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창조경제혁신센터]③ 창조경제 아이콘 아이카이스트, 실상은 주식 사기단?

황진원 입력 : 2016.11.17 11:45 ㅣ 수정 : 2016.11.17 11:45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뉴시스
 
(뉴스투데이=황진원 기자)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기업 아이카이스트 비선실세 개입 의혹 팽배
 
차은택 전횡 의혹으로 존폐 위기에 빠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했던 벤처기업 아이카이스트의 실상이 드러나고 있다.
 
교육콘텐츠 및 IT 디바이스 개발업체인 아이카이스트는 신생벤처임에도 중국 전자업체와 5년간 2조5000억원의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세계 각국에서 수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따내면서 창조경제의 대표적인 기업모델로 불려왔다.
 
그러나 최근 회사 대표인 김성진 씨가 회사 매출 규모 등을 부풀려 투자자 40여 명에게 투자금 170억원을 모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된 가운데, 회사의 부사장이 최순실 씨의 전 남편인 정윤회 씨의 동생 정민회 씨로 알려지면서 아이카이스트의 성장이 비선실세의 정치권력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의혹이 불거진 상태다.
 
문제는 아이카이스트의 과거 행적에 주가조작을 주도한 경황들까지 포착되면서 문화계 뿐만 아니라 금융계에도 비선실세 개입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는 점이다.
 
 
상장기업 인수 과정에서 주가 조작 의혹까지 팽배

 
구속된 김성진 아이카이스트 대표는 지난해와 올해 상장기업 두 곳과 계약을 체결한다.
 
김 씨와 손잡은 업체는 코스닥 상장기업인 케이엘티로 이곳은 지난 4월 아이카이스트와 생산협력 계약을 체결해 올해 1월 기준 200원대 였던 주가가 3개월만에 2000원대로 10배 가까이 올랐다.
 
케이엘티는 아이카이스트에게 53억원 규모의 특허 현물출자에 의한 제3자 유상증자를 배정했으며 이 과정에서 사명을 아이팩토리로 바꾸고 김 씨를 공동 대표로 취임하기도 한다.
 
대게 유상증자의 목적은 경영권이나 지분을 제 3자에게 넘길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케이엘티가 아이카이스트에게 지분을 넘기려 한 의도가 다분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케이엘티는 유상증자 취득 후에도 누적된 적자로 인해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낮아지는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주식에서 자본총계가 자본금의 50%가 넘어가게 되면 관리종목에 지정되고, 관리 종목이 2년간 지속되면 상장폐지로 연결된다.
 
케이엘티는 상장폐지를 막기 위해 주식의 유통수를 줄여 주식의 금액을 높이는 대규모 감자 과정을 거치지만 이 과정에서 주식 가치가 폭락하고, 결국 외부 회계감사결과 상장폐지로 이어지게 된다.
 
올해 7월에는 통신장비 업체인 지에스인스트루(현 아이카이스트랩)가 아이카이스트와의 계약 체결로 800% 가까운 주가 급등을 보이기도 했으나 이 또한 순식간에 급락하는 모습을 보인 바 있다.
 
 
비선시세 개입 금융계까지 이어지나
 
아이카이스트가 인수한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피해를 본 개미 투자자들은 주가조작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아이카이스트는 지난 9월 정리매매 이후 상장폐지 된 아이팩토리(전 케이엘티) 주식을 주당 5000원에 우선 매입한다고 홈페이지에 밝혔다. 그러나 법적효력 없는 공시에 주식을 매각하지 못한 투자자들의 원성은 더욱 높아졌다.
 
문제는 아이카이스트의 주가 의혹에 금융감독원이 별 다른 조취를 취하지 않았다는 것에 있다.
 
결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대표하는 1번 벤처기업에 의한 대규모 주가조작 의혹이 주가 사기 사건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 일각에서는 비선실세 의혹이 문화계를 넘어 금융계까지 뻗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