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예산분석③] 지잡대 오명 벗는다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

강이슬 기자 입력 : 2016.08.17 17:10 ㅣ 수정 : 2016.08.17 17:11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제대학교는 ‘기계전기식 브레이크 추력 모듈의 동적신뢰성향상 기술개발’(책임교수: 전자IT기계자동차공학부 부광석) 과제로 지난 2015년 교육부의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에 선정돼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사진=인제대학교]
 


(뉴스투데이=강이슬 기자) #. 창원대학교는 지난 2013년 ‘버킷 엘리베이터용 고부하 롱피치 롤러체인 개발’과 ‘태양광, 소형풍력 및 ESS용 중소형 10KW급 계통연계전력변환장치 개발’ 사업을 수행했다. 이는 교육부가 시행하는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에서 2개 과제에 선정돼 지원금 15억원을 받아 진행된 것이다. 창원대학교 측은 교육부의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에 선정돼 지방의 미래시대에 대비하고 과학기술역량과 산업경쟁력을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지난 2013년 진행하고 있는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은 지역 중소기업 수요 맞춤형 인재공급과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통해 지방의 혁신 역량을 제고하고, 지방의 미래시대를 대비하고 과학기술역량과 산업경쟁력을 한 단계 성장ㆍ향상 시킬 수 있는 지방대학의 창의적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시작됐다.
 
다시 말해 지방 이공대 석․박사의 일자리 창출과 지방 중소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
 
교육부가 시행하고, 한국연구재단, 10개 지방과학기술진흥센터, 사업을 주관해 수행하는 대학, 주관사업기관과 사업을 분담해 수행하는 기업 또는 대학 등이 함께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을 진행해 나간다.
 
 
지역 맞춤 과제 수행으로 지역맞춤 인재 키운다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에 선정되면 혁신창의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지원조건 및 선정규모 유형에 따라 ▲유형1 기업수요지향형창의인력양성 ▲유형2 지역틍화창의인력양성 ▲유형3 글로컬창의인력양성 등 총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유형1은 지역 기업의 수요기술 및 인력에 대한 과제를 추진한다. 유형2는 지역특화 프로젝트와 연계한 지역산업 수요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유형3은 지방대학과 기업의 수출을 선도하기 위한 수출 연계형으로, 국제인력 양성에 집중한다.
 
유형 1과 3은 ▲기계소재 ▲전기전자 ▲정보통신 ▲화학 ▲바이오․의료 ▲에너지․자원 ▲지식서비스 등 산업기술분류체계 7개 대분류 내에서, 유형2는 ▲강원 건강․생명, ▲대전 국방ICT, ▲충북 바이오, ▲충남 디스플레이, ▲광주 문화콘텐츠, ▲전북 농생명,  ▲전남 해양관광, ▲부산 영상, 바이오헬스 ▲대구 SW융합, ▲울산 친환경 전지, ▲경북 IT융복합, ▲경남 항공, ▲제주 용암수 융합 등 각 시ㆍ도별로 특화된 프로젝트와 연관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사업의 투자규모는 262억1만원이며, 총 지원 기간은 3년 이다.
 
 
누가 어떻게 지원할 수 있나요?
 
지방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인만큼, 지원대상 및 요건은 비수도권 14개 시‧도 소재 대학과 기업으로 구성된 사업단이여야 한다.
 
대학은 4년제 대학 이공계학과(교원 2명 이상, 석‧박사 5명 이상), 기업은 기업부설연구소가 설치된 기업신용등급 9등급 이상의 2년 이상인 법인 중 상시근로자 수가 5명 이상 또는 매출액 3억원 이상이여야 지원할 수 있다.
 
지역 혁신창의인력 양성사업 신청 및 선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산업체 기술․인력 수요조사서 접수, ②산업체 기술성평가 ③사업공고 및 대학공모서 접수 ④대학․기업 적합도 평가(매칭) ⑤사업팀 구성 및 온라인 접수 ⑥요건심사 ⑦전문가평가(발표평가) ⑧종합평가 ⑨예비선정(이의제기) ⑩최종확정 및 연구개시
 
지원비는 참여 학생연구원 인건비와 연구장비‧재료비, 연구활동비 등의 직접비와 기관별 고시율 기준을 따르되 최대 직접비(미지급 인건비, 현물 및 위탁연구개발비 제외)의 20%를 초과할 수 없는 간접비로 나뉘어 지원된다.
 
자세한 사항은 교육부 취업창업교육지원과(044-203-6880)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