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두 번 울리는 “취업사기 주의보”

(뉴스투데이=이지우 기자) “분명 지원한 회사는 직원을 모집한다고 했으나 합격 통보를 받고나니 회사 직원이 아닌 하청업체 영업사원이었다”
작년 서울 소재 대학을 졸업한 26살 A씨는 취업준비생으로 매일같이 취업정보 사이트를 검색하는 것이 일상이다. 지금까지 지원한 업체 수는 100여곳에 이르지만 합격수는 10번 내외로 그 중 2번은 ‘기본금’(투자를 가장한 금품요구)을 요구하는 업체거나, 지원했던 회사가 합격 후 업무가 전혀 다른 회사였다고 털어놨다. 이처럼 청년들의 ‘절박한 취업심리’를 악용한 ‘취업사기’가 날이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다.
4명 중 1명이 취업사기…‘연봉과 고용 조건에서 허위사실과 과장된 내용’이 가장 많아
최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구직자 759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중 취업사기 피해를 입은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26.2%가 취업사기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4명 중 1명이 취업사기를 당한 셈이다.
최근 수습사원으로 취업한 B씨는 “지원할 때 고용조건을 살피면 연봉이 2000만원으로 적혀 있었는데 막상 합격 후 회사에 가서 계약서 작성을 하다보면 수습기간 6개월을 말하며 100만원도 못 미치는 계약서를 제시했다. 급한 마음에 작성했지만 ‘사기당했다’는 생각이 가시질 않는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설문조사에서도 취준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봉’과 ‘고용 조건’에서 허위사실 개제 및 과장으로 입은 피해가 53.8%로 가장 높았다. 공고와 다른 자격 조건이 48.7%로 뒤를 이었다.
이에 사람인 임민욱 홍보팀장은 “‘사람인에 허위사실’로 인한 신고가 종종 들어온다. 가장 큰 예로는 공고에 올라온 연봉과 달리 합격 후 회사에 가면 신입이 낼 수 없는 실적을 제시하면서 실적을 이룰 경우 제시된 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외 취업 사기 종류에는 ▲채용할 것처럼 속이고 채용 안 함(36.7%) ▲다단계 판매 등 영업 강요(20.1%) ▲채용 전 상세한 개인정보 요구(15.6%) ▲투자 및 대출 요구(9%) ▲취업 알선을 미끼로 금품 요구(9%) ▲취업을 보장한다며 자격증 취득 강요(6.5%) ▲통장·현금카드·금융보안카드 등 요구(5%) 등이 있었다.
또, ‘해당 기업에 취업하려 했던 이유’에는 ▲일단 취업이 급해서(55.8%, 복수응답) ▲연봉 등 처우 조건이 좋아서(42.7%) ▲자격조건 제약이 없거나 적어서(24.6%) ▲향후 유망한 업ㆍ직종이라고 해서(15.6%) ▲기업명 등이 알려져 신뢰할만해서(15.6%) 등 순이었다.
급한 취준생들 두 번 죽이는 ‘금전적 사기’
임 팀장에 따르면 “취업 사기 업체들은 합격 통보와 함께 ‘인적사항에 관련된 정보’, ‘금융에 관련된 자료’를 달라고 요구한다. 또, 합격되고 출근 후 급여 통장 사본을 가져오라고 할 때, ‘인감증명’이나 ‘주민등록 초본·등본’을 제시하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개인 금융 자료 제시를 하라는 곳은 사기일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사람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피해자들 중 38.7%는 취업사기로 인해 금전적인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피해금액은 평균 694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동일 조사에서 집계된 피해금액(242만원)보다 무려 452만원이나 늘어난 금액이다.
금액은 ‘500만원 이상(18.2%)’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50~100만원 미만(13%) ▲10~50만원 미만(13%) ▲400~450만원 미만(10.4%) ▲10만원 미만(10.4%) ▲150~200만원 미만(9.1%) ▲100~150만원 미만(9.1%)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사기 금액이 점점 커지고 있는 모습인데 취업에 급급한 취준생들의 마음을 악용하는 사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취업 사기 피하는 방법?…객관적으로 따지고, 신고 의무감을 가져야
결국 취준생들은 ‘취업난’ 속에서 급한 마음으로 또는좋은 조건으로 올라온 공고를 보면 혹해서 지원하게 된다. 이런 혹하는 마음을 가장 경계해야 될 필요가 있다.
임 팀장은 “기본적으로 채용공고 지원단계를 잘 살펴봐야 된다. 업무강도는 약하고 돈을 많이 준다는 조건이 사기인 경우가 많다. 사기 업체일 경우, 사람들이 혹하는 조건으로 지원자들을 모집한다. 때문에 ‘객관적인 내용’을 살펴야한다. 이메일주소만 있거나 개인 전화번호를 넣어두면 의심해야 된다”며 “요즘 가짜 회사번호를 넣는 경우도 있는데, 채용 인사 관계자들이 남긴 자료도 함께 올라와 있는지 등을 잘 따져야 된다”고 설명했다.
금전적인 문제가 엮인 취업 사기의 경우 경찰에 신고 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이다.
사람인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피해에 대처했다’는 응답자는 32.2%며, ‘대처하지 않고 그냥 넘어갔다’는 응답자는 67.8%로 대부분이 사기를 당해도 그냥 넘어간 것으로 나왔다. 사기에도 그냥 넘어가는 비중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신고가 되지 않아 취업 사기 업체의 악행이 계속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때문에 사기를 당할 경우 사기 부피에 따라 작은 경우라도 ‘고용노동부’에 의무적으로 신고할 필요가 있다. 제2 피해자를 막기 위함이다. 또, 금전적 사기일 경우에는 경찰에 신고하는 경우가 올바르다.
한편, 임 팀장은 “신고를 하지 않는 심리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째는, 사기를 당해도 금액이 작거나 피해 규모가 작으면 대처하지 않는다. 신고 접수 진행하는 과정에서 오는 피로감 등으로 피해자들이 신고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이미 사기조직이 피해자의 개인 신상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제2차 피해가 발생될까봐 신고를 하지 않는다”며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조사에 들어가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꼭 신고하는 의무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