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직면한 한국, 일본식 ‘청년 구인난’ 시대 머지 않아

이지우 입력 : 2016.09.08 12:02 ㅣ 수정 : 2016.09.08 12:3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통계청이 지난 7일 '2015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고령인구가 30년 전보다 482만명 늘고 유소년인구가 518만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유소년 인구 감소 고령 인구 급증…빠르게 늙어가는 한국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의학기술 발달로 이미 100세 시대는 도래했다. 하지만 늘어나는 고령인구만큼 출산율은 따라가지 못해 일할 청년은 줄어들고 있다. 이대로 진행된다면 전세계 고령화 1위국인 일본과 가까워 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지난해 실시한 ‘2015인구주택총조사’ 결과 30년 전보다 우리나라의 유소년인구는 518만 명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482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7일 밝혔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전형적인 ‘항아리형’ 인구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다. 즉 30대 미만과 60대 이상이 적었는데 문제는 유소년 인구수는 가파르게 줄어들고 고령 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유소년인구(0~14세)는 13.9%(691만 명)로 2010년(788만 명, 16.2%)에 비해 97만 명(2.3%p) 감소했다. 또 1985년(1209만 명)에 비하면 518만 명 감소한 수치이다.
 
반면 고령인구(65세 이상)는 657만 명(13.2%)으로 2010년(536만 명)에 비해 121만 명(2.2%p) 증가했다. 이는 30년 전(175만 명)에 비해 482만 명 증가한 것이다.
 
또 전체 인구를 일렬로 세웠을 때 딱 가운데 해당하는 ‘국민의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이 작년 처음으로 40대(41.2세)에 진입했다. 이는 중국(36.8세), 인도(27.3세)는 물론, 선진국인 미국(37.8세) 프랑스(41.1세)보다 높은 수치다.
 
하봉채 통계청 등록센서스과장은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 진행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늙는 속도 일본보다 빨라…한국도 구인난 오게 되나
 
이 속도로 늙어가면 한국 고령인구 비율이 머지않아 일본과 비슷해질 것으로 추측된다.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 비율이 7% 이상인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뒤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들어선 기간을 살펴보면, 프랑스가 115년 걸린 것을 비롯해 영국은 92년, 독일과 이탈리아는 80년 등 모두 반 세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다.
 
반면 2000년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내후년인 2018년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간으로 볼 때 소요 기간이 18년으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일본(24년)보다 짧기 때문이다.
 
아울러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도 2010년 15.1에서 지난해 18.1로 상승했다.
 
일본 고령 인구 비율은 26.3%로 가장 높으며 뒤이어 이탈리아(22.4%), 독일(21.2%), 프랑스(19.1%), 영국(17.8%), 미국(14.8%) 순이다.
 
 
빠른 고령인구 증가 겪는 한국, 일본판 청년 구인난 되풀이 가능성 높아
 
현재 일본은 저출산·고령화 문제로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일할 능력이 되는 청년은 줄고 노인은 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금 취업난에 허덕이고 있지만 저출산, 고령화가 이 속도로 진행되면 머지않아 일본과 같은 상황을 마주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기업은 최근 청년층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력은 충분하지만 청년 인재는 구하기 힘든 실정이다. 실제로 일본의 청년실업률은 2010년 12%에서 올해 3월 6%로 하락했다.
 
반면에 한국의 청년 실업률은 2011년 6%에서 올해 4월 12%로 급등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실업률은 올해 3월 기준으로 일본은  3.2%, 한국은 3.8%로 집계됐다. 한일간에 전체 실업률은 큰 차이를 보이다고 하기 힘든 데 비해 청년 실업률은 한국이 일본의 2배 수준이다.
 
이러한 격차는 인구구조의 상이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보다 심각한 인구 고령화현상에 직면한 일본은 청년 실업난에서 청년 구인난으로 이동중인 상황인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의 인구구조가 지금처럼 저출산, 고령화라는 현상을 타파하지 못할 경우 일본과 같은 청년 구인난에 시달리는 시대를 피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남 초고령사회 첫 진입…부산도 ‘고령사회’
 
지역별로 살피면 산업기반이 부족해 일자리 또한 부족한 지방일수록 출산율이 낮고 고령화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 단위 농촌이 많이 있는 전라남도는 고령인구 비율이 2010년 19.0%에서 작년 21.1%로 높아지며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전라북도(2010년 15.5%→2015년 17.9%) 경상북도(15.8%→17.8%) 강원도(14.9%→16.9%) 충청남도(14.7%→16.3%) 충청북도(13.3%→14.8%) 부산시(11.4%→14.7%) 제주도(12.4%→14.1%) 등도 이번 조사에서 고령사회로 나타났다.
 
전남을 포함해 고령사회로 나타난 광역자치단체는 8개로, 2010년보다 세 곳 늘었다. 작년엔 ‘제2의 도시’인 부산마저 고령사회에 진입해 심각한 수준임을 나타냈다. 이는 산업공동화로 젊은 층이 서울 및 수도권이나 김해 울산 등 인접 도시로 이동한 탓으로 보인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