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지원의 강자들]② 서강대, 전공과 전문성 높인 ‘현장실습’으로 직무능력 강화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휴학’의 악순환 끊기 위해 발벗고 나선 대학들…아주대·서강대·영산대·동의대 등 수상
‘대학교 졸업장’으로 취업하는 시대는 갔다.
우리나라가 사상 최악의 실업률을 경신하는 상황에서 한국인이라면 공통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일자리’일 것이다. 특히 고등교육기관으로 상징되어 온 대학교에서 모든 교육과정을 수료한 학생임에도 졸업 후 취업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청년취업난’은 더욱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졸업을 유예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이른바 ‘NG(No Graduation)족’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1년 8270명에 불과했지만 2012년 1만4975명, 2013년 1만8576명, 2014년 2만5000명으로 3년 새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취업난에 졸업예정자는 졸업을 미루고, 재학생은 선배들을 보고 취업에 대한 공포심에 사로잡혀 대학 교육에 대한 회의감까지 들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대학을 다니는 기간은 늘고 있고 졸업 후 취업마저 되지 않는 악순환은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을 탈피하기 위해 일부 대학들이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과거처럼 졸업장만 달랑 든 학생들을 대규모로 사회에 내놓는 시대가 아니다. 대학의 교육방식이 ‘개인’에 맞춰져야 한다는 주장도 거세지고 있는 분위기이다. 대학이 변화하는 현실을 인정, 취업난 극복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대학 진로취업 우수사례 공유 세미나’를 개최했다. 자리에는 약 230여명의 전국 대학 취업관계자와 업계 관계자들이 자리를 채웠다.
특히 세미나는 다른 대학과 공유를 위해 4개 대학에서 운영중인 진로취업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우수 사례로 평가돼 수상한 대학들은 ▲아주대학교 ▲서강대학교 ▲영산대학교 ▲동의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순천향대학교 등이다.
이 중 진로취업우수사례 발표에는 ▲아주대학교 ‘파란학기제’ ▲서강대학교 ‘현장실습프로그램’, ▲영산대학교 ‘Pre Job’ ▲동의대학교 ‘지역기업탐색과 취업전략’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발표 내용을 살피면 과거 대량교육 시대는 끝나고 개인에 맞춰 취업과 진로 설계 등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지방 대학의 경우 지역기업과 상생을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었다. 재학생이 졸업 후 또는 교과 수료 후 지역 기업으로 바로 취업할 수 있도록 기업과 협약을 맺고 그에 맞는 인재를 만드는 데 노력 중인 것으로 보인다.
뉴스투데이는 대학에서 취업을 준비중인 학생들을 위해 학교별 우수 사례를 정리한다. 그 두 번째 순서는
서강대학교 ‘현장실습’ 프로그램이다.

서강대, 전공능력 강화하는 3종류의 ‘맞춤형 현장실습’…학생당 최대 140만원 지원
서강대는 현장체험 중심의 일반적인 현장실습과 차별화해 전공, 전문지식, 연구 등에 방향성을 기반으로 현장실습 특성화 선도 모델을 구축했다.
즉 일반적인 현장실습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는 전공과 학생능력에 무관한 실습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학생의 전공과 능력 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실무 현장에 투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크게 학생의 목표 및 능력에 맞춰 3종류로 나뉜다. ‘전공현장실습’, ‘전문가양성 현장실습’, ‘프로젝트 중심 현장실습 ’등이다.
주목할 부분은 ‘전문가양성 현장실습’이다. 서강대는 크게 ▲회계법인 컨설팅 분야 ▲마케팅리서치 분야 ▲언론방송분야 ▲공공행정분야로 나뉘어 분야별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직무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전공분야별로 유력한 기관과 인턴십 협약을 체결했다. 회계분야는 △한양회계법인 △삼일회계법인, 언론방송은 △국회방송 △YTN △한국일보 등, 공공행정분야는 △서울시청 △서울시 산하기관과 손을 맞잡고 밀도있는 현장실습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인원은 전체 현장실습 참가학생 수는 지난해 기준 378명이다. 그 중 전공현장실습 참여자 수는 도입 첫해인 2013년 기준 13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일반현장실습이 전공과 관련돼 강화되자 참여자 수는 부쩍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10배 이상 증가한 186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186명이 참여한 기업은 총 88개로 기업별 편차는 있지만 대략 1곳에 2명 정도 배치된 것으로 보인다.
전공현장실습 기간은 2개월이다. 실습비용 또한 기업별 편차가 크지만 100만원을 넘거나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공현장실습의 경우 학교차원에서도 실습비 지원이 이뤄져 약 40만원이 지급됐다.
정치현장 실습 나간 정 모양, “국회 법안 통과 과정 통해 시민운동의 중요성 실감”
실제로 올해 ‘전공 현장실습’으로 참여했던 정00양(정치외교 전공 3학년. 여)은 젠더정치연구소 현장실습을 나갔는데 여러모로 배울 점이 많은 활동이었다. 정 양은 "국회여성보좌진 아카데미에 참가했던 것을 포함해 많은 행사에 참가할 수 있어 단순히 사무국에 앉아 있는 것보다 큰 자극을 줄 수 있는 시간들이었다”며 “국회에서 어떤 법안이 마련되고 통과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시민운동의 영역이 얼마나 중요한 지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회 토론회 참석을 위해 국회 의원회관 내부에 들어가보고 비단 우리나라의 여성 권리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보다 더 여성 권리에 대해 억압이 심한 나라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여성역량 강화를 위한 초국적 여성연대 필요성도 깨닫는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전문가 양성 현장실습’에 참여했던 백00양(경영학 전공 3학년. 여)은 서울시청 대학생 인턴십으로 서울시설공단 글로벌센터팀에서 현장실습을 수행했다. 백 양은 “팀의 막내로 인턴이지만 주도적으로 일을 맡아 정직원의 역할을 수행했다”면서 “서울시설관리공단 직원으로 명함을 받고 공단의 올해 키워드인 ‘안전불감증’을 강조하는 안전점검의 날 캠페인 등에 참석해 시설관리공단의 역할과 업무를 파악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팀의 일원으로 인정하고 관심을 가져줘 더욱 자신감을 갖고 근무할 수 있었다”고 학교측의 마련해준 현장실습의 효용을 강조했다.
대학 주도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인턴십 체험기회의 '양극화 문제 해소' 의미도 커
유희석 서강대 취업지원팀장은 “대학에서 현장실습 관련 프로그램이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일반 업무보조 및 전공지식 활용 기회 부족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벗어나 전공을 극대화하고 학생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현장실습 활동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서강대 처럼 대학이 적극적으로 우리 사회의 주요기관들과 인턴십 협약을 체결하는 것은 취업전선의 양극화를 해소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인맥이나 권력을 동원해 유력기관에 자식을 인턴으로 취업시키는 행위가 논란이 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배경이 약한 학생들도 주요기관에서 인턴 체험을 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