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 현실화에 대책 마련 부심
![image](http://cdn.news2day.co.kr/data2/content/image/2025/02/11/.cache/512/20250211500205.jpg)
[뉴스투데이=금교영 기자]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공식 발표했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예외나 면제 없이 25%를 적용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져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한국산 철강 대미 수출 4위…관세 부과 직격탄 맞나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애초 예고와 같이 10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을 담은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번 포고령에 따르면 그동안 철강, 알루미늄 대한 관세 면제나 쿼터 적용이 사실상 폐지되고 원래 관세로 회귀하는 조치가 시행된다. 시행일은 다음달 12일이다.
아직 관세 부과 방식, 법적 근거 등 구체적인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관세 부과 결정 자체만으로도 철강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우리는 모든 알루미늄과 모든 철강에 예외없이 25% 관세를 부과한다”며 “이는 미국에서 많은 업체들이 개업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친구와 적들로부터 똑같이 두들겨 맞고 있었다”며 “우리의 위대한 산업이 미국으로 되돌아 오도록 해야할 때”라고 덧붙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는 모든 국가에 적용되며 예외나 면제는 없다”며 “다른 나라의 보복 조치는 신경쓰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관세 부과 조치는 캐나다, 멕시코, 베트남 등과 함께 주요 대미 철강 수출국인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대미 철강 수출 비중이 9%로 4위 국가다.
![image](http://cdn.news2day.co.kr/data2/content/image/2025/02/11/.cache/512/20250211500216.jpg)
미국 CNBC 방송이 인용한 미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국 1위는 캐나다로 71억4000만달러(23%)를 수출했다.
이어 △멕시코 35억달러(11%) △브라질 29억9000만달러(9%) △한국 29억달러(9%) △독일 19억달러(6%) 순으로 대미 철강 수출이 많았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도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토대로 국가안보를 이유로 전 세계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다만 협상을 통해 일부 국가에 대해 조정 조치를 취했다.
한국 역시 당시 협상을 통해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적용받고 있다.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 혜택을 적용 받고 이를 넘어서는 물량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일정 물량에 대한 관세는 면제 받았지만 관련 법 적용으로 2015~2017년 연평균 383만톤이었던 국내 철강의 미국 수출량은 2021년 약 200만톤으로 대폭 줄었다.
■ 최악 시나리오는 쿼터제에 추가 관세 부과…”모니터링 중”
무관세 쿼터제를 적용받는 우리나라도 이번 관세 부과 조치가 적용될 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예외가 없다고 밝혀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를 보여주듯 로이터 통신은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한국 등으로부터 무관세로 미국에 들어오던 수백만 톤의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서도 관세율이 25%로 올라갈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업계는 쿼터제 유지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방안이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것으로 풀이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아직 관세 정책의 정확한 내용이 나오지 않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라면서도 “대응책에 대해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관세 정책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보하는데 속도를 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주요 철강업체들이 최근 미국 현지 진출 계획을 밝혀 관심이 모아진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조치는 어디에서 오든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대상”이라며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없다. 그럴 경우 관세는 0이다”라고 밝힌 것도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장려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다만 단순히 관세 면제만을 염두에 두고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대를 추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트럼프 정부의 정책과 보호무역에 대한 부분이 영향을 미치겠지만 미국 내 생산 설비 건설은 현지 수요 등을 고려해 결정할 사항”이라며 “오늘 관세 부과 발표로 급물살을 타기 보다는 신중하게 검토해 진행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입장을 밝혔다.
또한 개별 기업의 대응보다는 정부 당국과 협력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따라 정부도 11일 '미국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대응을 위한 업계 간담회'를 갖고 대응책을 고심중이다.
이를 통해 정부와 업계는 쿼터 폐지에 따른 대미수출 여건 변화와 품목별 시장 경쟁력 분석 등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대응 전략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의 철강제품 관세 부과로 대미 철강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면서도 “다른 나라와 경쟁 조건이 같아지는 기회요인도 있어 대응 전략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점도 '위기 속 기회'를 찾겠다는 대목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