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주 4일제 시험 도입, 국내 기업은 장시간 근로 관행 여전해

(뉴스투데이=황진원 기자)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근로자들의 근무시간을 단축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근무시간을 줄이되 효율적인 업무 성과를 낼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고질적 문제인 장시간 근로관행이 여전히 만연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아마존, 주당 30시간 근무자 모집…임금은 기존과 동일
미국 포춘지가 28일(현지시간)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주당 30시간 일하는 시간제 근무 근로자들을 모집하면서 월급과 복지는 기존 근무자와 동일한 수준을 보장하는 파격적인 혜택을 지원한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미국 이벤트 업체인 ‘이벤트브라이트’ 홈페이지의 채용 공고란에 주당 30시간 근무자를 모집한다는 글을 올린 상태다. 사실상 근무자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근무하며 나머지 근무 시간은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사실상 주4일 근무제를 실험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아마존이 채용하는 이번 부서는 팀장부터 일반 사원까지 모두 시간제 근무 근로자들로 구성되며 원할 경우 추후 풀타임 근무로 옮길 수도 있다. 이들의 임금은 풀타임 근로자의 75%지만 아마존의 근로 원칙인 주 40시간 근로자와 같은 임금과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아마존에 주 30시간 근무 직원은 예전에도 있었지만 이번처럼 팀장에서 말단 직원까지 모두 파트타임 근로 형태로 고용되기는 처음이다.
아마존 관계자는 “전통적인 풀타임 근로 형태는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은 아니다”라며 “근무 시간 단축을 단축해도 여전히 효율적인 업무 성과를 낼 수 있는 근무 환경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아마존이 근무시간 단축과 관련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만큼 주변 기업들 또한 효율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이다. 특히, 지난해 직원들에게 주 80시간까지 근무를 독려했다는 비판을 받았던 아마존이 어떤 방식으로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일본 정부, 근로자의 휴식 시간 보장한 중소기업에 지원금 지급
일본은 정부를 중심으로 근로시간을 줄이려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의 27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근로자가 퇴근한 뒤 다시 출근하기까지 일정한 휴식 시간을 보장하는 ‘인터벌 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근로자에게 보장된 휴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까지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우선 ‘인터벌 규제’제도를 도입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제도도입에 드는 보조금 한도인 50만 엔(556만원)내에서 소요 비용의 75%를 지급하는 방향을 고려 중으로 내년 예산에 ‘인터벌 규제’ 지원 비용으로 4억 엔(44억원)을 추가 편성한다는 계획이다.
어느 정도의 휴식을 보장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외국 등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유럽연합(EU)의 경우 노동자가 퇴근 후 다음 출근까지 11시간의 휴식시간을 보장받도록 하는 인터벌 규제를 1993년부터 도입하고 있다.
국내 기업은 장시간 근로관행 여전해
우리 정부 또한 근로시간 단축 환경을 조성한 기업에게 지원금을 지원하거나 장시간 근로 업종에 대한 수시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 기업 또한 자체적으로 재택근무·탄력근무·부분근무 등 유연한 근무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근로자들의 여가시간을 늘릴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기여를 통한 경제적 효과를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족과 일자리 나누기(잡 셰어링)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여전히 장시간 근로 관행은 만연하다는 지적이다.
OECD의 ‘2016년 고용동향’에 따르면 한국 내 취업자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연간 2113시간으로 34개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2246시간)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이는 OECD 34개 회원국 평균 1766시간보다 347시간이나 많은 수치다.
올해 고용노동부가 조사한 지난 5~7월 국내 자동차·금속 제조업 등 장시간 근로업종의 근로시간 형태에 따르면 100곳 중 절반인 50곳이 근로기준법상 연장 근로 한도 규정(주 12시간)을 위반해 초과 근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 환경 조성을 위해 기업들의 근로형태 감독을 더욱 강화하고 근로형태 개편이 필요한 중소기업의 컨설팅 연계, 신규채용을 기업에는 인건비와 설비비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