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리포트] “김영란법 무섭네” 졸업예정자들도 취업비상

(뉴스투데이=정진용기자) 수도권대 4학년인 A씨(23·여)는 마지막 학기를 앞두고 취업과 연계된 해외인턴 프로그램에 선발됐다. 늦어도 10월에는 입국해서 일을 시작해야 한다는 인턴제공회사의 얘기를 듣고 담당교수에게 사정을 부탁하려고 찾아갔다가 “해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이런 부탁이 부정청탁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었다.
해마다 이맘 때가 되면 취업에 성공한 학생들은 마지막 학기 성적 때문에 해당과목 교수들에게 통사정을 한다. 취업한 경우 사실상 출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수들에게 학점인정을 부탁하는 것이다.
교수의 성향에 따라 “출석하지 않으면 성적은 절대 줄 수 없다”라며 과감히 F를 주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대학들이 취업한 학생들에게는 대개 예외적으로 리포트 등으로 대체해주는 것이 관행이었다. 취업률이 대학평가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관행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오는 28일부터 시행되면 이런 관행들이 모두 부정청탁에 해당돼 처벌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김영란법이 대학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2일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김영란법 적용대상 기관은 4만919개에 달한다. 이 중 대부분은 각급학교와 학교법인, 언론사로 전체의 96.8%를 차지했다.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유아교육법 등에 적용을 받는 교육기관은 2만1201개에 달하고 사립학교법의 적용을 받는 학교법인도 1211개나 된다.
사정이 이러자 실제로 많은 대학들은 김영란법의 적용범위를 공부하며 취업학생들에 대한 성적인정 등 헷갈리는 부분에 대해서는 국민권익위에 문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대학교 취업역량개발팀 관계자는 “대기업들은 대부분 입사날짜가 학기가 끝나는 시점이지만 중소기업들은 수시채용을 하는 바람에 학기 중에 취업해서 일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들 조기취업자들이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비상이다. 인천 논현동의 한 중소기업 사장은 “중소기업들은 구인난 때문에 주로 상시채용을 하고 있다”면서 “졸업예정자들을 뽑지 못하게 되면 가뜩이나 심각한 구인난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대기업들은 대부분 공채일정상 실제 입사일을 학기가 끝난 이후인 내년 1월로 잡고 있어 학사일정과의 충돌 등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