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예산분석②] 대학생이 ‘사장님’ 소리 듣는 법? ‘대학창업교육’

(뉴스투데이=오지은 기자) “청년들이여, 야망을 가져라!”
최근 대학생들에게는 취업난의 새로운 돌파구로 ‘창업’을 많이 택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창업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관련 부처들이 나섰다.
지난 2013년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등은 청년창업을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대학생 창업은 위험 부담이 크고, 취업이 훨씬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사회경험이 적은 대학생들이 경영 마인드를 가질 수 있는 교육 자체가 적어 창업을 하고 싶어도 기회가 부족했다.
정부는 창업교육 관계자, 창업동아리 학생,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을 모아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마련해 맞춤형 창업교육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학창업교육 생태계를 조성해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의 ‘창조적 인재’를 확보하겠다는 야심을 드러냈다.
대학창업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3가지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창업친화적 대학 창업교육제도 마련
먼저, 창업교육 확대와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창업가정신에 대한 개념적인 내용부터, 수행 인턴십에 이르기까지 창업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체계적 학습을 지원하는 ‘사다리형 창업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계획돼 있다.
이와 관련해 다양한 지식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함양이 가능한 창업 융‧복합 전공 개설, 석‧박사 과정도 운영할 예정이다. 또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등을 구축해 창업강좌를 확대하고 창업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더불어 창업과 학업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창업 휴학제, 창업 대체학점인정제, 창업 학점교류제 등을 통해 창업 친화적인 학사제도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휴학 기간을 모두 소진한 대학생이라도 창업을 진행할 때 학업에 대한 부담감 없이 창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창업교육 전담교원의 연수 및 인증제를 도입해 전문성을 강화하여 창업교육의 질적향상을 도모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2. 창업 도전 환경 조성
대학생들이 ‘이거 괜찮은데?’하며 머릿속에서만 상상하던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창업도전 환경조성을 위한 추진 내용도 있다.
실전창업동아리를 발굴하고 소속된 학생들이 창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대적으로 창업 교육‧기회가 적은 지방대학생들을 위한 연합창업동아리를 결성해 정부에서 이를 지원한다.
이때 대학생들에게는 창업 도전 자금 및 대학이 보유한 기술과 창업보육센터 공간, 창업드림 CEO 양성 프로그램 등이 주어진다.
아울러 ‘KC-Startup(Korea Collegian Startup) Festival’이라는 대학생 창업경진대회를 통합해 내실을 단단하게 구축하고, 창업교육 전문센터를 통해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대학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대학생 창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사업 평가지표에 창업교육을 반영하고, 향후 창업우수 대학을 선정하는 등 제도적 장치로 마련했다.
3. 지방대학 여건 및 창업인식 개선
지방대학에서는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창업지원과 창업교육 기회가 더 적다. 정부는 대학창업교육을 통해 지방대에 대한 인식과 여건도 개선할 방침이다.
지방대학의 창업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대학생의 창업지원은 물론, 지방대학에 외국인 창업지원센터를 설립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창업기회를 마련하고, 글로벌 창업인턴십도 확대해 세계화된 창업아이템 발굴‧실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지역사회가 보유한 자금 및 기술자원, 경험들을 지방대학과 연계해 창업교육체계를 구축하도록 권장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을 육성‧지원하고 기업이 엔젤투자 형태로 창업교육 기부에 참여하면서 창업우호적 사회문화를 조성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이를 통해 지역과 지방대학간의 협업을 강화해 결과적으로 대학생 창업지원 통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학창업교육에 편성된 올해 사업 예산은 13억5천만원(직접사업비 12억3천만원, 사업관리비 1억2천만원)이며, ▲창업교육 현장 컨설팅 실시 ▲대학 창업교육 교재 개발 및 배포 ▲창업교육 우수대학 선정 및 시상 ▲창업교육 전문가 연수 개최 등을 진행하고 있다.
대학창업교육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교육부 취업창업교육지원과(044-203-6884) 또는 한국연구재단(www.nrf.re.kr)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