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고용시장 2대 변수, ‘수출부진·추경지연’ 적신호

(뉴스투데이=오지은 기자) 주요 기업들이 9~10월 하반기 공채를 앞두고 불안에 떨고 있다. 수출 회복세가 지연돼 생산성이 부진하고, 추경 예산 집행 또한 지연되면 소비 개선세도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 “수출 회복 지연으로 생산성 부진” 우려
기획재정부가 9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 따르면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수출 회복 지연으로 생산은 전반적으로 부진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그동안 수출에 비해 내수가 부진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국책연구기관인 KDI(한국개발연구원)도 지난 4일 발표한 ‘경제동향 8월호’에서 “내수가 양호하지만 경제 전반의 회복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KDI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기업 구조조정 여파로 단기간 내 경기 개선은 어렵다”고 덧붙였다.
다만 기재부는 자동차 개소세 인하가 6월로 종료하면서 내수도 영향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7월 소매판매 잠정치에 따르면 7월 국산 승용차 판매량은 전달보다 10.5% 줄었다.
유일호 부총리 “추경안 조속히 처리해 경제 회복 불씨 살려야”
한편 같은 날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추경 예산안 관련 대국민 호소문에서 “추경안은 성격상 시기가 생명이며, 더 늦어질 경우 기대만큼 경제 회복 효과를 못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저유가와 보호무역 움직임으로 수출 현장의 활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고, 기업인은 선뜻 투자를 늘리지 못하고 있으며 국민들의 장바구니는 가벼워져 가고 있다”며 “청년 실업률이 10%를 넘고 지난 6월 조선업 밀집지역 실업자가 2만4천명 증가하는 등 일자리 사정도 좋지 못하다는 점이 더욱 우려스럽다”고 어려운 경제 상황을 전했다.
이어 그는 “올해 추경에는 성공적인 구조조정을 지원하고 실직 등으로 불안해하고 계실 근로자분들의 근심을 덜어드리기 위한 내용을 담았다”며 “청년들이 더 이상 ‘열정페이’를 강요받지 않고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런 추경이 적기에 처리되지 않을 경우 근로자와 청년들이 일할 기회를 잃게 되고 많게는 6만8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수출 부진으로 인한 소비 개선세가 회복되지 않거나 추경안이 조속히 편성되지 않으면, 올 하반기 고용시장도 얼어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