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투분석] 청년일자리 만들겠다던 청년희망펀드 ‘흔들’

정승원 입력 : 2016.11.15 12:46 ㅣ 수정 : 2016.11.15 14:12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월 28일 서울 광화문우체국에 있는 청년희망재단 멘토특강 강의장을 방문, 연설하고 있다. ⓒ뉴시스

 

청년일자리 창출하겠다며 대통령이 1호 기부

 

삼성, 현대차, LG 등 기부동참 1400억 조성

 

(뉴스투데이=이진설 경제전문기자) 최순실 씨 비선실세 의혹이 청년희망펀드 조성 과정으로 불똥이 튀면서 청년희망재단(이사장 박희재)의 운명이 안개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7월과 올해 2월 재벌회장들을 따로 만난 배경이 청년희망재단 모금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의구심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어 자칫 재단의 존립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15일 최순실 씨 비선실세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은 박 대통령이 지난해 7월 청와대 오찬에 부른 대기업 총수 17명 중 7명을 따로 독대한 이유가 ‘청년희망펀드’와 관련됐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년희망펀드는 박 대통령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사회 각계각층이 청년에게 희망을 주는 일에 동참하자는 취지에서 제안해 조성된 공익신탁형 기부금 펀드다. 지난해 9월 21일 박 대통령이 직접 2000만원과 월급 20%를 내겠다며 1호 기부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1400억원 이상 모금됐다.

 

박 대통령의 기부 이후 삼성‧현대차‧LG 등 대기업 회장들도 적게는 수십억에서 많게는 수백억의 기부금을 내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삼성은 지난해 10월 22일 이건희 회장 명의로 200억원, 임원 명의로 50억원 등 총 250억원의 거액을 출연했다.현대차도 200억원을 냈고, LG 70억원, 신세계 65억원, 롯데 50억원, GS 33억4760만원, 한화 30억6830만원, 두산 30억원, 현대백화점 24억원 등의 기부행렬이 줄을 이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펀드 운용계획이 수립되지 못한 채 방치된 상태라는 지적이 높다.  올해 예산으로 199억원이 책정됐지만 지난 달까지 집행된 금액은 6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반 시민들의 기부도 중단된 상태이다. 

 

▲ ⓒ청년희망펀드

 

청년희망펀드를 재원으로 지난해 10월 설립된 청년희망재단은 이후 청년일자리 창출 사업을 시작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지난해 10월 7일 청년희망펀드 사업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청년희망재단 내에 청년희망아카데미를 설치해, 기업의 고용 수요에 따른 맞춤형인재를 양성해 취업까지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청년희망재단 측도 그 동안 청년 4만6189명에게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1223명의 취업자를 배출했다고 설명했다. 또 창업선도대학,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입주하고 있는 30곳과 함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청년희망재단의 설립목적이 순수성을 의심받고 있고 검찰수사가 확대될 경우 재단의 각종 사업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이용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청년희망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재단 사업 중 하나인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이 차은택 씨가 본부장으로 있던 문화창조융합본부가 주도한 사업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