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160726083929

한국고용시장 5개 지표, OECD 최저수준 기록

글자확대 글자축소
오지은
입력 : 2016.07.26 16:37 ㅣ 수정 : 2016.07.26 20:45

▲ 경기도청 사무실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경기도]
 
남녀 은퇴연령 70대로 세계 최고령

(뉴스투데이=오지은 기자)
“은퇴연령 70대로 최고, 남녀 임금격차 1위, 최저임금은 25개국 중 19위, 분배지표 18위, 노조 가입률 27위…”
 
26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나타난 부끄러운 성적표다.
 
한국 근로자들이 노동시장에서 실제 은퇴하는 나이는 2014년 기준 남성 72.9세, 여성 70.6세로 34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 은퇴연령은 남성 64.6세, 여성 63.2세이다. 남성 기준 프랑스(59.4)·벨기에(60.0)·슬로바키아(61.1) 등이 제일 일찍 은퇴하는 나라였으나 한국이 기록을 갱신했다.
 
 
한국 최저임금은 평균임금의 35.7%, 노동소득 분배율은 OECD 25개국 중 18위

2015년 한국의 실질 최저임금은 13.7달러로 OECD 평균(14.1달러)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전일제근로자 평균임금 대비 최저임금 수준은 35.7%로 25개 나라 가운데 19위에 그쳤다.
 
전일제근로자의 임금총액을 기준으로 한 최저임금 상대적 수준은 2009년(35.9%)과 비교하면 오히려 후퇴했다. 2010년(35.9%), 2011년(35.8%), 2012년(34.1%), 2013년(35.1%)과 비교해도 6년째 제자리걸음인 셈이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올해보다 7.3%(440원) 인상한 6470원으로 결정됐다.
 
분배지표는 2014년 기준 노동소득분배율(국민소득 중 노동소득 비율)이 62.8%로 관련 통계를 낸 OECD 25개국 중 18위다. 경제활동으로 창출한 이익 가운데 근로자보다 기업이 가져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뜻이다.

 
남녀 임금격차 1위, 노조 가입률은 최하위권인 27위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도 1위다. 남성 근로자의 중위임금을 100으로 봤을 때 여성 근로자의 중위임금은 63.4에 머물러 22개국 중 불명예스러운 1위를 차지했다. OECD 평균(84.6)은 물론이고 2위 일본(73.4)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인다.
 
노동조합 가입률은 10.1%로 30개 나라 가운데 27번째에 그쳐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OECD 평균(27.8%)의 3분의1 수준으로, 특히 아이슬란드(85.5%)·핀란드(69.0%)·스웨덴(67.7%)·덴마크(66.8%) 등 유럽 나라들과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