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업 입장에서는 공휴일 증가에 따른 인건비 부담 가중과 경영 애로 등의 부작용이 초래된다.
 
이에, 정부는 일부 공휴일을 특정 요일로 옮기는 방식인 ‘요일 지정 공휴일제’와 ‘신규 공휴일 제정’으로 어버이날 쉬게끔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연구 결과를 오는 10일 발표한 뒤 공청회 등을 거쳐 최종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