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40430500135
ESG 인사이드 (38)

중대성 평가 후속 작업을 생각한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입력 : 2024.05.01 00:30 ㅣ 수정 : 2024.05.01 00:30

[기사요약]
중대성 평가는 효율적인 지속가능경영 위한 중요한 절차
중대성 평가 통해 밝혀진 영향, 위험, 기회에 대한 식견과 이해는 기업 성과 개선에 도움
정기적 교감과 문서화 등 이해관계자 참여시키는 전략 필요

최근 수년에 걸쳐 ESG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다. 이제 ESG는 익숙한 용어가 되었다. 지금까지 기업이 ESG를 이해하고 그 필요성을 공감했다면 이제부터는 실천할 때다. 특히 경영에 ESG 요소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작동되도록 해야 한다. 「ESG 인사이드」에서는 기업이 ESG 경영을 하도록 어떠한 접근을 하고, 어떻게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실현하며, 어떻게 성장의 기회를 잡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연결고리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image
[출처=linkedin]

 

[뉴스투데이=김지환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중대성 평가(Materiality Assessment)는 이미 선도기업에는 지속가능경영의 중요한 필수 절차로 인식되고 있다(※ 필자의 [ESG 인사이드 (37)] ‘중대성 평가는 ESG 경영의 시작’ 참조).

 


• 보고 차원 넘어선 지속가능경영의 필수 절차

 

특히 EU 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이 의무화됨에 따라 중대성 평가를 수행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규제 기관 및 표준 제정 기관 또한 중대성 평가의 깊이와 철저함에 대한 통일된 관점에 집중하고 있다.

 

image
[출처=azeusconvene]

 

이러한 까닭에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담 부서는 종업원들과 협력하여 중요한 지속가능성 주제를 파악하고 관련 영향(Impact), 위험(Risk) 및 기회(Opportunity)인 IRO를 문서화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작업을 통해 경영진이 고려할 IRO가 도출되었다면 기업은 이후 어떠한 작업을 해야 할 것인가?

 

이와 관련하여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컨설팅 기관인 BSR의 이사 베스 리치몬드(Beth Richmond)는 중대성 평가의 실무적 후속 작업을 제시했다. 

 


• 중대성 평가 후 다음 절차는?

 

첫째, 기업은 관련 문서를 리뷰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은 의사결정 회의록, 평가 점수의 근거,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자료 등 각종 문서화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담당 부서는 감사 및 규정 준수 점검에 대비하여 질문에 답변하고 보증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잘 준비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image
[출처=itarian]

 

둘째,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보고 의무화와 관련하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리뷰를 해야 한다. 리뷰에는 중요 주제와 관련한 거버넌스, 정책, 관리 시스템, 목표, 현재 및 계획된 지표를 이해하는 것이 포함된다.

 

셋째, 경영진과 이사회 구성원을 참여시킨다. 이사회의 책임을 포함하여 조직 내에서 지속가능경영이 어떻게 관리되고 운영되는지, 그리고 그 기대치는 무엇인지를 명확히 보고하는 것이 필수이다.

 

이사회는 중대성 평가 결과를 승인하고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관련 공시 등을 감독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

 

이사회 구성원 간의 합의와 지원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챔피언(Champion)이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 동안 전담 ESG 위원회, 감사 또는 위험 위원회와 같은 관련 위원회에 진행 상황을 알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상황이 여의찮다면 이사회가 진행 상황과 결과를 보고 받고,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감독이 가능하도록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mage
[출처=atlasmetrics]

 

넷째, 보고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한다. 법률상으로는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중요한 의사소통의 주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는 의무적인 공개와는 별도의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전달해야 할 필요도 있다.

 

의사소통의 장소와 방법을 신중하게 선택하면 보고의 명확성, 일관성 및 비교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규정 준수 및 소송 위험을 관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비즈니스 전략과의 연계와 더불어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일관되고 확실한 설명을 보장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적 커뮤니케이션을 검토하고 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image
[출처=thinkparallax]

 

중대성 평가는 기업에 전략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지식의 격차가 어디에 있는지, 거버넌스가 목표를 어떻게 지원하는지, 현재 투자가 기업과 이해관계자 모두의 성장에 충분한지를 탐색할 수 있다.

 

[정리=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image
cbong1109@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1. 1 [미네르바의 눈] 현대차, 자율주행 시스템을 라이다 대신 카메라로 전환.. 휴머노이드 로봇 투입에도 박차
  1. 2 [미네르바의 눈] 물류단상(物流斷想): 아마존의 ‘로봇’ 풀필먼트센터 확대 전략과 AX 물류센터의 미래 (上)
  1. 3 [생성형 AI(Generative AI),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본다! (97)] ‘AI 에이전트’가 몰려온다! ⑪ - 중국의 AI 에이전트 ‘마누스(Manus)’, 또다른 센세이션 일으키다 (下)
  1. 4 [퀀텀 컴퓨팅 들여다보기 (13)] 아이온큐, 리게티 등 15개사, DARPA QBI(퀀텀 벤치마킹 이니셔티브) 참여기업에 선정되다 (上)
  1. 5 [글로벌 ‘AI+X’ 스타트업 (10)] ‘헤리터블 애그리컬처(Heritable agriculture)’, AI로 식물을 프로그래밍하다!
  1. 6 [스마트관광으로 재도약하는 K-관광대국 (5)] 스마트공연예술 추진의 이슈와 과제 (上) - 기술기반의 도입과 융합이슈
  1. 7 [미네르바의 눈] 한국경제의 경기순환, 어떻게 변해왔나? (6)
  1. 8 [돈 버는 탄소 중립 (22)] 시멘트 산업 탄소감축, 폐콘크리트 재활용에서 길을 찾다
  1. 9 [일본 종합상사가 눈독 들이는 미래사업은? (58)] 신에너지, 에너지의 미래를 개척하다! ⑭ - 미쓰이 물산(三井物産) (中)
  1. 10 [미네르바의 눈] 글로벌 AI 랭킹, 중국과 미국의 격차 급속히 축소되어 거의 대등.. 우리는 투자 규모에서 11위에 그쳐..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이메일
//